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697
성명
한자 朴信愛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7 훈격 애족장
1920년대 미국(美國) 하와이에서 상해(上海)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에 군자금을 제공하였으며 그후 미국 하와이의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던 중 1937년 7월 동회(同會)대표(代表)임시정부하(臨時政府下)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는데 참여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황해도 봉산(鳳山) 사람이다.

미주 하와이에서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1920년대 말 임시정부 주석 김구로부터 재정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편지를 받고 하와이 동포들에게 이런 사실을 알리는 한편 자금모집에 앞장섰다. 당시 임시정부는 본국 뿐만 아니라 만주와의 연락이 모두 끊겨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미국 하와이의 애국부인회를 주도하던 그는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조국 독립의 기회로 포착하고 중국 관내지역에서 활동하던 임시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중일전쟁의 발발과 함께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 등 중국 관내 독립운동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였다. 이러한 광복진선에는 미주지역의 6개 단체들도 참가하였다. 이때 그도 애국부인회의 대표로 광복진선에 참가하였다. 광복진선은 중일전쟁을 한·중 민족의 생사 존망이 걸린 최후의 관건으로 파악하고, 중국과 함께 항일전선에 참가할 것을 결의하는 등 한중연대를 강조하였다.

이렇듯 그는 미주에서 중국관내 독립운동을 지원하면서 독립운동자금을 수합하는 한편 한인들의 민족의식 고취에 힘을 쏟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하와이(1997. 3. 11)
  • 白凡逸志(金九, 敎文社) 232面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349·370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4卷 670·671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6卷 145∼148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신애 - 황해 봉산(鳳山) 대한부인애국단구제회
본문
1889년 6월 21일 황해도 봉산(鳳山)에서 태어났다. 가족관계나 성장 과정 등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교사 출신의 사진신부로 하와이로 이주하였다.1920년대 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의 편지를 받고 재정 지원과 서신 왕래를 하였다. 임시정부가 국내와 만주, 노령 등과 연결이 끊어져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자, 김구는 재정 지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미주와 하와이, 멕시코·쿠바 교포들에게 보내곤 하였다. 하와이의 대한부인공제회에서 활동하며 하와이 동포의 임시정부 지원 모금에 앞장섰다.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중국 관내지역과 대한부인공제회를 포함한 미주지역의 독립운동단체들이 결성한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1941년 7월 25일자 김구의 편지에는 ‘누이’라고 칭하고, 임시정부의 결정을 지지해달라며 ‘오라비 김구’로 기재하였다. 1920년대 말부터 1941년까지 독립운동자금을 모아 임시정부로 보냈다. 광복 이후에도 하와이 대한부인구제회 중앙본부 임원과 와히아와 대표원으로 활동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하와이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신애(관리번호:736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