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498
성명
한자 宋炳河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43. 6. 광복군 제3지대에 현지 입대된 후 제1구대(區隊) 제2소대장(小隊長)으로 활동한 공적이 있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정위(正尉)로 복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7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11·421·422·61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송병하 - 평북 의주(義州) -
본문
1926년 12월 12일 평안북도 의주(義州) 출신이다. 1942년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1지대에 근무한 부친 송복덕(宋福德)의 영향으로 광복군에 입대하였다.부친 송복덕은 1941년 초, 9전구 지역에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제3지대 소속이었다가 1942년 4월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되면서 광복군 제1지대원으로 활동하였다. 또 같은 해 10월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원(警衛隊員)이자 한국독립당원으로 활동하였다. 부친의 영향으로 카이펑(開封) 지구에 파견되어 활동하였고, 1944년에는 친형 가족 4명 등과 광복군 훈련단에 입소하여 4개월 뒤 참위로 임관하였다.1944년 9월 하순 이영수(李英守)·김군남(金君南) 등과 푸양(阜陽)으로 옮겨 활동하였고, 1945년 1월 광복군 제3지대 2분대장이 되었다. 1945년에 접어들면서 한인 병사에 대한 초모, 선전 공작이 성과를 거둠에 따라 광복군 인원이 증가하자, 광복군 내에서 독립정신 함양과 군사기술 향상 및 기간 간부화를 목표로 훈련을 실시하였다. 1945년 2월 정위로 진급하였고, 제3지대 제2소대장에 임명되어 훈련대 각 대의 조교를 통솔하여 신입대원 훈련을 진행하였다.1945년 3월 17일부터 제3지대가 정식 편성되면서 훈련대도 구대(區隊)로 확대되었다. 구대의 각 소대 밑에는 2개 분대가 편성되어, 이때 소대장이자 교관으로 활동하였다. 또 이복원(李復源)·박영준(朴英俊) 등과 교본편찬위원을 맡아 미군과 중국군의 장점을 바탕으로 일본식 교련 방식을 가미한 훈련교본을 편찬하였다.광복 이후 1946년, 광복군 육군중장 이범석(李範奭) 일행과 함께 귀국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송병하(관리번호:849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