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3362
성명
한자 皇甫永周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애족장
1919년 8월 평남(平南) 대동군(大同郡)에서 임시정부(臨時政府) 애국금 수합위원(愛國金收合委員) 최경선(崔景善)의 위탁을 받아 인근 지역에서 독립운동 자금(獨立運動資金) 56원을 모금하여 전달하였고, 동년(同年) 9월에는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회원(會員)으로 평양신학교(平壤神學校) 기숙사에서 독립신문(獨立新聞)국민신문(國民新聞)․각종 경고문(警告文)독립운동 자금(獨立運動資金) 수령증(受領證)을 인쇄하여 모집원(募集員)들에게 배부함.
1921년 멕시코로 건너가 1927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멕시코시티지방회(地方會)를 부활시켜 서기(書記)로 활동하였고 1933년 동 지방회(同地方會) 회장(會長), 1934년부터 1935년에는 학무위원(學務委員), 1936년부터는 서기(書記)로 활동하였으며, 1933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19년 평남 대동군(大同郡)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여 임시정부에 전달하는 한편,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회원으로 독립운동자금 수령증 등을 인쇄 배포하였으며, 192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멕시코시티지방회(墨京地方會)에서 회장, 학무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8월 평남 대동군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애국금(愛國金) 수합위원(收合委員) 최경선(崔景善)의 위탁을 받아 9월 20일 독립운동자금 56원을 모집하여 전달하였다. 이후 평양신학교 학생이자 대한국민회 회원으로 박승명(朴承明)ㆍ김재덕(金在德)과 평양신학교 기숙사에서 『독립신문(獨立新聞)』, 『국민신문(國民新聞)』을 비롯한 각종 경고문과 독립운동자금 수령증을 인쇄하여 모집원들에게 배부하였다.

1920년 9월경 중국 상해(上海)에서 대한인거류민단(大韓人居留民團) 의사회(議事會)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2월 대한인국민회 멕시코시티지방회 서기, 1933년 동 지방회 회장, 멕시코시티 한인청년회 재무와 교육부장, 1934년부터 1940년까지 학무 및 서기로 활동하였고, 1941년 12월 20일자 멕시코시티 3대 일간지에 임시정부 대일선전과 한국의 독립운동 및 멕시코 한인들의 입장에 관한 내용을 게재하였다.

1927년부터 1942년까지 3ㆍ1절기념식, 국민회창립기념식, 국치기념식, 도산(島山) 안창호 선생 추도식, 임시정부 대일선전 1주년 기념식 등에서 3ㆍ1운동 약사, 독립선언서 낭독 등 각종 연설을 하였으며, 1933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27. 3. 31, 1932. 12. 22, 1933. 3. 23, 4. 6, 4. 13, 5. 18, 9. 21, 12. 21, 1934. 1. 18, 12. 20, 1935. 6. 20, 9. 12, 1936. 8. 20, 1938. 3. 31, 4. 7, 1939. 10. 19, 1940. 4. 18, 12. 5, 1941. 7. 24, 1942. 2. 26, 12. 24, 1943. 4. 1, 4. 8, 1944. 4. 6)
  • 秘密結社 大韓國民會及大韓獨立靑年團 檢擧에 관한 件(1919. 12. 9)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5)
  • 獨立資金募集者 檢擧에 관한 件(1920. 4. 25)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6)
  • 上海鮮人의 行動에 관한 件(1920. 9. 25), 上海情報(1921. 7. 7)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上海假政府(3)
  • 上海情報(1921. 7. 7)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2)
  • 南北亞米利加州(除米布) 在住要注意鮮人連名簿 其他 送付의 件(1921. 12. 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歐米(5)
  • 國外容疑朝鮮人名簿(朝鮮總督府 警務局, 1934) 15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 제9집 436면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국가보훈처ㆍ독립기념관, 2003) 213~21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황보영주 - 평남 대동(大同) -
본문
1895년 1월 5일 평안남도 대동군(大同郡) 고평면(古平面) 광탄리(廣灘里)에서 태어났다. 1910년부터 1914년까지 평양 숭실중학에서 수학하고, 1917년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19년 8월 대동군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애국금 수합위원 최경선(崔景善)의 위탁을 받아 독립운동 자금 56원을 모집 전달하였다. 9월 평양신학교에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회원 박인관(朴寅寬)·고진한(高鎭翰)·이치수(李致洙)·박치록(朴致祿)·전군보(田君甫)·김흥건(金興建) 등과 ‘자력으로 독립운동을 진행하고 자금을 수합’할 목적으로 대한독립청년단(大韓獨立靑年團)을 조직하였다. 독립운동 고취를 목적으로 『독립신문』과 「경고문」 등을 배포하였으며, 독립운동 자금영수증을 인쇄하다가 붙잡혔다. 1920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가서 흥사단 원동지부 단원이 되었다. 1921년 3월 임병섭·김찬용·유일엽·문일민·선우현 등과 멕시코 묵경(墨京, Mexico City)에 도착하였다.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묵경지방회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27년 재정 문제로 폐쇄되었던 묵경지방회 재건에 앞장서, 서기로 선정되었으며, 3·1운동 기념식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1933년 묵경지방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한인사회 및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1월 29일에는 김동철·김귀복·윤성관 등과 묵경지방 거주 한인청년들을 대상으로 한인청년회를 재조직하였다. 2월 1일에는 대한국민회 창립기념식을 주관했으며, ‘단체생활과 그의 효력’이라는 제목으로 연설을 하였다. 8월 29일에는 국치기념식을 개최했으며, 김동철과 함께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연설을 하였다. 1934년 묵경지방회 학무원으로 선정되어 멕시코 한인 2세대들에게 구국교육운동을 실시하는 데 노력하였다. 특히, 「묵경한인청년가」라는 노래를 작사하여 독립을 위해 헌신할 것을 강조하였다. 1935년 묵경지방회 학무원으로 선정되었고, 1936년 8월 2일에는 서기로 선임되었다. 1938년 서기로 선정되었고, 3월에는 안창호 추도식에서 안창호의 독립운동 활동과 추도사를 맡았다. 1940년 3월에는 멕시코시티 한인들과 3·1운동 기념식을 주관했으며, 묵경지방회의 재개를 북미지방총회 중앙상무부에 청원하였다. 그리고 서기로 선정되어 지방회의 운영을 재개하였다. 1942년에는 재무위원으로 지방회의 재정 확보와 독립운동 자금 수합에 앞장섰다. 1933년 3월 23일 대한인국민회 창립기념식과 3·1운동 기념금 1원, 1933년 4월 13일과 1939년 10월 19일 두 차례에 걸쳐 인구세 2원, 1933년 5월 18일 대한인국민회 묵경지방회관 지원금 1원, 5월 18일 묵경지방회에서 운영하는 국어학교 유지비 1원, 9월 21일 국치기념금 1원, 1935년 6월 20일 대한인국민회와 자생단 위탁금 10원, 1939년 10월 19일 국민의무금과 부담금 2원, 1940년 4월 18일 국내 이재민 지원금 1원, 1941년 7월 24일 마탄사스재류동포 구제금 1원 등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독립유공자 추모비 서울특별시 동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황보영주(관리번호:4336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