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764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李進日
이명 李震一, 李晋一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4 훈격 건국포장
1922년 1월 미국(美國) 뉴욕에서 대광단(大光團)(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支部))을 조직하고, 1924년 12월 뉴욕교민단(僑民團)을 설립해 10여 년간 단장(團長)을 역임하며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를 후원했으며, 1933년 6월 뉴욕교민단장(僑民團長) 자격으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 뉴욕지부(支部)에 가입하고, 동년 7월경 중한민중대동맹(中韓民衆大同盟) 뉴욕지부(支部) 한국측(韓國側) 정대표(正大表), 1934년 8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재무부(財務部) 주미 제(駐美第)5행서(行署) 비서(秘書)로 임명되었으며, 1940년경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후원하기 위한 의용대후원회연합회(義勇隊後援會聯合會) 뉴욕대표(代表), 1941년경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支部) 총무(總務), (뉴욕)한인연합회(韓人聯合會) 위원(委員)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22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뉴욕에서 대광단(大光團)을 조직하고, 중한민중대동맹(中韓民衆大同盟) 뉴욕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재무부 주미제5행서, 뉴욕 한인연합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1922년 1월 15일 이봉수(李鳳秀) 등 8명과 함께 비밀결사 대광단을 조직하였다. 대광단은 1926년 6월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로 개칭되었다. 1924년 12월 10일 안정수(安定洙) 등과 함께 뉴욕한인교민단을 설립하고 단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32년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회계로 활동하였다.

1933년 6월 25일 뉴욕한인교민단 단장으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 뉴욕지부, 7월에 중한민중대동맹 뉴욕지부에서 활동하고, 1934년 8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재무부 주미제5행서(行署) 비서, 1940년 조선의용대후원회연합회 뉴욕대표, 1941년에는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총무, 뉴욕한인연합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면서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4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20. 4. 2, 1921. 8. 18, 1933. 7. 13, 9. 28, 1934. 10. 18, 1936. 3. 5, 1941. 3. 6, 1942. 1. 8)
  • 同志會 沿革에 關한 건(1938. 8. 19), 民族革命을 目的으로 하는 同志會(秘密結社 興業俱樂部) 事件 檢擧에 관한 건(1939. 8. 9) 延禧專門學校 同志會 興業俱樂部 關係報告
  • 在外 要視察人 歸來에 關한 건(1930. 2. 20) 思想에 關한 情報綴(2)
  • 朝鮮義勇隊 成立 第3週年 紀念 特刊(朝鮮義勇隊 總隊部, 1941, 독립기념관 소장)
  • 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1968) 제2권 293~29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제8집 731면
  • 韓國民族運動史料(國會圖書館, 1976) 中國篇 843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127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5) 제1집 185면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제4권 634~635면
  • 독립운동의 역사 54(1920년대 이후 미주?유럽지역의 독립운동, 고정휴, 2009) 74면
  • 아메리카대륙의 韓人風雲兒들(上)(조종무, 조선일보사, 1987) 214~21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진일 이진일(李震一·李晋一), 영어명 : Ye, Chin il 경남 양산(梁山) -
본문
경남 양산군(梁山郡) 출신으로 이명은 한자가 다른 이진일(李震一·李晉一)을 썼고 영어명은 Ye Chin il이다. 하와이 이민국 입국 자료에 의하면, 1904년 11월 18일 22세로 코리아호를 타고 동생 이문일과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따라서 출생년도는 1881년으로 추정된다. 아내는 이나례이고, 1921년 2월 아들을 잃었으나 그해 7월 10일 새로 아들을 얻었다. 1906년경 미 본토로 이주하여 12월 초 하와이에서 건너온 조원두 등 56명과 공립협회(共立協會)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에 가입하였다. 이후 이문일과 함께 콜로라도주 덴버(Denver)로 이주하여 철도 노동에 종사한 것으로 보인다. 1907년 5월 16일 이문일이 기차에 치여 사망하자, 유피(UP) 철도회사로부터 유족증여금 100달러를 보상받았다. 1908년 11월에는 콜로라도주 이튼 지방에 거주하였다. 1909년 5월경 김성진·홍승창과 ‘학생 신분’으로 덴버에 있었다고 한다. 1910년 11월 26일 덴버에 거주하면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지방총회 산하 샌프란시스코지방회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같은 해 1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된 애국동맹단(愛國同盟團)에 의연금 2달러 50센트를 후원하였다. 1912년 11월 콜로라다주 오마하(Omaha)에 거주하던 이기운에게 학비로 금화 10원을 후원받았고, 1914년 7월 콜로라도주 덴버대학 예비과를 졸업하였다. 1917년 4월 덴버에 거주하면서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기관지인 『신한민보(新韓民報)』 체송(遞送)학생으로 신문을 보급하였다. 이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골동품상점을 운영하면서 1920년대부터 뉴욕 한인사회에서 손꼽히는 사업가로 자리 잡았다. 1920년 3월 1일 뉴욕에서 3.1절 경축식 개최를 위해 5달러를 기부하였다. 1920년 중국 간도(間島)에서 일본군이 한인 양민을 학살한 간도참변(間島慘變) 소식이 전해지자, 1921년 3월 간도참상구제금으로 5달러를 기부하였다. 8월에는 11월에 개최되는 워싱턴회의 대표 파견경비로 50달러를 기부하였다. 12월 31일 뉴욕시 구미위원부 사무실에서 이승만 등 7명이 비밀결사 를 준비하자, 2주일 후인 1922년 1월 15일 뉴욕 이봉수(李鳳秀)의 집에서 동지 8명과 대광단(大光團)을 조직하였다. 대광단은 1926년 6월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뉴욕지부로 개칭되었다. 1923년 4월경 뉴욕 차이나타운에서 정인수가 경영하던 한민상회를 인수하여 동양물산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사업을 계속하였다. 8월경 동양물산회사 수입이 월 4천여 달러에 이르는 등 한민상회 시절에 비해 3~4배로 키웠다. 1924년 12월 10일 안정수(安定洙) 등과 구미위원부 후원을 목적으로 뉴욕한인교민단을 설립하고 단장에 선임되어, 1929년과 1932·1933년에도 단장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2월 뉴욕에서 김경(金慶)·김도연(金度演)·허정(許政)·오천석(吳天錫)·윤치영(尹致暎)·방화중(邦化重)·장덕수(張德秀) 등과 『삼일신보(三一申報)』 발기인으로 창간 취지서를 발표하였다. 『삼일신보』는 3월에 창간되었으나 1930년 6월 폐간되었다. 1930년 뉴욕한인교회 임원으로 교회 행정을 담당하였고, 6월 미국 동부한인학생총회가 뉴욕에서 개최되자, 1달러를 후원하였다. 1932년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회계로 활동하였다. 1933년 6월 24일 중국측 16명, 한국측 3명이 참석하여 중한민중동맹 뉴욕지부를 설립할 때 대한인동지회의 고소암·장설산과 한국측 정대표로 선임되었다. 같은 달 26일 뉴욕한인교민단 단장 자격으로 동지회 뉴욕지부·국민회 뉴욕지부와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뉴욕지부를 설립할 때, 집행위원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달 27일 중한민중동맹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어 경제부를 담당하였다. 1934년 8월 23~24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정경회(鄭京會)·조극(趙極)·이회영(李會濚) 등 3명과 재무부 주미제5행서(行署) 비서로 임명되었다. 1936년 1월 24일 뉴욕한인교회 정기총회에서 안정수(安定洙) 등과 7인 이사원 중 1인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3.1절 기념식을 국민회 뉴욕지방회·노동상조회·흥사단·노동회·유학생회·중한민중동맹·동지회·뉴욕한인교민단이 공동으로 치르기로 합의하고, 연합회 임시회장으로 선임되어 회의를 주재하였다. 1940년 5월 조선의용대후원회연합회가 조직된 다음, 뉴욕 조선의용대연합회 대표로 활동하였다. 1941년 2월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 총무로 국민회(國民會) 뉴욕지방회와 연합하여, 12월 뉴욕 한인 10인과 뉴욕한인연합회를 조직하고 정기원·정경회·김경·추일엽·남궁염·박이근과 위원에 선임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4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진일(관리번호:7376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