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781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車永川
이명 車永天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대통령표창
1928년 대한인국민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서기, 1931년 대한인국민회 서기, 1942년 샌프란시스코 지방회 실업위원 등으로 활동하면서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28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대한인국민회총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 등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28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었고, 1929년 1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제20회 대의원회, 9월 멕시코 오부리곤지방회 대의원 특별대의원회에 참석하였다.

1930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서기, 1931년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 한인들의 실업연구회 재무로 활동하였다. 1933년 1월 대한인국민회총회 제24차 대의원회에 참석하였고, 1943년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교육위원과 실업위원이 되었다. 1927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27. 9. 15, 1928. 10. 18, 12. 6, 1929. 1. 17, 9. 5, 12. 12, 1931. 1. 22, 6. 4, 6. 25, 1932. 2. 18, 3. 10, 4. 28, 6. 9, 7. 21, 1933. 9. 28, 10. 19, 1934. 2. 15, 9. 13, 1935. 7. 25, 12. 19, 1936. 6. 4, 10. 15, 12. 3, 1937. 6. 10, 8. 19, 10. 7, 11. 11, 1938. 3. 31, 5. 19, 8. 18, 11. 17, 1939. 5. 4, 10. 5, 1940. 2. 15, 3. 28, 4. 11, 7. 4, 9. 5, 10. 31, 1941. 1. 9, 4. 17, 6. 26, 7. 24, 10. 2, 1942. 2. 12, 2. 26, 3. 5, 4. 16, 6. 4, 6. 25, 8. 13, 10. 29, 12. 16, 12. 24, 1943. 2. 11, 4. 29, 9. 2, 11. 4, 1944. 7. 20, 12. 21, 1945. 3. 15)
  • 國外容疑朝鮮人名簿(朝鮮總督府 警務局, 1934) 180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6권 20, 5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차영천 - 평남 강동(江東) -
본문
평안남도 강동군(江東郡) 원탄면(元灘面) 송오리(松塢里)에서 태어났으며, 출생 시기는 알려지지 않는다. 중국 난징(南京)의 진링대학(金陵大學)에서 수학 후 1923년 11월 14일 권기복·김건우·양복학·김정숙과 유학을 목적으로 미국에 건너와서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에 자리 잡았다. 1926년 3월 20일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로 옮긴 후, 1929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상항지방회 서기로 활동하면서 대한인국민회 창립기념식, 3·1운동, 국치기념 및 선국선열 기념식 등을 주관하며 항일정신과 독립의식 고취에 노력하였다. 1929년 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제20차 대한인국민회 대의원회에 뉴육(紐育, New York)지방회 대의원 곽림대(郭林大)를 대신하여 참석하였고, 9월에는 멕시코 오부레곤(Obregon)지방회 대의원 류승여를 대신하여 대의원회에 참여하여 미주한인사회의 독립운동 방향을 논의하였다. 1930년 상항지방회 서기로 활동하면서 대한인국민회 창립기념식, 3·1운동, 국치 및 선국선열 기념식 행사 등을 주관하며 독립운동의 당위성을 고취하였다. 1931년 1월 제22차 대한인국민회 대의원회 서기로 활동하였다. 6월에는 임정구·백일규·우병욱 등과 미주한인 사회 및 독립운동의 지속, 독립 이후 신생정부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상항실업연구회를 조직하고, 재무를 맡았다. 1943년 1월에는 멕시코 탐피코(Tampico)지방회 대의원 최창선(崔昌善)을 대신하여 제24차 대한인국민회 대의원회에 참석하였다. 1943년 상항지방회 실업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44년에는 교육위원으로 선임되어 한인 2세대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독립운동가로 양성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1927년 9월 15일부터 1945년 3월 15일까지 15차례에 걸쳐 국민의무금 160원, 1928년 10월 18일부터 1944년 12월 21일까지 6회에 걸쳐 대한인국민회 보조금 47원, 1928년 10월 18일부터 1936년 10월 15일까지 3회에 걸쳐 국내 수재동포 구제금 3원 50전, 1931년 1월 22일 국내에 여자대학 설립 지원금 5원, 1932년 2월 18일 군자금 3원, 7월 21일과 1943년 9월 16일에는 상항지방회 국어학교 운영비 24원 50전, 1937년 10월 7일 중국 항일전쟁 동정금 10원, 11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후원금 5원, 1938년 11월 17일과 1939년 10월 5일 국민부담금 9원, 1940년 7월 20일부터 1941년 1월 9일까지 한국광복군 지원금 200원, 1941년 10월 2일부터 1944년 7월 20일까지 3회에 걸쳐 독립금 220원, 1942년 2월 12일 국방공채금 1,000원 등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차영천(관리번호:7378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