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3713
성명
한자 崔龍鎭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1 훈격 건국포장
1923년 9월 미국에서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 간부로 활동하였고, 1928년 3월 삼일신보(三一申報)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1942년 5월 대한인자유대회에 참석하였고, 1944년 한국외교위원부 경제위원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30년부터 1944년까지 독립금을 제공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0권(2012년 발간)

최용진은 1923년 9월 김영섭(金永燮)의 대광단(大光團)이 변경된 단체인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에서 남궁염(南宮炎), 안택주(安宅柱) 등과 함께 간부가 되어 활동하였고, 1928년 3월 삼일신보(三一申報)의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등 뉴욕 한인사회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하였다.

1942년 5월 대한인자유대회에 참석하였고, 1944년 한국외교위원부 경제위원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30년부터 1944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금을 제공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1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22. 8. 10, 1930. 2. 6, 1931. 6. 25, 1936. 2. 6, 3. 5, 1941. 12. 13, 1942. 5. 7, 5. 14, 1944. 6. 1, 6. 15, 6. 18, 6. 29)
  • 北美時報(1944. 6. 1)
  • 民族革命을 目的으로 하는 同志會[秘密結社 興業俱樂部]事件 檢擧에 관한 건(1938. 8. 9) 延禧專門學校 同志會 興業俱樂部 關係報告
  • 三一申報 創刊 趣旨書(1928. 3. 22) 移入輸入 不穩刊行物 槪況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용진 - - -
본문
자료에 따르면 1900년생으로 4월 19일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출신지는 알 수 없다. 1922년 7월 31일 현동완·심원남·박경희와 함께 차이나(China) 호를 타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도착 후 현동완과 함께 시카고를 향해 출발하였다. 1923년 9월경 이승만(李承晩)은 뉴욕의 김영섭(金永燮)을 뉴욕한인교회 목사로 추천함과 동시에 워싱턴에 있는 동지회 간부 남궁염(南宮炎)을 뉴욕에 파견하여 1922년 1월 뉴욕에서 조직한 대광단(大光團)을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로 개편하였다. 이때 뉴욕지부 회계로 선임되어 회장 남궁염, 서기 안택주(安宅柱)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8년 2월에는 뉴욕에서 김경(金慶)·김도연(金度演)·허정(許政)·오천석(吳天錫)·윤치영(尹致暎)·방화중(邦化重)·장덕수(張德秀)·남궁염(南宮炎) 등과 함께 『삼일신보(三一申報)』 창간 취지서를 발표하고 발기인이 되었다. 『삼일신보』는 3월 창간되었으나, 1930년 6월 폐간되었다. 1930년 1월 뉴욕의 한인단체들이 제1차 공동회를 개최하자, 이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대책강구회를 조직하기로 의결한 뒤 ‘뉴욕동포 내지(內地) 학생운동 대책강구회’를 결성하고 임원을 선정하였다. 이때 의연금을 모집하자 2달러를 기부하였다. 1931년 6월 북미한인학생총회 동부연회가 뉴욕한인교회에서 개최되자 동 대회에 참석하는 한편, 학생총회를 위해 기부금을 제공하였다. 1936년 1월 뉴욕한인교회 주최로 열린 정기총회에서 안정수(安定洙)·이진일(李震日)·함용준·김세선·조홍식과 함께 한인교회 이사원으로 선임되었다. 그해 3월에는 뉴욕의 국민회(國民會)·흥사단(興士團)·학생회·교민단·동지회 등이 공동회를 구성하고 삼일절기념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기념식 준비위원으로 선임되자, 동지회 대표로 참가하였다. 1938년 3월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총회에서 임원 선정 시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그해 6월에는 뉴욕동지회의 후원으로 동지회보를 다시 발간하는데 힘썼다. 1941년 1월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임원 개선시 집행위원 7인 중 1인으로 선임되어 회장 남궁염, 총무 이진일 등과 함께 동지회 사무를 집행하였다. 11월에는 동지회 뉴욕지부 정기 통상회에서 신임 임원을 개선하자, 함용준·정윤수와 함께 이사부원으로 선임되었다. 1942년 2월 하순 워싱턴 라파예트호텔에서 한인자유대회(韓人自由大會)가 개최되자, 로스앤젤레스와 호놀룰루에 있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대표, 한미협회 대표, 그리고 한국·중국·러시아 한인 대표들과 함께 참석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유지를 전폭적으로 지지할 것을 동의하고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해 6월 시카고에서 북미지방 동지대표회가 개최되자, 뉴욕 대표로 참석하여 조직 명칭을 북미동지회 총지부로 개칭하였고, 임원 선정시 회계로 선임되어 총지부장으로 남궁염, 서기 김세선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44년 6월 이승만이 주미외교부 개조문제를 계기로 자신의 세력 확장을 도모하고자 주미외교위원부(駐美外交委員部, 일명 한국외교위원부) 협찬회(協贊會)를 조직하였다. 이때 협찬회는 산하 5개 분과 위원부를 설치하였는데, 이중 김세선·유일한·남궁염·신상근 등과 경제분과위원부에 배속되었다. 1945년 8월 해방이 된 이후에도 동지회를 위해 헌신하였다. 그해 12월 동지회 뉴욕지방회의 차기년도 임원 선거에서 회장에 당선되었다. 1946년 1월에는 동지회 북미총회 제5차 연례 대표회에 참가하여 양로원 부채 청장금 뉴욕지방 수합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독립금 75달러를 후원하였다. 이외에도 1941년 동지회 담보금 2달러, 1944년 동지회 북미총회 재정보단에 10달러, 1946년 6월 『북미시보(北美時報)』 대금 5달러, 『북미시보』 식자기 특연금 50달러를 후원하기도 하였다. 정부는 2011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용진(관리번호:95371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