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027
성명
한자 安昌鎬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3 훈격 건국포장
1919. 3. 24 충남(忠南) 공주(公州) 영명학교에서 김관회(金寬會) 등과 동년 4. 1 공주 장날로 만세시위 거사일자를 정하는 등 사전계획을 협의하다가 피체되어 무죄를 받은 후, 하와이로 건너가 목사로 재직하면서 1932. 5월 상해 임정(上海臨政) 후원금을 매달 12원 갹출할 것을 약속하고, 1934. 4. 10 「하와이애국단」에 가입하여 김구(金九) 주석과 임정 후원에 대해 협의하면서 자신부터 1942. 7월에는 독립자금 5원을 갹출하는 등의 방법으로 임정 후원에 노력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1권(1994년 발간)

서울 사람이다.

1919년 4월 전국적으로 3·1독립운동의 열기가 고조되어 갈 때 공주(公州)의 만세시위 운동을 선도한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공주에 소재한 기독교계 학교인 영명학교(永明學校)에서 김관회(金寬會) 등과 회합을 갖고 4월 1일 장날을 기회로 독립만세 집회를 열 것을 협의하다가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붙잡혔다가 1919년 8월 29일 석방되었다. 그 뒤 하와이로 건너가 목사로 재직하면서 독립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1932년 5월 22일 감리교당에 40여 명의 한인이 모여 상해(上海)에서 건너온 현순(玄楯) 목사로부터 윤봉길의 홍구공원(虹口公園) 의거의 전말을 소상히 듣고 후원회를 조직하게 되었을 때, 매년 12원(圓)씩을 출연(出捐)할 것을 약속하는 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모금운동에 앞장섰다.

1934년 4월에는 원동(遠東)의 특무공작활동을 후원하던 비밀결사로 1932년부터 하와이지방에 조직되어 있던 하와이 애국단(愛國團)에 가입, 단의 사업을 더욱 확장하는데 힘썼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백범일지(1979) 23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255·256면
  • 신한민보(1932. 5. 26, 1942. 7. 23)
  • 재미한인오십년사(김원용) 215·21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1137∼114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안창호 - 서울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본문
1884년 1월 5일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별비면(別非面) 식송리(植松里) 심근솔 마을(현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일대)에서 태어났다. 호는 죽사(竹史)이다. 고향인 심근솔 마을은 죽산안씨(竹山安氏) 집성촌으로 죽산안씨는 선조대 서인(西人)의 핵심 가문이었지만 이후 몰락한 향반(鄕班)이 되었다. 1902년 삼촌 안재창(安載昌), 안재목(安載穆)과 문중 사람인 안재덕(安載德) 등이 하와이로 이민하였다.10세 때 아버지를 여위고 농사를 짓고 살다가 고모를 따라 인천(仁川)으로 이사하였고, 인천 내리교회를 다니며 기독교인이 되었다. 17세 때 인천 내리교회 권사 최병현(崔炳鉉)의 딸 배세와 결혼하였다. 최병현은 동서개발회사에서 일하는 자로 안씨 집안 이민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상경하여 배재학당에서 수학한 후 1907년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스(禹利岩, Frank Earl Cranston Williams)를 따라 공주(公州)로 내려가 공주 감리교회 조사로 활동하였다. 1910년 목사인수를 받고 1912년 공주 감리교회 제7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1915년까지 재직하였다.1916년부터 천안 지방 순회목사 겸 천안교회 담임목사로 재직하였다. 당시 활발하던 야학 설립운동에 동참하여 천안 지방에 영어야학회를 설립하였다. 1919년 3월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김관회(金寬會)·현석칠(玄錫七)·이규상(李圭尙)·오익표(吳翼杓) 등과 공주면(公州面) 대화정(大和町, 현 중동 일대) 영명학교(永明學校)에 모여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4월 1일 공주 장날에 맞춰 만세운동을 준비하던 중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1919년 7월 28일 예심 결과 이른바 보안법 과+Q82 출판법 위반으로 공판에 회부되었다. 같은 해 8월 29일 공주지방법원 판결에서 시위 계획이 비밀리에 행해져 치안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이유로 무죄를 받았다. 그러나 딸과 함께 이화여고를 다닌 유관순을 조종하였다고 지목받아 6개월간 옥고를 겪었다.이후 목회활동을 이어가다 감리교 조선 선교회 파송 선교사로 선정되어 1926년 6월 10일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1927년 3월부터 와히아와(Wahiawa) 한인감리교회 목사로 재직하면서 한인 2세를 위한 교재를 만들어 교육하는 등 청소년운동을 펼치며 교회를 발전시켰다.1920년대 말부터는 상하이(上海)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정지원에 앞장섰다. 1931년 11월 15일에는 임시정부에 1천 달러를 보내 독립운동을 지원하였고, 이 자금은 이봉창(李奉昌)과 윤봉길(尹奉吉) 의거에 사용되었다. 1932년 5월 22일 현순(玄楯) 목사로부터 윤봉길의 상하이 훙커우공원(虹口公園) 의거 소식을 전해 듣고 와히아와 임시정부 후원회를 조직하여 1년에 12원(圓)을 내기로 하는 등 독립운동 재정지원을 약속하였다.1934년 4월 10일에는 하와이 애국단(愛國團)에 가입하여 임시정부뿐만 아니라 원동(遠東)지역 특무활동을 지원하였다. 독립운동 자금 후원은 독립을 맞이할 때까지 각종 의연금 항목으로 지속되었다.1940년 5월 9일 김구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이 결성되면서 하와이 애국단은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로 이름을 변경하여 활동하였다. 태평양전쟁이 진행되던 1941년, 하와이 와히아와 독립당 대표로 선출되어 미주 각 지역의 대표들과 조선독립을 심의하였다.한편, 하와이에서 목사로 재직하면서 재미한인사회와 고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며 한인사회 사정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939년에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중앙총회 총회장 김호(金呼)와 함께 나성(羅城, 로스앤젤레스) 국민회 총회관을 심방하고 상항(桑港, 샌프란시스코)에서 박람회를 둘러보기도 하였다.광복 이후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대표단으로서 회원 8명과 함께 1946년 2월 귀국하였다. 반 년 가량 되는 체류기간 동안 국내 정치세력의 통합과 민족통일 목표를 위해 노력하였다. 미국으로 돌아가 1969년 12월 31일 호놀룰루(Honolulu)에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공주지방법원 공판에 부침 공주지방법원 1919-07-28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무죄 공주지방법원 1919-08-29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안창호(관리번호:902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