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32
성명
한자 宋錫峻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미국(美國), 상항(桑港)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여 총회장으로 공립신보(共立新報)창간(創刊)하여 주필(主筆)로 활동하면서 언론 출판(言論出版)을 통한 민족의식(民族意識)고취(鼓吹)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평안북도 의주(義州)군 주내(州內)면 동외(東外)리에서 태어났다.

1898년 독립협회(獨立協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독립협회 해산 후 1903년에 미국으로 건너갔다.

1904년에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교포의 권익단체인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창립하고 안창호가 초대 회장, 송석준이 초대 부회장을 맡았으며, 1905년 11월 공립협회의 기관지로 『공립신문(共立新聞)』을 창간하여 그 주필로 활동하였다.

1907년 초에 미국 캘리포니아주(洲) 로스앤젤레스 남쪽 리버사이드에서 안창호 이 강(李剛) 임준기(林俊基) 김성무(金成武) 신달원(申達元) 박영순(朴永順) 이재수(李在洙) 등과 함께 국권회복운동 단체인 신민회(新民會)를 창립하기로 하고 발기인 대표로 안창호를 선정하여 본국에 보내었으며, 안창호는 귀국하여 양기탁(梁起鐸) 이동녕(李東寧) 전덕기(全德基) 이회영(李會榮) 이동휘(李東輝) 등과 합의하고 1907년 4월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로서 정식으로 신민회를 창립하였다.

1907년 2월 신민회 창립을 위하여 안창호가 귀국한 후에는 송석준이 공립협회의 제2대 회장을 맡았으며 서울에서 신민회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미주지역의 활동을 담당하다가 1907년 5월 10일 득병하여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71면
  • 재미한인오십년사 89 99 100 263 351면
  • 한국독립운동사(국사편찬위원회) 2권 57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8권 475 478 483 48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송석준 - 평북 의주(義州) 공립협회 창립
본문
1865년 9월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주내면(州內面) 동외리(東外里)에서 태어났다. 독립협회(獨立協會)에 가입하여 활동하였고, 미국으로 건너가 공립협회(共立協會) 창설을 주도하였다.1898년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한 적이 있다. 1903년 미국으로 건너가 1905년 4월 안창호(安昌浩)·이강(李剛)·정재관(鄭在寬) 등과 함께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서 공립협회를 창립하고 초대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공립협회는 항일투쟁과 교포들의 권익 향상, 동족간의 상부상조를 위해 조직한 단체였다. 1905년 11월 국내에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음이 알려지자 공립협회 회원들과 대한제국의 영사관을 대신할 자치기관 설립과 국권회복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어 공립협회의 기관지인 『공립신보(共立新報)』를 창간하는데 힘쓰고 주필로 활동하였다.1906년 5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공립협회 평의회에서 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총회장으로 선출된 직후 미국의 일본영사에게 통고문을 보냈다. 그 이유는 1906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일어난 큰 지진으로 동포 사회가 피해를 입고 공립협회의 회관마저 소실되자 한국 정부가 교포를 위해 의연금을 보냈는데, 이를 일본 영사가 한인들에게 나누어 주겠다고 나섰기 때문이었다. 일본 영사는 의연금을 나누어 준다는 구실로 한인들을 보호할 의무와 권리가 마치 일본에 있는 것처럼 해서 자신들의 관할로 넣으려는 속셈이었다.이에 항의하기 위해 1906년 6월 24일 북미한인 공립협회 총회장의 명의로 미국 일본영사관에 통고문을 발송하고 일본 영사의 사과와 앞으로 한인 사회에 간섭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이 사건은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고 있던 한인들의 단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립협회의 공적 역할을 고조시킬 수 있었다. 1907년 9월에는 하와이 각 한인 단체가 합동하여 한인합성협회(韓人合成協會)를 결성하는데 중재자의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1907년 초 미국 캘리포니아주(洲) 리버사이드에서 안창호·이강·김성무(金成武)·박영순(朴永順)·신달원(申達元)·임준기(林俊基)·이재수(李在洙) 등과 함께 대한신민회를 창립하기로 합의하고 발기인 대표로 안창호를 선발하여 한국으로 보냈다. 국내로 들어온 안창호는 양기탁(梁起鐸)·이회영(李會榮)·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전덕기(全德基) 등과 합의하여 같은 해 4월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 단체 신민회(新民會)를 정식으로 창립하였다. 국내에서 신민회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미주지역에서 활동하였다. 공립협회 총회장으로서, 신민회 회원으로서 활발히 활동하던 중 1907년 4월 말 공립협회 대의원회의를 마친 후 갑자기 병을 얻어 5월 10일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사적지 독립협회창립총회 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송석준(관리번호:23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