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041
성명
한자 金東純
이명 金貴得, 金東淳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09년 국민회(國民會) 메리다지방회 회원, 1913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사찰, 1922년 부회장, 1923년 회장, 1924년 대의원, 1932년 노동주무원을 역임함.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09년부터 1945년까지 멕시코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부회장ㆍ회장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1909년 5월 미주 국민회 북미지방총회는 황사용(黃思溶)과 방화중(邦化重)을 파견하여 멕시코 한인 해방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1909년 5월 9일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가 창립되었고, 한인 300여 명이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김동순은 1909년 8월 메리다지방회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13년 12월 메리다지방회 사찰로 선임되었고, 1922년에는 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10월 통상회에 참석하여 국민대표회기성회를 조직하였다. 1923년 메리다지방회 회장으로 3ㆍ1절 기념식과 국치일기념식을 거행하였다. 1924년 대의원, 1928년 11월에는 1929년도 지방회 임원 후보자 선거에서 부회장 후보로 선정되었다. 1932년 7월에는 노동주무원으로 활동하며,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09. 8. 25, 1912. 11. 14, 1913. 12. 26, 1918. 8. 1, 11. 28, 1922. 2. 2, 11. 2, 12. 14, 1923. 1. 18, 3. 22, 4. 26, 5. 31, 8. 30, 10. 4, 11. 8, 11. 29, 1924. 12. 11, 1925. 5. 28, 1926. 11. 25, 1927. 1. 6, 12. 29, 1928. 11. 22, 1929. 3. 14, 1930. 1. 16, 1931. 3. 19, 1932. 1. 7, 3. 7, 3. 17, 7. 28, 1933. 9. 21, 1934. 10. 18, 1935. 9. 5, 1936. 12. 17, 1937. 9. 2, 1940. 6. 13, 11. 28, 12. 12, 1941. 5. 22, 1943. 1. 21, 1944. 1. 20, 1945. 3. 8)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3권 392면, 제9권 44면, 제13권 514~516면, 제17권 33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동순 김동순(金東淳), 김귀득(金貴得) 경기 개성(開城) -
본문
1892년 10월 18일 경기도 개성군(開城郡) 영북면(嶺北面) 길수리(吉水里) 대천(大川)에서 태어났다. 1909년 11월 김귀득(金貴得)에서 김동순(金東純)으로 개명하였다. 자료에 따라 김동순(金東淳)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1905년 4월 멕시코로 이주하여 4년간 농장에서 일하였다. 1909년 5월 4년간의 계약 기간이 끝남과 동시에 미주 국민회(國民會) 산하로 멕시코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가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14년 메리다지방회에서 시찰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22년에는 부회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23년에는 회장으로 선출되어 장영진(張永眞)·송학성(宋學成)·김기용(金基用)·최정식(崔正植) 등과 함께 3·1운동 기념식을 개최하여 멕시코 한인들의 독립의식 고취에 앞장섰다. 1924년에는 대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29년에는 다시 부회장으로 선출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2년에는 독립선언 제13주년을 기념하여 독립운동 자금과 활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1912년 11월부터 1945년 3월까지 국민의무금, 독립금, 3·1운동 기념금 인구세 등을 명목으로 수십 차례에 걸쳐서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동순(관리번호:95404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