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720
성명
한자 宋浚弼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년 3.1운동(運動)참가 후(參加後) 김창숙(金昌淑) 등과 함께 활동중(活動中) 피포(被捕)되어 징역 2년을 받음.(동아일보(東亞日報), 계년사(季年史))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경상북도 성주(星州) 사람이다.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한 파리장서(巴里長書)에 한국 유림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으며, 4월 2일 성주읍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거국적인 3·1독립선언식의 민족대표 33인 중에 유학자들이 빠지게 된 것을 통분해 하고, 또 일제가 광무황제에게 결재하도록 강요한 독립불원서((獨立不願書)에 유림들이 들어있음을 알고, 한국 유림들이 조국의 독립을 간절히 원하고 있는 진정한 의사를 직접 파리강화회의에 보내는데 참여하였다.

이에 그는 소위 파리장서라고 하는 2,674자의 장문에 곽종석(郭鍾錫)·김복한(金福漢)·김창숙(金昌淑)·이기정(李基定) 등 한국 유림대표 137명 중 한사람으로서 서명하였다. 그후 이 파리장서는 김창숙이 상해(上海)로 전달하였고, 다시 파리에 한국대표로 파견되어 있던 김규식(金奎植)에게 송달하였으며, 국내의 향교에도 우송되었다.

그리고 이기정·이기원(李基元)으로부터 서울에서 전개된 독립선언식과 다른 지방의 독립만세운동 상황에 대하여 자세히 전해 들은 그는 송회근(宋晦根) 등 송씨문중의 유력자들을 불러놓고 이 지방에서도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할 것을 제의하였다. 이에 이기정·송회근·성대식(成大湜)·송수근(宋壽根)·송문근(宋文根)·이봉희(李鳳熙)·송인집(宋]寅輯)·송천흠(宋千欽) 등이 찬동하여, 성주읍 장날인 4월 2일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한편, 유진성(兪鎭成)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도들에 의한 독립만세운동 계획이 있음을 안 그는 이들과 협의하여 함께 공동전선을 펴기로 하고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사전준비를 마쳤다.

4월 2일 오후 1시, 점차 시위군중이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을 때, 먼저 경산동(京山洞) 관제묘(關帝廟) 뒷산에 집결하였던 기독교도들이 태극기를 높이 들고 시장을 향하여 독립만세를 외치자 그도 시장에 모인 3천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때 겁을 먹은 일본 경찰주재소에서 발포하여 시위군중을 해산시키려 했으나, 그는 시위군중과 함께 이에 굴하지 않고 밤 11시까지 계속해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후 일제의 대대적인 검속 때 체포되어 대구(大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1년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고등경찰요사 36·247·248면
  • 벽옹 김창숙일대기 95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70면
  • 판결문(1919. 8. 21 대구복심법원)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8권 928·935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3권 137·465·466·46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송준필 자 : 순좌(舜佐), 호 : 공산(恭山) 경북 성주(星州) 파리장서운동, 성주군 성주면 만세운동
본문
1869년 10월 18일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고산동(高山洞, 현 고산리)에서 아버지 송기선(宋祺善)와 어머니 영천최씨(永川崔氏)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순좌(舜佐), 호는 공산(恭山)이다. 1880년 12세 나이로 송대선(宋大善)에게 입양되었다. 1905년 종손인 형 송준모(宋浚謨)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어린 조카 송회근(宋晦根)을 도와 가문을 유지하였다. 집안에서 한학을 수학하면서 할아버지 송홍익(宋鴻翼)에게 사략(史略), 아버지 송기선에게 소학, 문중 어른인 거암(遽庵) 송인각(宋寅慤)에게 논어를 배웠다. 1886년 조선 말기의 거유(巨儒)인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문인이 되었다. 1898년에는 안동(安東)의 거유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문하에 들었다. 영남지방 사림들 사이에서 그 문사가 널리 알려져 그 문도가 수백 명에 달하였다. 1919년 3월 유교계의 독립청원운동인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였다.1919년 만세운동이 전개되고 있던 때에 서울에서 온 이달필(李達馝)에게서 만세시위와 파리강화회의 소식을 전달받았다. 3월 중순 충숙공파 종택인 백세각(百世閣)에서 송회근·송인집(宋寅輯)·송규선(宋圭善)·송인건(宋寅健)·송인근(宋仁根)·송수근(宋壽根)을 불러모아 문중회의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같은 달 하순 김창숙(金昌淑)이 파리장서운동의 서명자를 규합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기 위하여 성주에 오자 이에 동참하기로 결정하였다. 송규선을 김창숙과 동행하게 하여 거창(居昌)에 가서 곽종석(郭鍾錫)을 돕게 하였다. 3월 하순 김창숙이 서명자 명단 수합을 끝낸 뒤 상경하기 직전 성주에 들렸는데, 아들 송수근을 성주의 부호 여보회(呂輔會)에게 보내 2,000원을 얻어 이를 김창숙에게 여비로 전달하였다.또 한편에서는 인근에 거주하는 원로 장석영(張錫英)에게 보내 협력 의사를 확인하고 장석영의 글을 받아 「국내통고문(國內通告文)」을 완성해 수천 매를 인쇄해 성주군 내에 배포하였다. 이를 통해 4월 2일 성주면 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 직접 성주면 만세시위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문중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성주면 만세시위 현장에서 송우선(宋祐善)·송훈익(宋勳翼)·송문근(宋文根) 등이 경찰에 붙잡혔다.1919년 4월 2일 성주면 만세시위의 여파로 4월 5일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 그 해 5월 20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자 8월 2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받고 풀려났다. 이때의 무죄는 유림의 거유를 후대하여 유림단의 만세시위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추정된다.이후 경북 김천(金泉)으로 이거해 황학산 기슭 부곡동(富谷洞)에서 은거하며 후학지도에 열중하다가, 광복을 1년 앞둔 1944년 8월 28일 사망하였다. 후학들이 서당에 숭덕사(崇德祠)를 지어 제향하였고, 이후 숭덕사 앞에 원계서원(遠溪書院)을 건립하였다.저술로 문집인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을 비롯해 『심통성정삼도발휘(心統性情三圖發揮)』, 『사물잠집설(四勿箴集說)』, 『육례수략(六禮修略)』, 『속속자치통감강목(續續資治通鑑綱目)』 등이 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년6월 대구지방법원 1919-05-2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무죄(원판결 취소) 대구복심법원 1919-08-21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백세각 항일의적비 경상북도 성주군
2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대구광역시 달서구
3 비석 파리장서 비 경상남도 거창군
4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서울특별시 중구
5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6 생가 백세각 경상북도 성주군
7 비석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비 전라북도 정읍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송준필(관리번호:872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