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08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興瑞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09년 공립협회(共立協會) 회원, 1913년 멕시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오학기나지방회 구제(救濟), 1914년 동회(同會) 대의원(代議員), 1922년~26년, 1931년 마탄사스지방회 법무원(法務員), 1925년 동 지방회 평의원(平議員), 1925년, 1934년 동 지방회 대의원, 1928년 동 지방회 부회장, 1936년 동 지방회 총무(總務), 1940년 동 지방회 대표원으로 활동하면서 1913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09년부터 1940년까지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멕시코 메리다지방회,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1909년 5월 9일 북미지방총회 산하 메리다지방회 회원, 1912년 1월 오학기나지방회 회원, 1913년 6월 구제원, 1914년 8월에는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 11월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법무로 선임되었다. 1923년 3월 3ㆍ1절기념식에서 법무원으로 헌법을 낭독하였고, 4월에는 쿠바 민성국어학교 찬성원으로 국어학교를 후원하였다. 1925년 마탄사스지방회 평의원, 1926년 법무원, 1928년 회장, 1931년 법무원, 1934년 대의원, 1936년 총무, 1940년 대표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3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09. 6. 30, 1913. 6. 23, 1914. 7. 16, 8. 6, 1919. 7. 5, 1922. 11. 30, 1923. 3. 22, 10. 4, 1924. 10. 23, 1925. 1. 1, 6. 4, 1926. 1. 7, 11. 18, 1927. 2. 17, 5. 19, 12. 29, 1929. 5. 2, 1930. 2. 27, 12. 25, 1933. 12. 28, 1934. 12. 20, 1935. 1. 3, 4. 4, 4. 11, 12. 19, 1936. 3. 26, 1937. 12. 2, 1938. 2. 10, 2. 17, 4. 28, 7. 21, 10. 20, 1939. 12. 21, 1940. 1. 25, 6. 20, 7. 18, 12. 26, 1941. 2. 6, 3. 20, 1942. 3. 5, 10. 22, 1943. 1. 28, 4. 8, 6. 10, 8. 12, 10. 28, 1944. 1. 13, 7. 27, 8. 31, 12. 7, 12. 21, 1945. 1. 25)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5) 제1권 212, 455면, 제9권 48면, 제11권 137면, 제13권 657~659면, 제16권 290면
  • 안창호 초빙을 위해 멕시코 지방총회 동포에게 반포한 글 및 여비출연명단(1917. 4. 1, 독립기념관 소장)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흥서 - 서울 -
본문
한성부(漢城府) 서서(西署) 누각동(樓閣洞, 현 종로구 누상동 일대)에서 출생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1869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자료에 따라 김응서(金應瑞) 또는 김흥서(金興西)로 되어 있기도 하다.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에서 활동하였다.1905년 4월 멕시코 이민 한인 1,033명과 함께 멕시코로 이주하여 4년간 노예 노동을 하였다. 1909년 5월 국민회(國民會) 특파원들의 도움으로 멕시코에 국민회 산하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가 조직되자 가입하였다. 1912년 1월 멕시코 오학기나(五岳基那)로 이주하여 지방회를 설립하였고, 1913년에는 지방회 구제원으로 선임되었다. 1914년에는 김성민(金聖民)의 사임으로 인해서 대의원으로 활동하였다.1921년 2~3월 멕시코 푸론테라와 프로그레소 등 거주 한인 274명과 함께 쿠바로 이주하여 3월 말 마나티 항구에 도착하였다. 1921년 6월 3일, 김세원(金世元)·박창운(朴昌雲)과 함께 쿠바 마탄사스지방으로 이동하여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Matanzas지방회를 설립한 것으로 판단된다. 1923년에는 동 지방회 법무원으로 활동하면서 3·1운동 기념식을 주관하였다. 지방회와 한인 1세대들이 중심이 되어 1923년 9월 16일 민성학교를 건립하자, 찬성원으로 참여하여 한인 2세들의 정체성과 독립의식 함양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24년 대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25년에는 이세창(李世昌)·이원준·서군경·서선악 등과 함께 평의원으로 지방회를 운영하고 한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1926년 법무원을 사임한 후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어 1928년에는 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에는 다시 법무원, 1934년에는 대의원, 1936년에는 총무원으로 활동하면서 지방회가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1940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제4차 대표대회 마탄사스지방회 대표원으로서 활동하였다.1913년 6월부터 1945년 1월까지 국민의무금, 대일전선동맹 특연금, 광복군 후원금, 독립금 등으로 총 108여 원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후원하였다. 이외에도 각종 구제금과 의연금 등도 기부하여 국민회 지방회의 발전과 한인사회의 유지에 기여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흥서(관리번호:95408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