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656
성명
한자 姜永珏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7 훈격 건국포장
1925. 4. 1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임시정부(臨時政府) 후원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그 후 교육자로서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섰으며 국민보(國民報) 영문주필로 활약하는 등 미주방면에서 20여년간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평남 강서(江西) 사람이다.

미주지역에서 국민회(國民會)와 임시정부후원회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1909년 공립협회(共立協會)와 합성협회(合成協會)가 발전적으로 통합한 국민회(國民會)가 1910년 5월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를 흡수 통합함으로써 탄생한 미주 한인사회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였다. 대한인국민회는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중앙총회 아래 북미·하와이·멕시코·시베리아·만주 등 다섯 곳에 지방 총회를 설치하였으며 다시 지방총회 아래 116개의 지방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강영각은 미국 후레이몬드 대학을 졸업한 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인쇄사업을 경영하는 한편 한인사회단체인 국민회(國民會)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1925년 4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임시정부후원회가 결성되자, 이에 적극 참가하여 독립운동자금 모집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그는 1932년 4월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 투탄의거에 고무된 와히아와 지방의 한인들과 함께 임시정부 와히아와 후원회를 조직하고 독립자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교육자로서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서는 한편, 『국민보(國民報)』의 영문주필로 활약하기도 하였으며 안창호가 붙잡히자 흥사단(興士團) 단원의 자격으로 석방운동에 주력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國外容疑朝鮮人名簿(總督府警務局) 109面
  • 新韓民報(1925. 5. 25, 1931. 9. 17, 1932. 6. 2, 1946. 2. 14)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강영각 - 평안남도 강서(江西) -
본문
1896년 2월 28일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에서 아버지 강명화(姜明化)와 어머니 송씨 사이의 6남 1녀 중 다섯째아들로 태어났다. 1905년 6월 9일 진남포에서 가족과 함께 ‘청룡환’을 타고 일본을 거쳐 하와이로 이민을 갔다. 하와이에서 소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로 가서 업랜드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클레어몬트Claremont에 있는 명문 포모나대학Pomona College에서 수학하였다. 포모나대학 재학 중인 1918년 4월 대학 군악대의 대장이 되었다. 어려서부터 문재(文才)가 뛰어나 학교에 다닐 때 학교 신문을 편집하고 발행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1919년 4월 4일 개최된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제15차 의사회에서는 재미 중국인(화교)들에게 자금을 모금하기로 결정하였는데, 홍언·김영훈 등과 함께 화교위원(華僑委員)으로 선정되었다. 3명의 화교위원들은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의연금을 거둘 방안에 대해 협의하였고, 재미 화교들에게 자금을 거두는 방법으로써 8개조로 된 문건을 작성하여 4월 21일에 개최된 중앙총회 제15차 위원회에 제출하여 통과되었다. 홍언과 함께 캘리포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화교들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기로 하고 샌프란시스코의 동쪽에 위치한 스탁톤Stockton으로 갔다. 스탁톤에서 화교들로부터 대단한 환영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대한 독립 찬조금’을 거두었다. 그리고 6월 1일 밤 스탁톤 중화회관에서 특별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때 영어로 연설하여 화교들의 공의심을 불러일으켰다. 중화회 회장 진희는 “고려의 독립을 위하여 재정으로 돕겠다”라고 약속하였다. 포모나대학 졸업 후 하와이 한인기독학원의 교사로 초빙되어 하와이로 가게 되었다. 하와이에서 격주간을 지향한 『The Young Korea』를 1921년 12월 창간하고 하와이 한인청년연합회와 연계하였다. 『The Young Korea』는 1926년 초까지 발행하였다. 아울러 1920년대 중반 하와이에서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침체되자 임시정부후원회가 결성되었다. 1925년 1월 결성된 임시정부후원회는 임시정부를 재정적으로 후원하려고 인구세 1원씩을 거두어 임시정부 서무부로 보내기로 하였다. 1925년 5월 임정후원회 회장에는 정원명, 부회장에는 강영효, 재무에는 함삼여, 이사부원에는 현순·임준호·정봉관 등 대조선독립단 성향의 인사들과 함께 참여하였다. 1930년 초반 기성세대의 파벌 싸움에 염증을 느낀 청년들과 더불어 한인 사회의 통일운동을 전개하였다. 하와이 한인 청년들 간의 통일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그것에 찬동하는 10여 명과 1931년 9월 7일 모임을 가졌다. 이 모임에서 임시 임원을 선출하였는데, 회장에는 이용직 목사, 재무에는 한길수, 사교원에는 김의택이 결정되고, 이때 서기를 맡았다. 그 후 9월 17일 누우아누Nuuanu 청년회관에서 하와이 한인 사회의 통일운동에 찬성하는 사람 150여 명이 모여 청년운동을 후원하기로 하였다. 하와이 한인 사회의 통일운동을 주도하는 한편 독립운동을 후원하는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1932년 5월 22일 와히아와Wahiawa에서 임시정부후원회The League to Suppor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가 조직되었을 때 여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1932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일어난 윤봉길의 홍구공원의거를 계기로 임시정부를 후원하자는 여론이 일어났다. 홍구공원의거 이후 독립운동의 열기가 고조되자 현순을 비롯한 임시정부 지지파들은 다시금 임시정부후원회를 결성하였다. 오아후Oahu섬 와히아와 지역의 한인 37명이 임시정부후원회를 조직하고 기관지로 『시사근문』이라는 등사판 신문을 발행하였다. 임시정부 와히아와후원회는 이사장에 김기순, 서기에 김성옥, 재무에 현도명·김려준·김태형·김형기·김경옥 등이고, 임시정부 후원을 위한 인구세로 1년에 12달러씩 내기로 하였다. 한편, 1931년 7월 4일 로스앤젤레스에서 흥사단 단원이 되었다. 윤봉길의 홍구공원의거로 안창호가 일제에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석방시키려고 하와이에서 발행되는 『호놀룰루 스타 뷰레틴The Honolulu Star Bulletin』과 『호놀룰루 어드버타이저The Honolulu Advertiser』 두 신문에 선전문을 보냈다. 1941년 4월 미주 한인 사회에서는 독립운동을 총괄하고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라는 최고기관을 성립시켰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는 지역의 특성상 크게 두 조직으로 나뉘었는데, 하와이에는 의사부를 두고 북미에는 집행부를 두었다. 하와이의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에서는 1941년 5월 미국 국방에 대한 후원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부를 확대하였다. 이에 김현구를 국방위원장에 선정하고, 유진석·도진호·조광원·정월터·이태성·김영기·민찬호·전경무·윤용선 등과 함께 국방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하와이에서는 정부학교의 교사로 근무하면서 국민회의 기관지 『국민보』의 영문란 주필을 맡았다. 그리고 호놀룰루에서 인쇄사업을 경영하다가 51세 때인 1946년 2월 4일 퀸병원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2019년 4월 유해가 국내로 송환되어, 국립 서울현충원에 이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강영각(관리번호:7365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