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정보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1133
성명
한자 劉振東
이명 劉光波, 劉正宇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2007 훈격 애국장
1928년 중국(中國) 상해(上海) 동제대학(同濟大學)에서 한인학우회(韓人學友會)를 결성하여 서무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 학우회(學友會) 대표로 상해(上海)에서 열린 한인각단체대표회의(韓人各團體代表會議)에 참석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4년까지 흥사단(興士團) 원동위원부(遠東委員部)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1933년 한국독립당원(韓國獨立黨員), 1936년 민족혁명당원(民族革命黨員), 1940년부터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군의처장(軍醫處長), 그리고 1942·43년경에는 임시정부(臨時政府) 의정원(議政院) 의원(議員)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7권(2009년 발간)

유진동은 중국 상해(上海)에서 동제대학(同濟大學) 의과 대학을 졸업하였으며, 부인은 강영파(姜暎波)이다. 1928년 동제대학에서 재(在) 상해 한인학우회(韓人學友會)를 결성하여 서무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에는 학우회 대표로 상해에서 개최된 한인각단체대표회의(韓人各團體代表會議)에 참석하였다.

1931년부터 1934년까지 흥사단(興士團) 원동위원부(遠東委員部)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1932년 1월에는 동지들을 규합하여 상해한인청년당(上海韓人靑年黨)을 조직하였다.

1933년에는 한국독립당원(韓國獨立黨員), 1936년에는 민족혁명당원(民族革命黨員)으로 활동하였고 1940년부터는 광복군사령부(光復軍司令部)의 군의처장(軍醫處長)이 되었으며, 1942·43년경에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45년 11월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환국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7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國民族運動史料(國會圖書館) 中國篇 689·791·792·767·768·830·884면
  • 朝鮮民族運動年鑑 263면
  • 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國會圖書館) 288·28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별집 제3집 14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유진동 이명 : 유정우(劉正宇), 유광파(劉光波), 영문명 : 뉴 필튼(New Pillten) 평남 강서(江西) -
본문
1908년 6월 10일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 장안면(長安面) 안석리(安石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유정우(劉正宇), 유광파(劉光波)이고 영문명은 뉴 필튼(New Pillten)이다. 종교는 기독교이다. 아버지는 유종주(劉宗柱)이고 어머니는 김경신(金敬信)이다. 동생은 유병순(劉炳洵)·유병민(劉炳珉)·유진달(劉進達)이다. 1930년 1월 8일 강도순(姜道舜, 혹은 강영파)과 결혼하였다.1912~22년 중국 펑톈성(奉天省) 린장현(臨江縣) 팔도강(八道江)에서 거주하였다. 1913~15년 사립 신흥유치반(新興幼稚班)에 다녔다. 1916년 사립 중명소학교(重明小學校)에 입학하여 1919년 졸업하였다. 1919~21년 린장현 고등소학교(臨江縣高等小學校)에서 수학하였다. 1923년 펑톈성 푸쑹현(撫松縣) 송수저(松樹咀)로 이동하였다. 1923~26년 중국 지린성(吉林省)에서 기독교 학교인 문광중학(文光中學)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이동하여 동제대학(同濟大學) 중학부에 입학하였다. 1929년 동제대학 독일어 보습과(補習科)를 졸업하였다. 이후 동제대학 의학부에 입학하여 1935년 6월 졸업하였다. 중국 각지에서 병원, 요양원을 운영하였다. 중국에서 활동하면서 한반도에서 발행되는 신문과 잡지에 중국 유학 상황과 의학 관련 글을 게재하였다.1925년 9월 19일 지린성에서 개최된 여길학우회(旅吉學友會) 총회에 참석하였다. 총회에서 재무계(財務係)에 선임되었다. 여길학우회는 지린성에 유학하는 한인 학생들이 조직한 단체이다. 같은 해 (음)10월 3일 여길학우회 회원들과 함께 단군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이어진 임시총회에서 부회장에 선임되었다.만주에서 참의부(參議府) 내무(內務) 주임으로 활동하였다. 『독립신문』 남만특파원(南滿特派員)으로 활동할 당시 양기탁(梁起鐸)·오동진(吳東振) 등과 함께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에 참가하였다.1927년 12월 4일 흥사단(興士團)에 입단하였다. 매해 개최되는 흥사단 원동대회(遠東大會)에 참석하고 흥사단 강연회에서 강연하였다. 1931년 11월 중순 이내주(李迺柱)를 흥사단에 입단시켰다. 광복 이후까지 흥사단 활동을 이어나갔다.1928년 4월 이춘환(李春環) 등과 함께 상해한인학우회(上海韓人學友會)를 조직하였다. 1930년 11월 3일 상하이 프랑스 조계(租界) 성덕학교(聖德學校)에서 개최된 상해한인학우회 강연회에서 학생운동에 관해 보고하였다. 1931년 7월 중순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박용철(朴容喆)·서재현(徐載賢)·엄항섭(嚴恒燮) 등과 협의하여 한인독립청년동맹(韓人獨立靑年同盟)을 조직하였다.1931년 9월 2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만주사변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 결과 상하이에서 활동하는 각 단체 대표들을 소집하기로 하였다. 다음날인 9월 21일 임시정부·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노병회(勞兵會)·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 등 9개 단체 대표가 회의에 참여하였다. 옥인섭(玉仁燮)과 함께 상해한인학우회 대표로 참석하였다. 회의에서 단체 대표들이 논의하여 상해한인각단체연합회(上海韓人各團體聯合會)가 조직되었다. 대표들은 중국과 연대하여 일제의 만주 침략에 대처하기로 결의하였다.1932년 1월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동지들과 함께 상해한인청년당(上海韓人靑年黨)을 조직하였다. 1933년 1월 16~17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전체대회에 제3구(第)3(區) 대표로서 참석하였다. 1935년 2월 15~17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개최된 한국독립당 제7차 대표대회에 김두봉(金枓奉)·최석순(崔錫淳)·송병조(宋秉祚)·조완구(趙琬九)·차리석(車利錫) 등과 함께 참석하였다. 회의에서는 혁명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중국 난징(南京)에서 조직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에 참가하기로 결의하였다.1936년 상하이에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서무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7년 11월 17일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를 환송하였다. 1940년 8월 10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임의택(林義澤)·엄익근(嚴益根)과 함께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총사령부 군의(軍醫)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군의처(軍務處) 처장, 1942년 10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 의무실 주임, 1944년 8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의무실 실장에 임명되었다.1942년 10월 31일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에 선출되어 <건국강령 수개(修改)에 관한 안>, <간부 인재 양성에 관한 안>, <외교통일에 관한 안>을 제안하는 등 해방 당시까지 의원 활동을 이어갔다. 1944년 6월 15~21일 중국 충칭(重慶)에서 개최된 한국독립당 정기 전체회의에 김구(金九)·조소앙(趙素昻)·이청천(李靑天)·조완구·민필호(閔弼鎬) 등과 함께 참석하였다. 같은 달 19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송면수(宋冕秀)와 함께 선전부 편집위원에 임명되었다.1944년 12월 미국 흥사단 본부 이사장 송종익(宋種翊)에게 임시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하고, 흥사단이 광복 이후 국가 수립에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1945년 2월 7일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조직하고 상무위원 겸 재무부장에 선임되었다.1945년 11월 23일 김구의 주치의로서 김구·김규식(金奎植)·이시영(李始榮)·김상덕(金尙德)·엄항섭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환국하였다. 1946년 한국독립당 중앙위원으로 활동하였고, 같은 해 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 후생위원(厚生委員)에 선임되었다.대한민국 정부는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유진동(관리번호:81133)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