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88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李義俊
이명 李秉俊, 韓雄權, 韓有權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년도 1968 훈격 독립장

관련정보


1999년 0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참의부(參議府) 1중대(中隊) 1소대장(小隊長)
동아일보(東亞日報) 1923.12.23~1926.12.28 사형집행명령서(死刑執行命令書) 검비(檢秘) 1282호
2. 1923년 6월 6일 평북경찰부(平北警察部) 수사대(搜査隊)교전(交戰)
3. 1923년 4월 12일 우편체송(郵便遞送) 중동(中東)현금(現金) 1,500(圓) 탈취(奪取)
4. 1923년 8월 21일 강계경찰서(江界警察署) 풍청출장소(豊淸出張所) 습격 방화 왜경(倭警) 1(名) 사살(射殺)
5. 1924년 5월 19일 압록강(鴨綠江), 하강중(下江中)재등(齋藤)총독 저격
6. 1924년 7월 24일 밀정(密偵) 장갈성(張渴成)사살(射殺)
7. 1924년 7월 15일 김창균(金昌均)과 같이 밀정(密偵) 한일룡(韓一龍)사살(射殺)
8. 1925년 6월 19일 강계경찰대(江界警察隊)교전(交戰)
9. 1928년 11월 9일 피체(被逮) 평양복심법원(平壤覆審法院)에서 사형 확정(死刑確定)
10. 1929년 1월 25일 사형 집행(死刑執行) 독립운동 관계(獨立運動關係) p.212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4권(1987년 발간)

평북 위원(渭源) 사람이다.

1922년 8월 김창균(金昌均)과 같이 만주로 건너가서 참의부 제1중대 제1소대장에 임명되어 무장항일 투쟁을 하였다.

1923년 4월에는 우편으로 운반 중인 일본돈 1,500원을 빼앗아 군자금에 충당하였으며, 동년 6월에는 평북경찰부 수사대와 만나 총격전을 벌이고 도피하였다. 동년 8월 21일에는 강계(江界)경찰서 청풍(淸豊)주재소를 습격하여 일경을 사살하고 방화하기도 하였다.

1924년 5월 19일에는 이춘화(李春和)·김창균(金昌均)·현성희(玄成熙)·이명근(李明根)·김여하(金呂河)·전창식(全昌植)·장창헌(張昌憲) 등과 함께 국경순시차 경비선을 타고 압록강 중류 마시탄(馬嘶灘)을 통과하는 재등실(齋藤實)총독을 사살하고자 사격을 가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동년 7월 15일에는 김창균과 같이 밀정 한일룡(韓一龍)을, 동년 7월 24일에는 밀정 장갈성(張渴成)을 각각 사살하였다. 1925년 6월 19일에는 다시 강계(江界)에 진입하여 활동하다가 일경과 교전하였다.

1926년 말에 만주에서 체포되었으며 1928년 11월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어 1929년 1월25일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8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동아일보(1923. 12. 23, 1926. 12. 28, 1927. 10. 17, 10. 18, 10. 19, 12. 23, 1928. 11. 8, 11. 13)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47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1권 413·414·415·419·420·422·423·424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45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8권 647·768·913·928·93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2권 1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의준 이병준(李秉俊)·한권웅(韓權雄) 평북 위원 마시탄의거
본문
기록에 따르면 1927년 당시 35세로, 1893년생으로 추정된다. 본적은 평안북도 위원군(渭原郡) 밀산면(密山面) 송주동(松奏洞)이다. 만주로 건너간 이후에는 펑텐성(奉天省) 지안현(輯安縣) 타이핑거우(太平溝)에 거주하였다. 이명으로 이병준(李秉俊)·한권웅(韓權雄) 등을 사용하였다.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참의부(參議府)에 가입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1923년 1월 김창균(金昌均)과 만주로 건너가 대한통의부 의용군 제1중대에서 활동하였다. 그해 6월 6일 김정욱(金貞旭) 외 3명과 평북 강계군(江界郡) 어박면(漁雹面) 풍룡동(豊龍洞) 구창참(舊蒼站)에서 평안북도경찰부 수색대와 교전 후 자취를 감춰 일제의 국경 치안에 충격을 주었다. 당시 독립군 단원들은 각각 약 70발의 탄환을 소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6월 12일 오전 12시경에는 위원군 봉회면(鳳回面) 호동령(芦洞嶺)에서 고산령우편국에서 위원군우편국으로 운송되던 우편물을 탈취하여 우편물과 함께 있던 현금 1,500원을 군자금으로 충당하였다. 또한 위원군 대덕면(大德面) 장기섭(張基涉)의 집에서도 군자금 50원을 모집하였다. 8월 21일에는 이화주(李化周) 외 6명을 거느리고 강계군 풍청동(豊淸洞) 하청참(河淸站)에 있는 경찰관임시출장소를 습격하여 경찰관 1명에게 총상을 입혔으며, 근처의 민가 9채를 불태웠다. 1923년 9월 참의부가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였다. 1924년 5월 19일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압록강 대안 국경지대 순시에 나선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제1중대장 백광운(白狂雲)의 지휘 아래 작전에 돌입하였다. 장창헌(張昌憲)·이춘화(李春和)·김창균(金昌均) 등의 대원들과 마시탄(馬嘶灘)의 중국측 대안인 지안현(輯安縣) 사랑곡(四狼谷) 팔합목(八合目)에 잠복하고 있다가 경호선 비조환(飛鳥丸)을 총독이 승선한 배로 알고 총격을 가하였으나, 뒤따르던 웅비호(雄飛號)에 타고 있던 사이토는 총격전 틈을 타서 도망쳐버려 작전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해 7월 15일 김창균과 일제 밀정 한일룡(韓一龍)을 총살·처단하였으며, 7월 16일 평북 강계군 곡하면(曲河面) 쌍부동(雙富洞)에서 신의주와 강계를 잇는 전신주 5개와 같은 군 어운동(漁雲面)에서 전신주 4개를 절단하여 통신을 두절시켰다. 이어 신용섭(申龍燮) 등 6명의 대원을 거느리고 강계군 공서면(公西面) 두흥동(斗興洞)의 계인계(桂仁桂)와 인근 염진희(廉珍熙) 집에서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7월 24일에는 밀정 장갈성(張渴成)을 총살·처단하였다. 또 강계군 시중면(時中面) 시천동(時川洞)의 김찬원(金燦元) 집에서 두 차례에 걸쳐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1925년 6월 19일 재차 강계에 진입하여 일제 경찰과 전투를 벌였다. 1926년 말 중국 관헌에 체포되어 일제 경찰에 인계되었다. 이어 평북 만포경찰서(滿浦警察署)에서 조사를 받고, 1927년 10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1928년 11월 6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이른바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과 전신법(電信法) 위반, 통신 방해죄로 사형을 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6척(尺) 장신의 건장한 체격의 검은 얼굴’의 그가 법정에 들어서자 방청객들은 ‘삼국지에 나오는 장비 같다’고 웅성거렸다고 한다. 사형이 확정되자, 재판장을 향해 ‘이미 각오한 바이니 마음대로 하라’는 말을 남기고 퇴정하였다. 평양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 1929년 1월 25일 형 집행으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의준(관리번호:888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