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조서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778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毛信永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919. 3. 31 평북 정주군 정주읍 장날에 시위군중 2만 5천여 명이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가를 행진할 때 일경의 무자비한 발포로 사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평안북도 정주(定州) 사람이다.

1919년 3월 31일 정주읍 장날을 이용하여 일으킨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이날 신안(新安)·동주(東州)·고현(高峴)면민들은 읍성 동문(邑城東門)으로, 이언(伊彦)·복달(復達)·아이포(阿耳浦) 면민들은 남문으로, 임해(臨海) 면민들은 서문으로 들어와서 시위군중이 2만 5천명이 넘는 대대적인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군중은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벌이던 중, 출동한 일본 경찰·헌병과 충돌하였다.

이때 일본 헌병은 잔인하게도 선두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를 외치던 최석일(崔晳一)의 양팔을 잘라 죽이고, 최석일을 대신하여 태극기를 주워들고 만세를 외치던 최사걸(崔士傑)도 짐승을 죽이는데 사용하는 쇠갈구리로 배를 찌르는 만행을 자행하였다.

그러나 시위군중이 이같은 일제의 만행에도 굴하지 않고 계속 만세시위를 벌이자, 일제는 드디어 무차별 사격을 가하였다.

이때 선두에 있던 그는 흉탄에 맞아 현장에서 순국하였는데, 모원봉(毛元鳳)·모원규(毛元奎)와 함께 한 집안에서 3명이 순국하는 비운을 당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45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모신영 - 평북 정주(定州) 정주군 정주면 3.1운동
본문
1869년 7월 28일 평안북도 정주군(定州郡) 덕언면(德彦面) 대성동(大成洞)에서 태어났다. 1919년 평북 정주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사망하였다.평안북도 서남부 해안에 위치한 정주군은 동쪽으로는 박천군(博川郡)·태천군(泰川郡), 서쪽으로는 선천군(宣川郡), 남쪽으로는 황해도, 북쪽으로는 구성군(龜城郡)과 접하고 있다.정주의 본격적인 대규모 시위는 1919년 3월 31일 천도교인의 주도로 일어났다. 천도교중앙총부의 지도자로 활약하던 김진팔(金鎭八)은 1919년 1월 5일부터 2월 22일까지 경성 교외 우이동(牛耳洞) 봉황각(鳳凰閣)에서 열린 49일 기도회에 참석하였다. 이때 독립만세시위와 관련된 지령을 받고 2월 말에 정주로 돌아왔다. 그는 정주 천도교구장인 최석일(崔晳一)과 교구 직원인 서인화(徐仁和)·백중빈(白重彬)·이근배(李根培)·박윤길(朴允吉), 그리고 곽산(郭山) 천도교구장인 김경함(金庚咸) 등과 서주동(西州洞)에 위치한 박형석(朴瀅錫)의 집에서 비밀리에 회합하였다. 이 자리에 모인 천도교 지도자들은 정주면 장날인 3월 31일 만세시위를 벌이기로 결의하고 대중 동원과 시위 준비에 들었다.거사 당일인 3월 31일 신안(新安)·동주(東州)·고현(高峴)·이언(伊彦)·복달(復達)·아이포(阿耳浦)·임해(臨海) 등 군내 각 면에서 4,000여 명이 만세시위를 위해 모여들었다. 낮 12시 정주우편국 앞에 모인 시위대는 독립선언서를 서로 나누며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날 만세시위에 참여해 시위대와 독립만세를 외치며 읍내 곳곳을 행진하였다.일제 수비대는 기선을 제압하고자 분주하였고, 수비대장 도비타(飛田) 중위는 시위대를 향해 군도를 휘두르다가 결국 발포 명령까지 내렸다.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외치던 최석일(崔晳一)이 죽임을 당하였고, 김사걸(金士傑)도 칼에 맞아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다. 시위대가 만세시위를 멈추지 않자 수비대는 총격을 계속하였다. 시위대가 면사무소에 들어가 서류와 집기를 부수고 행진을 시작하자 수비대는 다시 발포하였다.이날의 시위 현장에서는 최소 28명, 최대 120여 명의 시위대가 수비대의 총이나 칼에 맞아 사망했는데, 그 인명 피해는 1919년 만세운동 당시 일어난 만세시위 중 가장 큰 규모였다. 이날 시위에 나섰다가 아들 모원규(毛元奎)와 조카 모원봉(毛元鳳)과 함께 수비대가 쏜 총탄에 맞아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모신영(관리번호:7778)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