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769
성명
한자 林成實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19년 미국(美國) 다뉴바신한부인회 대표로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설립에 참여하였고 1921년 동단(同團) 다뉴바지부 단장(團長), 1922년과 1939년에는 동단(同團) 위원으로 활동함.
1919년부터 1944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19년부터 1944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다뉴바(dinuba)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다뉴바 지부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1919년 3월 2일 캘리포니아주 다뉴바에서 신한부인회가 조직되자, 5월 18일 한인부인회 대표 양제현과 신한부인회 대표 강원신 등은 5개 지방 부인회를 통합하기로 결정하였다. 임성실은 8월 2일 다뉴바에서 개최된 부인회 합동발기대회에 한성선ㆍ이은기ㆍ이성애와 신한부인회 대표로 참석하여 합동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대한여자애국단을 조직하였다.

1921년 8월 대한여자애국단 다뉴바지부 단장으로서 애국단 창립 2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고, 같은 해 11월 11일 제1차세계대전 휴전기념식 설비위원이 되었다. 한편, 상해에서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 기성회가 조직되자, 11월 다뉴바 국민대표회 기성회를 조직하고 회원이 되었다.

1938년 11월 대한여자기독청년회 구제원, 1940년 대한여자애국단 로스앤젤레스지부(羅城支部)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1919년부터 1944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19. 2. 20, 4. 3, 5. 8, 5. 22, 1921. 8. 11, 10. 27, 11. 3, 12. 1, 1922. 3. 30, 1923. 8. 16, 1925. 9. 17, 1926. 6. 3, 1927. 6. 9, 1928. 5. 10, 10. 4, 1932. 2. 18, 3. 24, 1933. 11. 16, 1937. 3. 25, 8. 5, 1938. 2. 24, 4. 14, 11. 17, 1939. 10. 19, 11. 2, 12. 7, 12. 21)
  • 독립(1944. 10. 4)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1976) 제8집 739면, 제14집 426면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8) 제10권 88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임성실 - - -
본문
1882년 7월 19일에 태어났으며, 자료의 부족으로 출신지와 도미과정은 알 수 없다. 미주에서 다뉴바 신한부인회, 대한인여자애국단, 국민대표대회기성회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1919년 8월 2일 한성선·이은기·이낸시·이성애 등과 다뉴바(Danuba)지방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 대표로 대한인여자애국단(大韓人女子愛國團) 창립을 주도하였다. 대한인여자애국단은 미주 각 지역의 부인회를 통일하고 독립운동을 후원할 목적으로 설립된 최대의 여성단체였다. 1921년 8월 대한인여자애국단 다뉴바지부 단장으로 창립기념식을 거행하였고, 12월에는 다뉴바지방 국민대표대회기성회에 참석하여 독립운동 방략 통일에 노력하였다. 1922년에는 다뉴바지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8년 대한인여자애국단 나성지부에서 구제원으로 활동하였고, 1939년에는 중국항일전쟁을 후원하기 위한 수전위원으로 독립운동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1940년에는 나성지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2월 20일에는 특별의연금으로 50원, 1919년 4월 3일부터 1939년 12월 21일까지 국민의무금으로 6회에 걸쳐 42원 50전, 1919년 5월 8일과 5월 22일 대한인여자애국단 관련 비용 70원, 1921년 10월 27일 서재필의 특별외교 활동비 10원, 1925년 7월 17일부터 1939년 10월 19일까지 인구세로 9회에 걸쳐 9원, 1932년 2월 18일 대한인여자애국단 창립기념금 50전, 3월 24일 3·1운동 기념금 60전, 5월 19일 윤봉길 의거 후 독립운동가 지원 후원금 2원, 1937년 10월 14일부터 1938년 11월 10일까지 3차례에 걸쳐 중국동정의연금 4원 85전, 1944년 10월 4일 군사운동금 52원 50전 등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임성실(관리번호:7376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