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668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元容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5 훈격 애국장

관련정보


2021년 0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17. 5. 10 미국(美國)으로 망명하여 활동하면서 1923. 4월 미국 중서부와 동부지방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위한 조직을 결성하였고, 1930. 6월 하와이에서 개최된 재미대표회(在美代表會)에서 대표로 임명되어 각 단체의 연락활동을 하였으며, 1933. 1월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총무(總務)를 역임하였고, 1936. 1월 동지(同地)에서 『국민보(國民報)주필(主筆)로 활동하였으며, 1941-1945년 하와이와 워싱턴에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의 의사부 위원 겸 행정위원,외교사무소 총무, 의사부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1944년 주미외교위원부의 위원에 임명되었고 1945. 3월 임정에서 연합국회의에 파견할 대표로 선임되었고 동년(同年) 10월에는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在美韓族國內派遣代表團)부단장(副團長)으로 귀국하여 과도입법위원(過渡立法委員)을 역임하였으며, 『재미한인(在美韓人)50년사(年史)』를 집필하는 등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서울 사람이다.

1917년 5월 유학을 목적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오하이오 지역의 한 대학에 재학하고 있던 중, 1920년 4월 결성된 학생총회결성발기자회(學生總會結成發起者會)에 오하이오주 학생대표로 참석하여 미주 각 지방에 산재한 한인 학생과 학생회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1923년 4월부터 7년간 미국 중서부와 동부지방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위한 지방조직 결성에 노력하였다.

그 후 하와이 대한인교민단(大韓人僑民團)에 입단하여 활동하던 그는 1930년 7월 이승만(李承晩) 계열의 동지회(同志會)와 대한인교민단으로 분열된 하와이 한인 단체의 부흥과 민족운동 강화를 촉진할 목적으로 개최한 미포대표대회(美布代表大會)에 참석하였다. 미주와 하와이 단체 대표들이 모인 이 회의에서 미주대표로 택선된 그는 동지회의 조직 개량, 각 단체를 망라하는 연합기관의 구성, 미주와 원동(遠東) 각지를 연락하여 민족운동을 강화할 것 등의 임무를 부여받고 계획을 실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이승만의 동지회 확장계획에 밀려 실패하고 말았다.

그 후 1931년 1월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의 기관지 「국민보(國民報)」의 편집인으로 임명된 그는 이승만이 동지회 재정을 충당할 목적으로 교회재산과 교민단 회관을 매각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고 이승만 중심의 체제를 몰아내고 민족운동에 전념할 하와이 한인단체를 건설하고자 투쟁하였다. 그리하여 1932년 1월 교민단을 변경하고 하와이 한인단체를 통합시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를 복설(復設) 시키는 한편, 이듬해 1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총무로 임명되어 하와이 한인사회의 부흥과 민족운동을 강화하는데 노력하였다.

또한 1932년 김구(金九)가 조직한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의 특무공작을 후원할 목적으로 비밀리에 결성된 하와이애국단에 가입하여 윤봉길(尹奉吉) 의사와 이봉창(李奉昌) 의사의 거사를 후원하였으며, 1936년 1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인 「국민보」 주필로 임명되어 한인 교포들의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1939년 중국의 한인독립운동단체인 광복진선(光復陣線)과 민족전선(民族戰線)이 하나로 통합되고 중·일(中日)간의 전쟁이 고조되자, 이에 영향을 받은 북미 대한인국민회에서는 1940년 9월 미주와 하와이 각 단체 대표자들이 연석회의를 개최하여 시국대책을 강구할 것을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와 동지회에 제의하였다. 이에 따라 1941년 4월 16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국내 각 한인단체 대표들이 모여 해외한족대회준비회(海外韓族大會準備會)를 개최하자, 그는 이 준비회의 비서로 임명되어 대회 규정을 작성하였다. 이어 20일 동지(同地)에서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가 개최되자, 안원규(安元奎) 등과 함께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대표로 참석한 그는 동 대회의 선언문과 해외한족대회 결의안을 작성하여 독립전선 통일문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봉대(奉戴)문제, 대미외교기관(對美外交機關)의 설치문제, 군사운동에 관한 문제, 미국 국방공작 후원문제, 연합기관 설치문제, 독립금 수봉문제 등을 결의하였다. 이 결의에 따라 동년 8월 미주내 모든 단체들을 통합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가 조직되고 하와이 호놀룰루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議事部)가 설치되자, 의사부의 비서 겸 행정위원으로 선임된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후원과 외교 및 선전사업을 힘있게 추진하였다.

그러나 1943년 9월 이승만 계열의 동지회가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탈퇴하자 의사부 위원으로서 동지회를 제외한 단체들을 결속하고 연합위원회 임원을 개선하는 등 진용을 정비하는 한편, 1944년 6월 이승만 계열의 외교위원부가 독자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직속의 외교사무소(外交事務所)를 워싱턴에 개설하고 총무로 선임되어 외교사무를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동년 8월 외교위원부를 새롭게 개조할 것을 명령하자, 그 해 10월 로스앤젤레스에서 미국과 하와이의 17개 단체 중 동지회 계열의 4개 단체를 제외한 13개 한인 단체가 대표회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에 대표원으로 참석한 그는 개조된 주미외교위원부(駐美外交委員部)의 외교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조국의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 평화를 준비하기 위해 개최될 연합국회의(聯合國會議)에 파견대표로 선임되었으나 미 국무부로부터 한국 대표의 참가를 허락받지 못해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말았다. 이어 동년 4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 위원장으로 선출된 그는 조국이 광복되자, 그 해 10월 조국의 재건을 후원할 목적으로 구성된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在美韓族國內派遣代表團)의 부단장으로 선임되어 고국을 떠나온 지 28년여만에 조국의 땅을 밟게 되었다.

귀국 후 1946년 12월 미군정(美軍政)이 한국에 민주국가 건설의 법률을 기초하여 장차 수립될 남북통일정부의 행정이양을 준비하기 위해 설립한 남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의 의원에 선출되어 법제사법분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1년 간 활동하면서 조국의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그 후 다시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약 7년 간에 걸쳐 재미한인들의 민족운동에 관한 자료를 모아 1958년 12월 『재미한인50년사(在美韓人五十年史)』를 탈고하는 등 일평생 미주 한인사회에서 민족운동을 위해 헌신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원용 Warren Kim 서울 -
본문
1896년 12월 26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미국에서는 워렌 킴(Warren Kim)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유학을 목적으로 중국 상하이(上海)를 거쳐, 1917년 5월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 도착하였다. 미국에 도착한 이후 콜로라도(State of Colorado)주 푸에블로(Pueblo) 지방에 정착하였다. 이후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와 주미외교위원회(駐美外交委員部)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1917년 8월 29일 국치기념식에서 ‘8년의 원통한 말’이라는 제목으로 연설을 하였다. 당시 푸에블로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1918년 4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푸에블로지방회 설립 청원서를 제출하여,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로부터 설립 인준을 받았다. 푸에블로지방회가 설립 인준을 허가받은 같은 해 12월 푸에블로지방회 재무로 선임되었다. 이후 오하이오(State of Ohio)주 애크론(Akron)으로 이주하여 1919년 1월 오하이오지방회 설립을 추진하였고, 같은 해 6월 오하이오지방회 총무로 선임되었다. 1924년 1월 대한인국민회 시카고(Chicago)지방회 총무로 활동하였으며, 같은 해 9월 21일 설립된 동지회(同志會) 시카고지회 외사부 부원으로 활동하였다.1930년 7월 15일부터 21일까지 하와이 호놀룰루(Honolulu)에서 개최된 ‘동지회 미포대표회(同志會美布代表會)’에 시카고 대표로 참석하여 상무원(서기 겸 재무)에 선임되었다. 이때 총재에 이승만(李承晩), 이사장에 이용직(李容稷), 중앙부장 겸 『태평양잡지(太平洋雜誌)』 주필에 김현구(金鉉九)가 선출되었다. 이 대회 이후 김현구·이용직과 함께 이승만과 대척적인 입장에 서게 되었다.1932년 초 하와이교민단에서는 선전부를 설치하였는데, 이때 김현구·이용직과 함께 비서에 임명되었다. 1933년 1월 3일, 하와이교민단 대의회에서 이를 해체하고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로의 복귀를 결정하면서 법무담당에 선임되었다.1934년에 들어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재정난으로 기관지인 『국민보(國民報)』 식자(植字) 인력에게 봉급조차 줄 수 없게 되자, 주필 김현구와 함께 사무를 맡아 처리하였다. 중일전쟁 발발 직후인 1937년 8월 2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를 후원하기 위해 찬무부(贊務部)를 조직하였는데, 이때 정두옥(鄭斗玉)·한길수(韓吉洙)·홍한걸과 함께 찬무부 산하 선전부원에 임명되었다.1941년 4월 19일부터 5월 1일까지 미국 본토와 하와이·멕시코·쿠바 지역의 9개 단체 대표들이 호놀룰루에 모여 개최한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에 안원규(安元奎)·김현구와 함께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대표로 참가하였다. 여기서 5월 4일 결성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영문서기에 선출되었다.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駐美外交委員部)의 대미 외교활동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원순(李元淳)과 함께 워싱턴(Washington D.C.)에 파견되었다. 1943년 12월 23일 워싱턴사무소 개설 등의 문제로 동지회가 탈퇴하고, 1944년 6월 10일 워싱턴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외교사무소가 설치되었다. 이때 선전부장 전경무(田耕武)와 함께 외교 사무를 관장하였다.1944년 5월에는 하와이 의사부에서 집행서기에 선출되었고, 같은 해 11월 재미한족연합회 전체대표회의에서 주미외교위원부를 재조직하였는데, 이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충칭(重慶)의 임시정부에서 동지회 대표가 선출되지 않은 주미외교위원부의 조직을 인정할 수 없다고 통보하였다. 이에 위원장 이승만, 부위원장 김원용, 총서기 정한경(鄭翰景), 위원 한시대(韓始大)·김호(金乎)·이살음(李薩音)·변준호(卞俊鎬)·안원규(安元奎)·송헌주(宋憲澍)를 선임하였다. 1945년 4월 말부터 샌프란시스코회의가 열리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표 1인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재미한족연합위원회 1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광복 직후인 1945년 10월 24일, 하와이 의사부 국내 파견대표 가운데 1인으로 선임되어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국내파견 대표단’을 이끌고 제1차로 1945년 11월 4일 서울에 도착하였다. 그리하여 이듬해 2월 12일 도착한 제2차 대표단과 국내활동을 벌였다. 이때 한시대·김호와 함께 국내에서 좌우를 아우르는 중간세력 결집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1946년 9월 15일 통합대회를 열어 신진당(新進黨)을 창당하였는데 통합대회의 사회를 진행하였고 김호는 중앙위원에 선임되었다.이후 하와이로 돌아갔다가 미 군정청 민정장관에 발탁된 안재홍(安在鴻)의 후임으로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관선의원에 선출되어 1947년 2월 10일 다시 귀국하였다. 김호와 함께 입법의원의 관선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중간파 세력 결집을 통한 정당 통합과 통일정부 수립운동에 참여하였다.1947년 10월 민주독립당(民主獨立黨) 공동의장에 선임되었고, 중간파 정당의 협의체인 민족자주연맹 중앙집행위원으로도 선출되었으나, 1948년 1월 24일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갔다. 1959년 미주지역 독립운동사를 정리한 『재미한인50년사』를 저술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원용(관리번호:7366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