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정보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3705
성명
한자 朴熙成
이명 Howard S. Park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0 훈격 건국포장
1920년 2월 20일 미국(美國) CALIFORNIA Willows에서 당시 상해(上海) 임시정부(臨時政府)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김종림(金鐘林)이 발기하여 설립한 비행사 양성소 학생으로 비행술을 수학하였으며 1921년 5월 동소(同所)를 졸업하고 국제비행가면장(國際飛行家免狀)을 받아 동년(同年) 7월 18일 상해(上海)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국무원회의에서 육군비행병 참위(陸軍飛行兵參尉)로 임명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9권(2011년 발간)

박희성은 1920년 2월 20일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과 김종림(金鐘林)이 발기하여 미국 캘리포니아 윌로우스(willows)에 세운 한인비행사 양성소에 3월경 입학해 1년여 동안 비행술을 배웠다. 1921년 3월경 노다이 지방에서 열린 대운동회에서 시험비행을 하여 관람 군중으로부터 '한인소년비행대장'이라는 애칭을 받았다. 4월 10일 레우드 시티 비행장에서 항공 면허 시험을 치르던 중 추락하는 사고로 중상을 입었으나, 5월 22일 다시 시도해 세크라멘토 비행장에서 국제항공증서를 받게 되었다. 7월 18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회의에서 육군비행병 참위로 임명되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0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신문(1921. 8. 15)
  • 대한민국 임시정부공보 제28호(1921. 7. 20)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5권 223면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6권 292면
  • 신한민보(1920. 3. 19, 1921. 3. 31, 4. 14, 5. 26)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7집 1301면, 제8집 80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희성 영어명 : 호워드(Howard S. Park) 황해 해주(海州) -
본문
1896년 5월 2일 황해도 해주군(海州郡)에서 출생하였다. 「독립유공자평생이력서」에는 5월 8일생으로 되어 있으나, 캘리포니아주 공공보건과(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에서 발급한 사망확인서에는 생년월일이 5월 2일로 되어 있다. 영어명은 호워드(Howard S. Park)이다. 자료상 확인되는 가족으로는 형 박춘근과 누나 박영복이 있다.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다니던 중, 도미하였다고 한다. 1916년 중국 상하이에서 차이나(China) 호를 타고 미국으로 갔다. 12월 12일 최희송(崔熙松)·함병찬·조용림 등과 함께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1917년 8월 대한인국민회에서 가옥채(은행채) 보상 발기자를 모집하자, 제1회 발기자 22명 가운데 한 명이 되었다. 1919년 8월 국민회 회원으로 국민의무금 5달러를 납부하였다. 9월 대한민국 적십자회 본부의 명령으로 신한민보사(新韓民報社)가 적십자회 지부를 설립하고 회원을 모집하였다. 이때 회원으로 가입하고 10달러를 후원하였다.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이 비행학교 설립 추진차 미국을 방문하였다. 2월 노백린 등이 발기하여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Willows)에 한인비행사양성소를 설립하자, 3월에 입학하여 최영길(崔英吉)·김태선(金泰善)·박유대(朴有大) 등 24명과 함께 비행사 조종 훈련을 받았다. 이때 가장 우수한 학생으로 인정받았다.1921년 1월 백인의 도움으로 사립 새크라멘토 비행장에서 비행기와 학비 등을 무료로 제공받아 홍종만과 함께 조종 훈련을 받았다. 이용근·정동룡 등도 소개하여 새크라멘토 비행장에서 함께 조종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2월에는 비행기를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같은 해 3월 하순 홍종만·이용근·정동룡과 함께 새크라멘토 부근 노다이에서 열리는 비행대회에 참가하여 ‘한인소년 비행대장’으로 불리기도 하였다.4월 10일 레드우드 시티 비행장에서 열린 비행기 조종사 자격시험을 치렀으나 큰 부상을 입고 말았다. 5월 22일 다시 이용근과 함께 조종사 자격시험에 재응시하여 합격하였다. 7월 7일 국제항공연맹의 조종사 자격증을 획득하였다. 14일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제비행사 자격증을 획득한 그와 이용근에게 상장과 포상금 지급을 의결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 비행 참위(參尉)로 임명하였다.1923년 3월 새크라멘토지방회에서 주최한 3.1절 기념식에 참석하여 독립선언서를 낭독과 연설을 하였다.1925년 9월 박영관·강영문·위영민 등과 태프트지방회에서 활동하였고, 1926년 3월 다뉴바와 리들리 지방 한인들이 연합으로 개최한 3.1절 기념식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1929년 3월 리들리지방회 주최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만세 삼창 인도자로 선정되어 「앞으로 우리의 의무」란 선언서를 낭독한 뒤 ‘대한독립 만세, 대한민국 만세, 부여민족 만세’를 선창하였다. 9월 유타주 빙햄(Bingham)에서 이민식 등과 광산에서 일하며 그곳 한인들과 국민회 보조금을 납부하였다.1931년 1월 로스앤젤레스공동회(일명 라성공동회)에서 활동하며 로스앤젤레스국어학교를 재정 후원하였다.1932년 6월 캘리포니아주 엘 샌트로에 거주하며 김호(金乎)·박영순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원금을 모아 총 33달러 50센트를 송금하였다. 10월 중가주(中加州, 중부 캘리포니아주) 대한인공동회가 리들리한인교회에서 이봉창(李奉昌) 의사 추도회를 개최하자, 참석하여 추도사를 하였다. 국민회를 비롯한 동지회·흥사단 등 각 단체들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후원하기 위해 미주한인연합회를 만들자, 12월 참가하여 문양목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1933년 2월 미주한인연합회가 인구세를 걷기 위해 캘리포니아주 각지에 특별위원을 선정할 때 엘 샌트로 지역 인구세 수봉(收捧) 특별위원으로 뽑혔다.1934년 8월 로스앤젤레스지방회에서 본국 수재(水災) 구제금 수전위원 4인을 선정하자, 그중 1인으로 선정되었다. 1937년 1월 15일 비행기 추락사고 후유증으로 고생하다가 사망하였으며, 19일 로즈데일 묘지에 안장되었다.대한민국 정부는 201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희성(관리번호:73705)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