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1647
성명
한자 鄭良弼
이명 鄭永弼, 갑뢰, 정충모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정순만의 장남으로 1905년 도미(渡美)하여 1913년 네브라스카 헤이스팅시의 한인소년병 학교를 졸업하였고 1919. 4월 서울에서 열린 국민대회(國民大會)에서 한성정부(漢城政府)평정관(評政官)으로 선임되었고 194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디트로이트 지방총회의 회원(會員)으로 가입하여 1942. 1월부터 6월까지 수차 독립금을 출연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3권(1996년 발간)

충북 청원(淸原) 사람이다.

정순만(鄭淳萬)의 아들로 1905년 2월 박용만(朴容萬)·유일한(柳一韓)·정한경(鄭翰景) 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도미(渡美)후 1906년 박용만의 숙부 박장현(朴章鉉)을 비롯하여 유일한·정한경 등과 함께 미주 중서부지역인 네브라스카주 커니시에 취역하여 커니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09년 6월 박용만이 미국내 최초의 한인군사학교인 '한인소년병학교(韓人少年兵學校)'를 설립하자, 이에 입교하여 동교 야구팀 및 육상팀 군사훈련부 등에서 활동하며 장차 독립전쟁 발발시 항일투쟁에 필요한 사관생도로서 전투훈련 수업을 받고 졸업하였다. 한인소년병학교 졸업 후 1913년 가을 네브라스카주립대학에 입학하여 농학특업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19년 4월 13일 대표들이 서울에서 비밀회의를 갖고 국민대표 25명과 함께 한성임시정부(漢城臨時政府) 각원을 발표할 때 평정관(評政官)으로 선임되었으며, 1942년 12월 당시 북미(北美)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디트로이트 지방총회 회원으로 활동하였고, 1942년 1월부터 6월까지 수차에 걸쳐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일생을 조국의 국권회복운동을 위해 헌신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4권 139면
  • 국민보(1914. 7. 15)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20면
  • 사진(소년병학교 육상팀 군사훈련부, 1913)
  • 신한민보(1918. 5. 30, 1942. 1. 8, 1. 22, 3. 26, 4. 30, 6. 18, 8. 6)
  • 사진(소년병학교 야구팀 기념촬영, 1912)
  • 조선민족운동년감 1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정양필 본명 : 정충모, 이명 : 갑뢰, 정영필(鄭永弼) 충북 청주(淸州) -
본문
1893년 12월 1일 충청북도 청주군(淸州郡) 옥산면(玉山面, 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덕촌리(德村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본명은 정충모이며, 1909년 정양필(鄭良弼)로 개명하였다. 이명은 갑뢰‧정영필(鄭永弼)이다. 아버지는 독립운동가 정순만(鄭淳萬)이다. 1905년 박용만(朴容萬)이 미국으로 건너갈 때 이승만의 아들 이태산과 함께 가서 하와이(Hawaii)에서 생활하였다. 호놀룰루 감리교에서 운영하는 한인학원에서 공부하다가 박용만을 따라 네브라스카주(State of Nebraska) 커니시(Kearney County)로 가서 1906년 커니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07년 박용만의 소개로 커니군사고등학교 사감집의 스쿨보이로 일하였고, 학교 식당 설거지와 청소 등을 하면서 커니군사고등학교를 다녔다. 1910년부터는 한인소년병학교에 입학하여 하계군사훈련을 받으며, 야구팀·육상팀·연극부 과외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졸업 후 링컨(Lincoln)시로 가서 1913년 네브라스카 주립대학에 입학하여 안재창(安載昌)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학비를 벌었다. 1917년 농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14년 한인유학생회가 발족되면서 영문잡지 『The Korea Students’ Review(韓人學生報)』 발행 사무를 맡았다. 1912년 소년병학교가 폐교 위기에 처하자 소년병학교 유지단을 조직하여 활동 취지를 『국민보』에 실어 호소하였다. 만세운동 후인 1919년 4월 13일 서울에서 국민대표 25명이 한성임시정부 각원을 선출할 때 평정관에 선임되었다. 같은 무렵 디트로이트로 옮겨 경양식점 Seoul Restaurant을 개점하였다. 이듬해 이화숙(李華淑)과 결혼하였는데, 이화숙은 이화여자전문학교 졸업생으로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를 후원하였던 인물이다. 1921년 양찬관 문을 닫고 안재창·조오흥(曺五興)과 라초이(La Choy) 식품회사에서 일하였고, 1922년 안재창과 정안회사(鄭安會社, Jhung & Company)를 세웠다. 정안회사는 미국식 중국요리인 ‘찹수이(Chop suey, 雜砕)’ 도매회사로, 이후 많은 한인 동업자를 모집하였다. 합자회사로 시작하여 1925년에는 자본금 30만 달러의 주식회사로 성장하였다. 재미 한인사회에서 가장 큰 회사로 수익금은 임시정부 독립운동 자금으로 쓰였다. 정안회사의 성장에 맞춰, 디트로이트 한인사회의 지도자로 성장하였다. 1932년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 의거 후 찾아온 김규식(金奎植)에게 숙소를 제공 접대하였고, 미시간주대학의 한국 학생들과 이승만(李承晩)·유일한(柳一韓) 등 여러 인물이 방문하였다. 한인사회의 부탁으로 교회 설립도 추진하였고, 일요 가정예배를 시작하여 한인사회의 결속을 다지는 데 노력하였다. 1942년 디트로이트에 대한인국민회 지방회 설립 청원서를 제출하고,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태평양전쟁 시기 디트로이트 한인들과 자동차를 구입하여 헌혈차로 적십자에 기증하였고, 미국 연방정부의 전쟁 공채 200달러도 구입하였다. 1943년 대한인국민회 제7차 대표대회에 디트로이트 대표로 참여하였고, 1944년 6월 19일 열린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군사학 편찬위원으로도 선임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정양필(관리번호:8164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