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

공적개요
액자프레임
독립유공자 사진
20070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김광제

훈격아이콘 훈격: 애족장
훈격아이콘 서훈년도: 1990년
공훈전자사료관 이달의 독립운동가 콘텐츠 심볼
/

김광제 / 서상돈

김광제 , 1866 ~1920 , 애족장 (1990) 서상돈 , 1850 ~1913 , 애족장 (1999)

선생은 대구의 출판사 광문사 사장으로 계몽도서를 펴냈으며, 국채보상운동을 이끌었다.

부패 탄핵 상소를 올린 관료, 교육자와 출판인의 길로 나가

김광제(金光濟, 1866.7.1 ~ 1920.7.24) 선생은 충남 보령시 웅천면 평리에서 출생하였다.(생몰일은 제작부 근거)초명은 홍제(弘濟, 또는 洪濟), 호는 동양자(東洋子), 시호는 석람(石藍)이었다. 선생은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수학한 후 23세인 1888년 관계에 진출한 이래 훈련원 첨정, 비서원승, 호남시찰사, 동래경무관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905년 배일 및 내정부패 탄핵상소로 고군산도로 유배 당하여 2개월만에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 이후 선생은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계몽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듬해 1월 대구광문사 사장에 취임한 이래 2월에는 대동광문회가 설립한 사립보통학교 교장과 달명의숙(達明義塾) 부교장·강사로서 활약하였다.

대구·경북지역 지식인·자산가·관료 등의 지원을 받은 광문사는 실학자 저술 발간과 신학문을 도입하여 자강의식을 일깨우는데 앞장선 출판사였다. 또한 도내 각 학교에 사용될 교과서와 월남망국사 등 각국 망국사도 편찬하였다. 이는 국채가 망국의 근원이라는 인식을 널리 보급하기 위함이었다.

대동광문회 부회장에 취임한 선생은 경북도내 사립학교설립운동을 주도하는 신교육운동을 펼쳤다. 소식을 접한 광무황제는 특별하사금 1,000원과 함께 「교육칙유」를 내렸다. 선생은 대구민의소 소장, 국채보상연합회의소 총무, 대한협회 호남지역 시찰원, 교남교육회 평의원·도서부 찬술원 등도 지냈다. 대구민의소는 지방자치제 실시를 목표로 조직되었다. 선생은 지방자치를 위한 선행 조건은 근대교육에 의한 민지 계발로 인식하였다. 이는 1906년 8월 26일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된 기사를 통하여 엿볼 수 있다.

국권 확립은 민기(民氣)를 진작함에 있고, 국정을 선명하게 함은 민지를 계발하는데 있다. 민지계발은 학문을 강구하는데 있으며, 민기를 진작하는 책략은 단결에 있다. 따라서 동서 여러 문명국의 국민은 각기 자치자강(自治自强) 책략을 도모하며 혹은 민의소를 설립하여 역장(役長)을 두거나 회두(會頭)를 선발한다. 촌·정·현·시(村町縣市)에도 연단을 설치하여 명예인으로 편성하고 마음으로 맹세함으로써 애국정신과 산업진흥을 강론하는 한편 격렬한 토론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감동․분발시킨다. 총명하고 밝은 사리는 능히 사람들의 미혹한 생각을 밝게 깨닫게 하여 사람마다 각기 국민 된 의무를 중하게 여기니 가히 남의 압제와 모멸을 스스로 면하여 민력을 심어 국권을 달성하거늘, 어찌하여 우리 동포는 옛 습속에 안주하여 스스로 포기하는가. … 고로 우리가 공인을 이어 받아 민역소를 설치할 취지를 밝힌즉 노소존비를 가리지 말고 일성(一省)이 규합하여 백성에 관계되는 모든 일을 한 마음으로 서로 보호하여 자치권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구에서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고, 전국화시켜. 선생은 금연 후 담뱃값 내놓아

김광제 선생의 상소문(1905.12)
김광제 선생의 상소문(1905.12)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29일(음력 1906년 12월 16일) 대구의 출판사인 광문사(廣文社) 문회(文會)를 대동광문회로 개칭하기 위한 특별회에서 부사장 서상돈(徐相敦)의 발의로 시작되었다. 대동광문회 회원인 서상돈은 국채 1,300만원을 갚아 국권회복을 도모하자는 취지를 발의하였다. 그는 즉석에서 의연금으로 800원을 내놓았다. 참석한 회원 200여 명은 이러한 제안을 만장일치로 찬성하였다. 이어 광문사 사장인 김광제(金光濟) 선생이 발기 연설을 마친 후 즉각적인 실행을 촉구하고 나섰다. 동시에 자신의 담뱃대·담뱃갑을 버리고 3개월치 담뱃값 60전과 의연금 10원도 함께 내놓았다. 다른 회원들도 즉석에서 경쟁적으로 의연금 대열에 참여하는 상황이었다. 이리하여 당일 모금된 금액만도 2,000여 원에 달하는 거액이었다.

2월 초순 발기인인 김광제 선생과 부사장 서상돈,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朴海齡)을 비롯한 회원들은 국채보상취지서를 작성하여 김광제 선생과 서상돈의 공동명의로 발표하였다. 이들은 취지서를 국내 언론사와 계몽단체는 물론 국외 일본 유학생단체인 태극학회(太極學會)에 발송하는 등 전국민적인 동참을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1907년 2월 21일 ≪대한매일신보≫는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를 게재함으로써 자립경제운동의 시작을 널리 알렸다. 이후 국채보상운동은 곧바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어 갔다.

선생은 1907년 3월 1일 대한자강회 임시평의회에 국채보상에 관한 의안을 제출하였다. 본회는 ≪대한자강회월보≫ 9호 논설란에 「단연상채문제(斷煙償債問題)」와 잡록란에 국채보상운동 발기 경위와 전국 각지에 조직된 국채보상단체 취지서 7건을 게재하였다. 이는 회원이나 지회원들이 국채보상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였다.

국채보상운동 군민대회가 개최되었던 북후정 터
국채보상운동 군민대회가 개최되었던 북후정 터

선생은 이어 대한협회에 가입하여 호남지역 시찰원으로 임실·부안·김제·금구·함열·광주·목포 등지를 순회하면서 대중강연을 통한 민중계몽에 앞장섰다. 선생의 강연에 감화된 지회원들은 각지에 사립학교를 설립하는 등 민지계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활동은 경북 김천·개령 등 영남지방으로 확산되어 나갔다. 주요 내용은 국채보상운동 필요성, 근대교육 중요성, 국제정세, 경제문제 등이었다. 선생의 강연은 1909년 9월 광동서관에서 ‘강연집(동양 선생 김광제 강연)’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3.1운동 전후로 귀국하여 국내 민족해방운동을 도모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대한매일신보》1907년 2월 21일자)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대한매일신보》1907년 2월 21일자)

선생은 3.1운동을 전후로 귀국하였다. 목적은 국내 민족해방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마침 이달(李達)은 1919년 2월 동경에서 조선독립을 위한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한 후 이듬해 1월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하여 국내로 잠입·활동하고 있었다. 선생도 동경유학생 이달·김영만(金榮萬)과 대구유지 홍천갑(洪千甲)·백의수(白義洙) 등과 함께 동참하였다. 이들은 ‘제2의 3.1운동’을 위하여 격문과 독립선언서 등을 배포하던 중 일경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제2의 3.1운동을 준비하러 국내로 복귀. 조선노동대회 주도하며 노동 활동에 나서

동국풍아 표지
동국풍아 표지

한편 1920년대에 들어오면서 각종 사회단체 결성과 더불어 부문별 민족운동도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1919년 박중화(朴重華) 등을 중심으로 조직된 조선노동연구회는 이듬해 2월 7일 해체되었다. 선생은 2월 16일 종로 중앙청년회관에서 조선노동대회 발기회를 주도하는 등 노동자 권익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25일에는 「노동단취지서」 발표와 함께 단장에 취임하였다. 4월 11일 조선노동공제회 창립 직후 그의 주도로 노동대회도 조직되었다. 선생은 조선노동대회 전국연합회장과 경성본부장으로 전국 순회강연에 나서는 등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다가, 그 해 7월 24일 경남 마산에서 영면하였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독실한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난 청년, 보부상을 거쳐 경제인으로 성장하다

서상돈(徐相敦, 1850.10.17 ~ 1913.6.30) 선생은 경북 김산군 마잠(현 김천시 지좌동)에서 서철순(徐哲淳)과 김해 김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조부인 서광수(徐光修, 1714 ~ 1786)가 천주교에 입교한 이래 모든 친척들도 입교하는 등 독실한 교인 집안이었다. 그런 만큼 천주교 박해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이들은 피해를 모면하기 위하여 빈번하게 이사해야만 했다. 선생이 9세 되던 1859년, 부친이 상주 청리에서 사망하자, 선생은 모친과 동생 상정과 함께 외가인 대구 새방골 죽전으로 이사하였다. 이는 외조부인 김후상(金厚詳)의 보살핌과 경제적인 지원을 받기 위함이었다. 선생은 어린 나이에 어느 상점 심부름꾼으로 고용되어 돈을 벌었고, 이는 살림살이에 일정 정도 보탬이 되었다.

18세경에는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보부상을 시작하였다. 이는 대구천주교회 원로회장 서용서의 후원과, 보부상의 거두인 최철학의 지원, 그리고 외사촌형 김종학 등 천주교인들의 후원 등에 힘입은 바 크다. 취급 품목은 소금·건어물·일용잡화 등으로 재래시장을 전전하는 신세였다.

그러나 선생은 근면과 성실을 밑천삼아 사업을 점차 확장하여 나갔다. 활동영역도 점점 넓어져 낙동강을 무대로 부산에서 안동까지 무려 800리 뱃길을 이곳저곳 누비고 다녔다. 고령 개포(開浦)는 사실상 그의 본거지나 다름없었다. 취급품과 물량도 쌀·소금·베·기름·창호지·건어물·성냥 등으로 크게 늘어났다. 원격무역은 엄청난 이익 확대로 이어졌다. 1885년 35세에는 수많은 보부상을 거느린 대상인으로서 당당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에 선생은 안동·군의·김천·칠곡·달성 등지에 토지를 매입하여 대지주로 성장하였다. 어느덧 서상돈 선생은 대구지역을 대표하는 유력한 경제인 중 하나가 되어 있었다.

근대식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민족자본을 육성하다

선생은 1894년 45세부터 약 10년간 탁지부 시찰관에 임명되어 경상도 세정을 총괄하였다. 선생의 공직생활은 나라를 걱정하며 재물을 조금도 탐하지 않는 청렴한 생활로 일관되었다. 당시 부패로 얼룩진 공직사회에서 볼 때, 선생은 초야에서 안빈낙도하는 고고한 ‘선비’나 다름없었다. 이에 관아에서 파직된 아전들은 선생을 무고하게 투서하거나 고발하는 등 곤경에 빠뜨렸다. 이때마다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로베르 신부는 이러한 고발과 투서가 거짓임을 증명하는 등 선생을 옹호하였다.

선생은 교회활동을 통하여 근대교육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깨달았다. 1899년을 전후하여 대구읍내 새방골·대어빌·영천 등지에 학당을 설립할 때, 선생은 정규옥(鄭圭鈺) 등 교회 내 신자들과 재정적인 지원 및 학교 운영을 도왔다. 계산동 성당 부속인 한문서당 해성재(海星齋)도 그의 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날로 발전을 거듭하던 해성재는 1908년 4월 1일, 근대식 교육기관인 성립학교(聖立學校)로 탈바꿈하여 개교하였다. 이 학교는 2년 뒤 부속으로 야간부인 성립여학교를 설치하는 등 여성교육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선생은 또한 1905년 달서여학교(達西女學校) 설립에 이일우(李一雨) 등과 함께 적극 관여하였다. 달서여학교는 1909년 학부대신(學部大臣: 대한제국 때에 학무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관청)으로부터 정식 사립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합리적인 가정생활을 위한 부인야학회를 운영하는 등 대구지역을 대표하는 여학교로 발전을 거듭하였다.

한편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독립협회가 주관한 자주독립 수호를 위한 민중대회) 참여는 선생으로 하여금 새로운 변화를 절감하는 계기가 되었다. 선생은 재무부 과장·부장을 맡아 열강에 빼앗긴 이권 회수와 민권보호를 위한 맹렬한 투쟁에 앞장섰다. 이러한 경험은 내수자강(內修自彊)에 입각한 시대정신을 일깨우는 요인이었다. 1906년 1월, 김광제 선생·정규옥 등과 대구광문사와 대구민의소를 조직한 일은 근대교육 보급과 민지계발(民智啓發)을 위한 일환이었다. 2월 경북관찰사 신태휴(申泰休)는 관내를 순회하면서 대구광문사 교육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섰다. 관찰사는 각 군에 학교설립과 서적구입 등에 관한 일체를 대구광문사에 문의하도록 지시하였다. 교사 양성은 사립 사범학교 설립으로 이어졌다. 선생은 김윤란·정규옥·서병오 등과 함께 500원의 기금을 출연하는 등 재정적인 기반 확충에 진력을 기울였다.

토착 상권 보호와 민족자본 육성책은 대구농공은행 설립으로 귀결되었다. 선생은 김병순·서병오·이장우·이중래(李重來)·이상악(李相岳) 등과 대구농공은행 주주로 참여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국채보상운동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자립경제 수립에 노력을 기울였다. 1907년 1월 29일, 선생은 대동광문회 특별회에서 국채 1,300만 원을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취지를 발의하였다. 선생은 즉석에서 800원을 의연금으로 내놓았고, 200여 명의 다른 회원들도 만장일치로 선생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선생의 국채보상 발의는 국채보상운동을 국가적인 민족운동으로 발전·승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대된 국채보상운동

국채보상운동 취지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곧바로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어 갔다. 1907년 2월 22일, 서울에서 김성희(金成喜)·유문상(劉文相)·오영근(吳榮根) 등이 국채보상기성회를 설립하였다. 이는 전국 각 지방에서 요원의 불길처럼 일어나는 국채보상운동을 총괄하는 기구로서, 그 취지와 회칙을 발표하는 등 합법적인 단체로서 형식을 갖추었다. 회칙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1. 본회는 일본에 대한 국채 1,300만 원을 보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2. 보상 방법은 국민 의연금을 모집한다. 단 금액은 다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3. 본회에 의연금을 바치는 사람은 본회의 회원으로 인정하고 씨명과 금액을 신문에 게재한다.

4. 본회와 목적을 같이 하는 각 단회는 서로 연합하여 목적을 달성하는데 힘쓰기로 한다.

5. 의연금은 수합하여 위의 액수에 달하기까지 신용 있는 본국 은행에 임치한다. 단 수합 금액은 매월 신문을 통하여 알린다.

6. 본회는 목적을 달성한 후 해산한다.

국채보상기성회는 의연금 수전소로 야뢰보관 임시사무소, 김상만(金相萬)의 광학서포, 유한모(劉漢模)의 조동 건재약국, 대한매일신보사, 상동 청년학원, 고유상(高裕相)의 서포, 주한영(朱翰榮)의 서포 등 7개소를 지정하였다. 또한 서병염(徐丙淡)·윤흥섭(尹興燮)·박규순(朴圭淳) 등 59명도 [국채보상포고문]을 발표하고 국채보상중앙의무사를 설립함으로써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의연금 수전소는 황성신문사였다.

각 지방에서도 국채보상회 설립과 더불어 취지서를 발표하는 등 주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였다. 국채보상운동 기간 중 확인이 가능한 국채보상소를 설립한 곳은 전남(제주도 포함) 18개소, 경기 15개소, 충남 20개소 등이었다. 다른 지방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었다고 생각된다.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고 전국민운동으로 진전된 국채보상운동은 의연금 관리 등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통합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907년 4월에는 이를 지도·총괄하기 위한 통합기구로서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와 국채보상연합회의소도 각각 조직되었다. 보상금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국채보상조사회, 이를 검사하기 위한 국채보상검사소도 설립되는 등 통합과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국 두 단체의 통합은 끝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의연금 수합과 국민 지도라는 역할분담이 이루어졌다.

국채보상운동기념비
국채보상운동기념비

국채보상운동에는 고관이나 양반·부유층은 물론 노동자·농민·부녀자로부터 상인·군인·학생·기생·승려 등에 이르기까지 참여하지 않은 계층이 없었다. 유아나 초등학교 학생들도 자신들 용돈을 의연(義捐: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해 돈이나 물품을 냄)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여성들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들은 반찬값을 절약하거나 비녀·가락지·은장도 등을 의연품으로 기꺼이 내놓았다. 일본유학생들과 멀리 미주와 노령 교포들도 의연금을 보내왔다. 국내에 거주하는 일부 외국인들도 참여하는 등 열기를 고조시켰다. 어느 서양인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일이라”고 감탄하면서 4원을 의연하였고, 평남 영유군 이화학교(李花學校)의 일본인 교사 정유호빈(正柳好彬)도 2원을 의연하는 등 외국인 동참도 증가를 거듭했다.

특히 2월 26일 고종황제의 칙어(勅語: 임금이 몸소 이름)와 함께 단연보상 참여는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이는 국채보상운동을 국가적·국민적 의거로서 공인한 셈이나 마찬가지였다. 초기 국채보상운동에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던 정부대신들도 이 소식을 접한 이후 금연 결심과 함께 참여하였다. 특히 단천군 국채보상소 발기인 이병덕(李炳德)·김인화(金仁化) 등은 “국채보상가”를 지어 널리 보급하였다. 일부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생략)…

대한 2천만 민중에 / 서상돈만 사람인가?

단천군 이곳 우리들도 / 한국 백성 아닐런가?

…(중략)…

아홉 살 어린이 이용봉(李龍鳳)도 / 세뱃돈 얻어 보조하니

감발(感發: 감동하여 분발함)할 일 감발할 일이네 / 충애심으로 감발할 일이네

포동 사는 안형식(安衡植)이 지금 여섯살 어린애로서

아버지의 의금 내는 것 보고 / 구화 2원 꺼내 바쳤네

…(이하 생략)…

국채보상운동의 좌절과 민족실력 양성운동

이처럼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빠른 시간에 전개될 수 있었던 요인은 언론활동에 크게 힘입었다. <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제국신문>·<만세보> 등은 2월 대구광문사에서 국채보상을 결의한 사실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이래, 운동 확산에 진력하였다. 특히 <황성신문>은 1907년 2월 25일 “단연보국채(斷烟報國債)”라는 제목의 논설을 통하여 국채보상을 국민의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제국신문>도 3월 1일 “국채보상금 모집에 관한 사정”이라는 논설에서 국채보상이 정부를 위함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운동임을 선언하였다. 5월 27일에는 “재외부인의연서”를 통하여 하와이 부인들의 의연활동을 소개하기도 했다.

<대한매일신보>는 가장 적극적으로 국채보상운동 관련 사실 보도에 앞장섰다. 이는 국외 활동에 대한 소개로 이어졌다. 또한 각 신문사는 사내에 국채보상 모금처를 설치하고 전국민적인 참여를 촉구하는 한편, 각지에서 조직된 기성회 취지서와 의연금납부자 명단을 게재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물론 초기 일부 언론은 성과에 대하여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이후 범국민운동으로 확산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상돈 선생은 국채보상운동을 발의하였고, 이후에도 국채보상운동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널리 추앙되었다. 이에 일제는 이 운동을 금지시켰으며 갖은 방법을 동원해 방해하여 결국 국채보상운동은 더 이상 진전을 보이지 못하였다. 선생은 일제의 탄압으로 국채보상운동이 좌절되자 사업 활동에 전념하여 실업진흥을 통한 민족실력 양성에 힘썼다. 그러다가 1913년 6월 30일, 64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이달의 독립운동가 명단 > 김광제(관리번호:348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
이전달 다음달
맨 위로 이동
공훈전자사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