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749
성명
한자 李薩音
이명 이종서, Lee Chongso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1 훈격 애국장
1917년 12월~1918년 1월 대한인국민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서기를 지냈고, 1919년 3월에는《신한민보》편집인으로 활동했으며, 동년(同年) 5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학무원 및 법무원을 역임했고, 7월에는《신한민보》통신원을, 10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이하 임시정부) 산하단체 구미위원부의 임시지방위원을 지냈으며, 1920년 3월~1923년 2월 노동사회개진당의 수령으로 월간지《동무》를 발간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고, 1930년 3월 중부 캘리포니아 대한인공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31년 12월~1933년 4월에 열린 미주한인연합회에 중부캘리포니아공동회 대표로 참석했고, 이후 1933년 1월 미주한인연합회 의장을, 1936년 7월 대한인국민회 총회 특별대의원회에서 위원제규칙 기초위원을, 1941년 1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을, 1944년 2월~11월 동지회 북미총회 총회장을, 1944년 11월 임시정부 워싱턴 주미외교위원회(駐美外交委員會)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국제안전조직회의에 이승만과 함께 임시정부 대표로 참석했고, 1918년부터 1942년까지 지속적으로 독립 의연금을 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0권(2012년 발간)

이살음은 1917년 12월부터 1918년 1월까지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서기를 지냈고, 1919년 3월에는 신한민보(新韓民報)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5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학무원 및 법무원을 역임했고, 7월에는 신한민보통신원을, 10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단체 구미위원부의 임시지방위원을 지냈다.

1920년 3월부터 1923년 2월까지 노동사회개진당(勞動社會改進黨)의 지도자로 월간지 동무를 발간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고, 1930년 3월 중부 캘리포니아 대한인공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31년 12월~1933년 4월에 열린 미주한인연합회에 중부캘리포니아공동회 대표로 참석했고, 이후 1933년 1월 미주한인연합회 의장, 1936년 7월 대한인국민회 총회 특별대의원회에서 위원제규칙 기초위원, 1941년 1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 1944년 2월부터 11월까지 동지회 북미총회 총회장, 1944년 11월 임시정부 워싱턴 주미외교위원회(駐美外交委員會) 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국제안전조직회의에 이승만(李承晩)과 함께 임시정부 대표로 참석했고, 1918년부터 1942년까지 지속적으로 독립의연금을 납부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제12권 199, 339~340면
  • 新韓民報(1917. 12. 20, 1918. 1. 17, 1919. 3. 22, 5. 1, 5. 17, 7. 17, 7. 29, 10. 9, 1920. 3. 26, 1923. 2. 22, 1928. 3. 22, 1930. 3. 27, 1931. 11. 12, 12. 10, 12. 17, 1932. 3. 31, 5. 26, 1933. 1. 26, 4. 20, 1936. 5. 21, 7. 9, 1937. 1. 14, 9. 16, 1939. 4. 27, 1940. 7. 11, 1941. 1. 9, 3. 13, 1942. 8. 13, 1944. 2. 16, 11. 9, 11. 23, 1945. 5. 17, 6. 28)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7집 151, 412~41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8집 513, 758, 849면
  • 독립(1945. 4. 25, 7. 25)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살음 필명 백산태호, 영어명 Sareum C. Lee 서울 -
본문
캘리포니아주 리들리(Reedley) 공동묘지에 있는 묘비명에 따르면, 서울 출신으로 1892년 8월 15일 태어났다. 필명은 백산태호이다. 부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동녕(李東寧)의 둘째 딸 이의순(영어명 Lee Eui Soon)으로, 1900년 11월 7일 태어나 1926~7년경 결혼하여 미국에 와서 1959년 7월 2일 사망하였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다.1912년경 북간도에 거주하였다. 1917년 10월 1일 차이나(China)호를 타고 한인 27명과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 도착하였다. 그해 12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 서기로 선임되어 1918년 1월까지 산타바바라(Santa Barbara)에 거주하였다.1919년 3월 북미지방총회 기관지 『신한민보』의 편집인에 선임되어, 「대한공화국 임시정부 대통령 손병희」등의 논설을 쓰며 7월 2일까지 활동하였다. 같은 해 4월 하순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학무원, 5월 북미지방총회 법무원으로 선임되었다. 그해 7월 샌프란시스코 버클리학생양성소에서 청년혈성단 발기인대표회의에 참석하여 특별연설을 하였으며, 신한민보 명예기자와 통신원으로 임명되었다. 9월 임시정부 산하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의 임시지방위원으로 선정되어 애국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다. 10월 14일에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법무원이 되었다.1919년 말경 국제사회당대회에 참가한 조소앙(趙素昻)이 후원을 요청하자, 캘리포니아주(State of California)에서 이순기·임일·김호(金乎)·이범영(李範寧)·김여식 등과 후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12월 2~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노동사회개진당(大韓人勞動社會改進黨) 창립대회를 개최하고 당헌 기초 제정과 함께 임원을 선정하였다. 1920년 3~5월경 미국 동부지역을 순방하면서 노동사회개진당 당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해 5월 노동사회개진당 당령과 세부규칙을 개정하고 집행부 당수로 선임되었다. 같은 해 8월 월간지로 『동무』 창간호를 발간하였으나, 1921년 5월 조소앙이 베이징(北京)으로 돌아가면서 노동사회개진당의 활동은 명분을 잃었다.1925년 5월 노동사회개진당 당원들과 임시정부로부터 탄핵된 이승만(李承晩)을 옹호하고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 성토문을 보내고 임시정부에 반대하였다. 이후 이승만의 지지기반인 동지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6년 6월경 대학을 졸업하였다. 1928년 2월 캘리포니아주 다뉴바(Dinuba) 한인장로교회의 전도사로 부임하여, 이후 다뉴바에서 활동하였다. 같은 해 3월 다뉴바에서 개최된 3·1절 기념식에서 연설하였고, 7월경에는 다뉴바의 한인국어학교인 고려학원 교장으로 일하였다. 10월경에는 다뉴바 한인장로교회 목사로 시무하였다.1929년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1930년 3월 8일 중부 캘리포니아주 중부(일명 ‘중가주’)의 다뉴바·리들리·팔리어(Parlier) 한인들이 결성한 중가주 대한인공동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그해 12월 대한인국민회·로스앤젤레스공동회·중가주공동회·멕시코 한인자성단 등 4개 단체 대표 등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집중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인연합회를 개최하였는데, 김호와 중가주 대한인공동회 대표로 참석하여 주한인연합회를 창설하였다.1932년 5월 윤봉길의거를 계기로 일제에 체포된 독립운동가와 임시정부 지원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다뉴바에서 소집된 중가주 대한인공동회에 참석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여 임시정부에 보냈다. 1933년 1월 미주한인연합회 의장으로 임시정부 후원 등을 논의하기 위해 대표회를 소집하였다.한편 1932년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을 결성하고, 1933년 김규식이 미주지역 독립운동단체들을 합류시키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왔다. 이를 계기로 그해 4월 중가주한인공동회는 로스앤젤레스한인공동회((羅城)한인공동회)와 연합회를 개최하고 대한독립당으로 개칭하였다. 이때 중가주공동회 대표로 김호와 함께 연합회에 참석하였다.1936년 5월 17일 대한인국민회 주최로 재미한인사회발전책 간담회가 개최되자, 김호와 함께 중가주 대표로 참석하였다. 7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대한인국민회총회 특별대의원회에서 위원제규칙 기초위원으로 선정되는 한편, 한국독립운동 촉진에 관한 사업을 협의하였다. 1937년 1월 제1차 전체대표대회에 중가주 대표로 참석하여 동포의 복리 증진과 독립운동 촉진을 위해 토의하였다. 그해 2월에는 중앙집행위원 후보가 되었으며, 9월에는 임시정부 후원금과 중국항일전쟁 동정금·국민부담금 등을 지원하였다. 1939년 4월 제2계(季) 중앙집행위원회에서 국어교과서 편찬위원에 선임되었다. 1941년 1월 제5차 대표대회이자 32회 대의원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3월에는 임시중앙집행위원회에 참석하여 하와이에 파견할 국민회 대표 3인을 선정하고, 하와이국민회와 동지회 대표 등을 만나 광복군 후원과 외교 통일문제를 협의토록 하였다.1943년 5월 동지회 중가주지방회를 설립하고 교육부와 이사부 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44년 2월에는 동지회 북미총회 총회장으로 당선되었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제2차 확대대회에 동지회 북미총회 대표로 참석하였다. 그해 10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전체대표회가 열렸으나, 동지회 총회장으로서 탈퇴를 선언하고 불참하였다. 같은 해 11월 임시정부 산하 워싱턴 주미외교위원회 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국제안전조직회의에 이승만과 임시정부 대표로 참석하여,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대표들과 실행위원회를 조직하고 서무부장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5월 26일 개최된 대한인동지회 제1회 미포(미국·하와이)대표대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되어 동지회를 대한민주당(Korean Nationalist Democratic Party)으로 개칭하고, 대한민주당 규칙기초위원에 선출되었다.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살음(관리번호:7374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