1918년
1938년 하와이 중한민중동맹단 이사장, 1943년 3월
1909년∼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3권(2017년 발간)
1908년부터 1945년까지 하와이 합성협회(合成協會) 대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중앙총회 학무원, 클래몬트학생양성소 감독, 로스앤젤레스지방회(羅城地方會) 부회장, 하와이한인교민단 단장, 대한민족통일촉성회(大韓民族統一促成會) 위원, 하와이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 단장,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團) 하와이지부 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1905년 8월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 2대 목사로 부임하였고, 1906년 하와이 한인기숙학교 교감으로 재직하였다. 1908년 11월 하와이 합성협회 대표로 북미 공립협회(共立協會)와 합동 발기인이 되어 1909년 2월 국민회를 창립하였다. 1909년 3월 일본이 한국을 병합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은 뒤 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布?地方總會)가 제1차 공동회를 열고 송병준(宋秉畯)과 이완용(李完用)에게 전보를 보내 그 음모를 막기로 결정하자, 이내수(李來洙)와 함께 그 임무를 맡았다. 같은 해 6월 하와이지방총회 외교원으로 당선되었다.
1912년 11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제1차 대표원회에서 중앙총회 학무원으로 선임되었고, 1913년 7월 북미지방총회 산하 클래몬트학생양성소 감독, 1914년부터 로스앤젤레스지방회에서 활동하다가 1915~1916년 동 지방회 학무원, 1916년 4월 중앙총회 학무원 겸 구제원 등으로 활동하며 클래몬트양성소 내에 강습소를 설치하여 국어와 역사 등을 가르쳤다. 1918년 11월 중앙총회의 결정으로 이승만(李承晩)ㆍ정한경(鄭翰景)과 소약국동맹회 파견 대표로 선정되어 회의에 참석하는 한편, 3인의 명의로 미 대통령 윌슨에게 서한을 보냈다. 1919년 4월 「한성정부 국민대회 취지서」에 파리강화회의에 출석할 국민대표 중 1인, 「조선민국임시정부 조직 포고문」에 파리강화회의 외교위원으로 지정 공포되었으며, 「신한민국정부 선언서」에 노동부 차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같은 달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명령
으로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한인자유대회에 윤병구(尹炳求)와 함께 파견되었다.
1921년 2월 하와이지방총회 학무, 4월 하와이교민단 총단장, 6월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도시찰원(都視察員) 등으로 활동하며 11월에는 하와이교민단 단장 명의로 미국 국무장관 등에게 한국 대표단의 워싱턴 회의 참가 승인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보냈다. 1925년 동지회(同志會) 실업부 이사부장, 1928년 4월 대한민족통일촉성회 집행위원, 1930년 1월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하와이한인협회를 조직하였다.
1938년 중한민중동맹단 이사장, 1943년 동맹단 단장,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 집행위원장, 『독립』 발기인으로 활동하였고, 1944년 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 집행위원장으로 그해 4월 중국 충칭(重慶)에서 개최된 민족혁명당 대표대회에서 명예주석단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1월 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 선전부장, 3월 충칭 조선민족혁명당 조선구제위원회 집행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09년부터 1945년까지 독립의연금, 군수금 등의 명목으로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6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共立新報(1909. 1. 13)
- 新韓民報(1909. 3. 10, 6. 8, 7. 21, 11. 16, 1912. 2. 13, 12. 9, 1913. 7. 18, 9. 12, 9. 19, 10. 10, 1914. 2. 5, 7. 16, 8. 27, 9. 10, 9. 17, 1915. 7. 8, 1916. 2. 8, 5. 11, 6. 22, 7. 6, 9. 21, 1917. 3. 1, 8. 9, 9. 13, 10. 4, 10. 11, 10. 18, 1918. 1. 3, 3, 21, 5. 24, 6. 27, 9. 12, 10. 24, 1919. 1. 2, 1. 16, 2. 6, 4. 12, 5. 6, 7. 24, 8. 5, 8. 7, 10. 4, 1920. 3. 23, 1921. 2. 24, 4. 14, 4. 21, 6. 30, 7. 28, 9. 22, 1922. 3. 2, 1923. 2. 1, 4. 26, 6. 14, 1924. 12. 18, 1925. 1. 8, 5. 14, 8. 6, 1928. 4. 19, 5. 3, 1930. 3. 13, 1939. 2. 16, 1941. 5. 8)
- 新韓國報(1909. 6. 15)
- 韓人國民會 憲章 譯文 送付의 건(1913. 2. 1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1)
- 在米朝鮮人 獨立運動에 관한 건(1918. 12. 12), 弱國同盟會에 韓人代表 派遣(1918. 12. 13), 講和會議를 계기로 鮮人의 國權恢復運動을 위한 代表者 派遣에 관한 건(1918. 12. 13), 往電 제118호에 관하여(鮮人의 國權回復運動에 관한 情報)(1918. 12. 19), 朝鮮人 獨立運動企劃에 관한 건(1919. 2. 10), 在米不逞鮮人 獨立運動에 관한 건(1919. 2. 19)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3) ㆍ李東寧의 書面에 관한 건(1919. 3. 13), 新韓民報 號外記事 大要(1919. 3. 15), 韓國獨立運動에 관한 건(1919. 3. 2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7) ㆍ朝鮮人의 獨立運動에 관한 건(1919. 4. 20), 在布鮮人의 現狀에 관한 報告의 건(1919. 11. 6), 鮮人國民會 포왜地方總會 內部紛爭에 관한 報告의 건(1920. 2. 2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4)
- 포왜在留鮮人의 現狀에 관한 報告의 건(1921. 4. 30), 布?에 있어서 不逞鮮人 同地會 설립(1921. 8. 26), 조선인의 행동에 관한 보고 건(1921. 11. 7)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5)
- 북경에서의 不逞鮮人의 군사통일회의(1921. 7. 20)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2)
- 臨時議政院 開會狀況의 건(1922. 3. 6), 上海 不逞鮮人의 不逞기획에 관한 건(1922. 9. 22)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上海假政府(4)
- 조선인 이승만에 관한 건(1922. 6. 22), 이승만 동정(1922. 6. 22), 布?에 있어서 朝鮮人의 現狀態에 관한 報告의 건(1922. 8. 11), 포왜선인단체에 관한 건(1923. 9. 2), 포왜在留鮮人團體의 정황(1923. 9. 8)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6) ㆍ포왜선인독립단의 내홍(1924. 2. 12), 삼일절 기념식 거행 보고의 건(1924. 3. 5), 이승만의 독립운동신계획에 관련한 布?한인대표회 결의사항 등 선포문 摘錄報告의 건(1924. 12. 25), 포왜선인교민단 이사회 개최에 관한 건(1925. 1. 30)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7)
- 재호놀룰루 鮮人 三一節 경축에 관한 건(1925. 3. 14), 米國留學 조선인에 관한 건(1926. 3. 20)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8)
- 포왜에 있어서 鮮人不逞革命同志會의 건(1938. 6. 1), 민족혁명을 목적으로 하는 同志會(비밀결사 興業俱樂部) 사건 검거에 관한 건(1938. 8. 9) 延禧專門學校 同志會 興業俱樂部 관계 보고
- 독립신문(1922. 3. 1)
- 國民報(1938. 8. 17, 8. 31, 1942. 11. 18, 1943. 3. 17, 3. 24, 8. 4, 9. 29, 12. 1, 1944. 9. 13, 9. 27, 10. 11, 1945. 7. 18)
- 獨立(1943. 10. 6, 10. 27, 12. 8, 1944. 2. 3, 3. 8, 3. 15, 5. 24, 7. 5, 7. 19, 7. 26, 8. 26, 10. 4, 12. 13, 12. 20, 1945. 1. 10, 2. 21, 3. 21, 12. 5)
- 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1971) 資料 2 臨政篇ⅱ 3~8면
- 도산안창호전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0) 제1권 328~335면, 제3권 218~222면, 제5권 328~334, 636, 784, 877~879면, 제6권 59~63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3권 14, 343면, 제4권 149면, 제6권 121~131, 173~182, 186~190, 265~284, 529, 532면, 제11권 64, 76, 117, 247면, 제14권 29, 34면, 제17권 62~64, 120 134, 186, 192, 232면, 제20권 152, 175, 176면 ㆍ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5) 제1권 294~298면, 제2권 123면, 제8권 3~9, 330면, 제18권 69면, 제19권 361~362면, 제21권 3~37면, 제26권 252~257면, 제37권 74, 84, 112, 470~501면, 제43권 3~4, 195면, 별책 제5권 38~42면
- 『offcial minute of the hawail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905, 40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