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097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車熙觀
이명 Tomas Cha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4 훈격 건국포장
1921년 12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마탄사스 지방회 회장, 1927년 11월 동 지방회 재무, 1934년 12월 부회장, 1940년 12월 집행위원장, 1944년 12월 재정조사원 등에 선임되어 활동함.
동 지방회 간부로 삼일절·국치기념식 등 각종 기념식을 주관하고 한국역사 및 임시정부 활동에 관해 연설하였으며, 1922~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제공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2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2대 회장으로 선임된 이래 대한인국민회와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등에서 활동하였다.

1921년 12월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2대 회장에 선출되었으며, 1922년 2월 구미위원부 마탄사스 지방위원부 총무로 선임되었다. 1923년 8월 평의원, 1925년 법무원과 의사원, 1926년 대의원, 1928년 재무, 1929년 구제원, 1930년 총무, 1933년 평의원을 역임하면서 대한인국민회와 구미위원부의 재정 후원, 동포의 생활기반 조성 등에 힘썼다. 1935년과 1936년에는 부회장, 1940년 교육위원, 1941년 집행위원장, 1945년 감찰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쿠바 이주 이래 매년 3월 1일 독립선언 축하식과 8월 29일 국치기념식, 광복군 축하식 등을 열어 한국역사와 임시정부 활동 등에 관해 연설하였다. 192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4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한철호, 2009) 제59권 456면
  • 新韓民報(1921. 12. 8, 1922. 3. 9, 3. 23, 11. 16, 1923. 6. 7, 8. 16, 8. 23, 1924. 3. 20, 11. 27, 12. 4, 1925. 3. 26, 7. 2, 7. 16, 9. 10, 1926. 1. 7, 10. 14, 1927. 5. 19, 11. 17, 1929. 3. 14, 5. 2, 11. 21, 1930. 2. 27, 3. 20, 1933. 12. 28, 1934. 12. 20, 1935. 1. 3, 4. 4, 9. 12, 12. 19, 12. 26, 1936. 3. 26, 9. 10, 12. 31, 1937. 4. 8, 10. 21, 12. 2, 1938. 2. 10, 2. 17, 3. 24, 4. 28, 7. 21, 10. 20, 1939. 11. 2, 12. 21, 1940. 6. 20, 7. 18, 11. 14, 12. 19, 1941. 2. 6, 2. 27, 3. 20, 1942. 3. 5, 10. 22, 1943. 1. 28, 4. 8, 6. 10, 10. 28, 1944. 2. 24, 8. 31, 12. 7, 12. 21, 1945. 1. 25)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3권 11, 303, 659면, 제17권 499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7) 제17권 9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차희관 - - -
본문
자료에 따르면 1875년생으로 추정된다. 출신지는 알 수 없다. 특히『신한민보』에 의하면 1935년 1월 25일(음력 1934년 12월 21일) 56회 생일을 맞이한 것으로 나온다. 그에 따라 1878년 1월 25일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신한민보』에 실린 그의 생일 관련 다른 기사는 1936년에는 1월 15일 56회 생일, 1937년에는 2월 2일 58회 생일, 1940년에는 2월 28일 회갑연 등으로 각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 1928년 1~2월경 부인 이산호(1937년 당시 42세, 4월 9일생)와 결혼하여 1929년부터 1938년까지 3남 2녀를 출산하였으나 모두 사망하였다. 대신 김성재, 김덕재, 김정복, 김복녀를 수양아들과 수양딸로 삼았다. 1920년 10월 멕시코 메리다(Merida)에서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의 재정을 후원하기 위해 25달러를 기부하였다. 1920년 11월 당시 엘센스 지방 의장으로서, 미주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지방총회(北美地方總會) 회장에게 지방회 설립을 요청하였다. 1921년 2~3월경 멕시코 한인 270여 명과 함께 보다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쿠바 마나티로 이주한 뒤, 5월에 마탄사스(Matanzas)지방 에네켄농장 노동자로 함께 이주하였다. 이때 쿠바 아바나 주재 일본영사관에서 마탄사스 한인들에게 일본의 재외국민으로 등록할 것을 강요하자, 한인들과 함께 재외국민 등록을 거부하고 한인 자치를 위한 대표기구를 설립하였다. 이 단체가 1921년 6월 14일 조직된 국민회(國民會) 마탄사스지방회(일명 쿠바지방회)였다. 1922년 마탄사스지방회 2대 회장으로 선출된 이래 해방이 될 때까지 마탄사스에 거주하며 지방회를 위해 힘썼다. 1922년 2월 마탄사스에 구미위원부 산하 지방위원부를 조직하고 총무가 되어 위원장 서재필(徐載弼)에게 보고하였다. 같은 달 마탄사스지방회 주최로 열린 국민회 창립기념식에서 사회를 보며 기도와 취지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쿠바 한인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하자, 회원 1인당 1주일에 50센트씩, 1년에 24달러가 되면 이중 5달러는 국민회 총회 의무금, 1달러는 마탄사스지방회 경비, 7달러는 구미위원부로 보낼 것을 의결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목재와 가옥을 매입하여 국민회관 겸 한인교회 겸 국어학교로 사용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1923년 8월 마탄사스지방회 평의원 중 1명의 사면으로 26차 통상회에서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4년 11월 마탄사스지방회 제41차 통상회에서 1925년도 임원 선출시 법무원으로 뽑혔으나, 9월 사임하였다. 1925년 3월 지방회 주최 3.1절 기념식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을 낭독하였으며, 7월 마탄사스에 설립된 상례회에서 임원 선정시 의사원으로 선출되었다. 1926년 1월 마탄사스지방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0월 대한인국민회 총회 총회장과 부회장 후보자 선거에 참가하여 투표하였다. 1927년 마탄사스지방회 평의원이 되어 2월 국민회 창립기념식에서 박창운·김덕순과 더불어 국민회 창립 취지를 연설하였다. 1928년 1~2월경 51세의 늦은 나이에 결혼하는 한편, 마탄사스지방회 재무와 대의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29년 3월 마탄사스지방회 구제원 중 한 명이 다른 지방으로 이주함에 따라 구제원으로 보선되었다. 1930년 마탄사스지방회 총무로 활동하였고, 2월 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新韓民報)』에서 광주학생운동 소식을 접하자 임시특별회를 개최하고 학생운동 후원금을 모집하였다. 같은 해 3월 마탄사스지방회 주최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한국역사를 주제로 연설하였다. 1931년 마탄사스지방회 대의원이 되었고, 1932년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33년 12월 마탄사스지방회 146회 통상회에서 1934년도 평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5년과 1936년 두 차례에 걸쳐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35년 8월 국치기념식에서 망국사를 강연하였고, 1936년 국치기념식에서는 ‘오늘의 감상과 장래의 방침’이란 주제로 연설하였다. 1938년 3월 3.1절 기념식에서도 연설하였다. 1940년 마탄사스지방회 교육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0월 마탄사스지방회 주최로 열린 광복군 축하식에서 연설하였다. 1941년 마탄사스지방회 집행위원장이 되자, 2월 국민회 창립기념식을 주관하며 기념식을 이끌었다. 1943년 3월 3.1절 기념식에서 ‘삼일기념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연설하였다. 1944년 11월 마탄사스지방회에서 선출한 1945년도 임원선거에서 감찰위원으로 선출되는 등 해방이 될 때까지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와 구미위원부의 재정 후원, 한인 동포의 생활기반 마련 등을 위해 헌신하였다. 1920년부터 1945년까지 의무금 9회 42달러, 국민대표회 대표경비 1달러, 지방회관 수리비 2달러 50센트, 인구세 9회 9달러, 광주학생운동 후원금 1달러, 3.1기념금·3.1적립금·3.1금 3회 55센트, 국민부담금 6회 6달러 77센트, 광복군 후원금 2회 2달러 21센트, 독립금 6회 23달러 11센트 등 독립운동 자금을 후원하였다. 정부는 2014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차희관(관리번호:9540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