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22
성명
한자 權秉悳
이명 字:潤佐, 號:又雲, 道號:淸菴, 貞菴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62 훈격 대통령장

관련정보


2017년 03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기미독립운동(己未獨立運動) 삼십삼인 중(三十三人中) 일인(一人)으로 2년 징역형(二年懲役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권(1986년 발간)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충청북도 청주(淸州) 사람이며, 천도교(天道敎) 인이다. 18세에 동학(東學)교도가 되고, 1894년(고종 31)의 동학혁명 때 손병희(孫秉熙)와 함께 6만명의 교도를 이끌고 호응했으나 관군에 의하여 진압 당한 후 전국 각처를 방랑하였다.

1908년(융희 2) 일본에서 귀국한 손병희가 천도교를 일으키자 이에 입교하여 전제관장(典制觀長)·이문관장대리(理文觀長代理)·금융관장(金融觀長)·보문관장(普文觀長) 등을 역임하였다.

1919년 2월 25일경 천도교의 기도회 종료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해 상경한 그는 손병희·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을 만나, 3·1독립만세운동계획을 듣고 이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이 달 27일 최린(崔麟)·오세창·임예환(林禮煥)·나인협(羅仁協)·홍기조(洪基兆)·김완규(金完圭)·나용환(羅龍煥)·홍병기(洪秉箕)·박준승(朴準承)·양한묵(梁漢默) 등의 동지와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들과 함께 민족대표로서 성명을 열기하고 날인하였다.

3월 1일 오후 2시경 인사동(仁寺洞)에 있는 태화관(泰華館)에서 민족대표 33인으로 서명한 사람 중에서 지방에 거주하는 길선주(吉善宙)·유여대(劉如大)·김병조(金秉祚)·정춘수(鄭春洙) 등 4명이 빠지고 29명이 모였다.

그는 이 때 민족대표의 1인으로 참여하여 조선의 독립을 희망하는 만세삼창을 외치고, 일본경찰에 의하여 경시청총감부(警視廳總監部)에 구금되었다가,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2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천도교 종리원(宗理院)의 서무과 주임을 거쳐, 중앙교회 심계원장(中央敎會 審計院長)·감사원장(監査院長)·선도사(宣道師) 등을 역임했다.

저서(著書)로는 ≪조선총사(朝鮮總史≫·≪이조전란사(李朝戰亂史)≫·≪궁중비사(宮中秘史≫가 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독립운동년감 1면
  • 고등경찰요사 22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307·309·81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70·7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14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1·14·20·28·38·41·44·46·50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82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681·682·70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0권 280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3·148·430면
  • 사진:국사편찬위원회 소장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권병덕 자 윤좌(潤佐), 호 청암(淸菴), 정암(貞菴), 우운(又雲) 충북 청주(淸州) -
본문
1868년 4월 25일 충청북도 청주군(淸州郡) 미원면(米院面) 성화동(聖化洞, 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종암리)에서 부친 권문영(權文永)과 모친 신문화(申文嬅)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윤좌(潤佐)이며, 호는 우운(又雲), 도호(道號)는 청암(淸菴)·정암(貞菴) 등이 있다. 선대는 경북에서 살아 증조부모와 조모의 묘는 경북 문경군 호계면에 있고, 조부의 묘는 경북 상주군 화서면에 있는 것으로 보아 출생 시기에 경북 상주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외가는 청주 일원에 대대로 살아온 고령 신씨(氏)로서 당시 관례에 따라 외가인 청주군 미원면 성화동에서 태어났고, 얼마 후 다시 상주 본가로 돌아갔다. 상주에서 종숙에게 『동몽선습』을 배웠다. 9세 때인 1876년 다시 청주 양곡리(양골, 지금의 미원면 용곡리) 외가 고장으로 이사하였다. 이곳에서 외가 형 신철모와 함께 인근 유학자에게 한학을 공부하였다. 16세 때인 1883년에는 원주에 사는 원세화의 장녀와 혼인하였다. 18세인 1885년, 한학을 가르치던 스승 임약호(任弱鎬)의 권유로 동학에 입도하였다. 이듬해 봄, 상주군 화서면에 머물고 있었던 동학 2세 교주 최시형을 찾아가 인사를 드렸다. 최시형은 수도 정진하는 법을 일일이 설명하고, 동학의 부적인 영부(靈符)도 친히 써 주었다. 이후 밤낮으로 동학 경전을 연구하고 주문을 외우며 수도 생활을 하던 중 어느 날 잠시 누워 있는데 갑자기 집에서 불길이 솟았으며, 집안 사람들에게 알리지 않고 천사(天師)에게 고하니 불이 저절로 사그라들었다고 한다. 동학에 입교하여 신비를 체험한 것이다. 1887년 20세 때 부친의 명에 따라 과거에 응시하였다. 그러나 급제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해 최시형의 명을 받들어 집에서 49일 기도를 하였고, 보은 장내리에 동학의 중앙본부로서 육임소(六任所)가 설치될 때 중정(中正)의 중책을 맡았다. 1893년 미원 용곡리 자택에 최시형이 머물며 복합 상소를 준비하여 일시적으로 동학 본부 역할을 하였다. 1894년 전라도 고부군수 조병갑의 가렴주구와 농민들의 거듭된 시정 요구가 묵살되고 오히려 탄압을 받자 이에 반발하여 전봉준 등이 이끄는 전라도 동학(남접)에 의해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다. 교주 최시형을 중심으로 한 충청도 동학(북접)은 때를 기다리라고 하며 봉기에 반대하여 처음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라도 동학 교도들에 대한 관군의 탄압이 가해지자 최시형이 명을 내려 각지의 동학교도들이 남접을 돕기 위해 봉기하게 하였다. 이에 충경포(忠慶包) 차접주(次接主)로서 충경포와 문청포(文淸包) 교도 3만여 명을 인솔하여 김연국(金演局)·황하일(黃河一)과 함께 남접과 공동 전선을 펴기 위해 옥천군 청산에 집결하였다. 관군과 수차에 걸쳐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고 피신하였다. 피신 중 영동과 논산에서 관군과 맞닥뜨려 체포될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1896년, 충주 외서촌으로 옮겨온 최시형을 만났다. 최시형은 경상도 일대를 순회하며 교세를 회복하도록 지시하였다. 1907년 손병희가 동학의 일파로서 친일화한 일진회 간부를 축출하자 이에 반발한 이용구 등이 동학에서 분리하여 시천교를 따로 창건하였다. 이때 천도교 보수파인 김연국이 시천교로 옮겨 교주에 추대되었다. 이때 시천교로 옮겨 시천교 육임 중 교수(敎授)에 올랐다. 시천교는 최제우와 최시형의 신원운동(伸寃運動)을 전개하며 천도교와 종통(宗統) 투쟁을 벌였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했을 때 일제의 한국 강제 병합에 반대하지 않았다. 시천교가 친일적이었고, 시천교의 주요 직분에 있었기 때문이다. 1911년 시천교의 임원을 새로 구성하면서 이용구계가 육임 자리를 차지하며 교권을 장악하면서 교화를 담당하는 관도사(觀道師)로 밀려났다. 이듬해에는 시천교가 교역자 양성을 위해 건립한 종학관(宗學館)의 교사로 활동하였다. 『시천교월보』에 「시천역사」를 기고하고, 시천교 경전인 『시의경교(時儀經敎)』를 펴내는 등 교리를 정리하였다. 1912년 초 임원진을 새로 구성할 때 요직인 종무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송병준 일파가 교권을 장악하여 독단적으로 운영을 하자 1913년 초 간부직을 사임하고 낙향하였다. 그해 3월 김연국계도 시천교 본부와 결별하고 시천교 총부를 설립하였다. 두 단체 모두 친일적 성향이 농후하였다. 김연국 계열로서 1915년 독자 노선을 걷고자 중앙시천교회본부를 개교하고 천종사장(天宗師長)이 되어 새로운 시천교 지파의 수장이 되었다. 이 또한 친일 성향의 종파였다. 그러나 1916년 참회식을 가진 후 천도교로 복귀하였다. 천도교로 복귀한 뒤 천도교 도사로서 손병희의 아낌을 받았다. 손병희의 승례(承禮, 일명 接待係)로 집사 일을 하며 최측근으로 있었다. 그러던 1919년 2월 20일경, 손병희는 시대의 흐름이 변하고, 일본이 한국을 병합하고 있어도 일본의 이익이 되지 않으므로 한국은 독립하고, 그 후에 일본과 제휴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면서 3·1운동 민족 대표로 참여하라고 권유하였다. 손병희의 권유를 받고 참여하였다. 2월 26일 김상규의 집에서 열린 천도교 측 대표자들 모임, 28일 손병희의 집에서 열린 전체 민족대표의 최종 회합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1일 오후 1시 반, 손병희와 함께 태화관으로 나갔다.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 대표 33인 중 원격지에 있어 늦거나 현지 독립운동 지도를 하는 4인을 제외하고 29인이 모인 가운데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다른 민족 대표들과 함께 일제에 연행되었다. 오랜 기간 재판을 거친 결과 1920년 10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미결구류일수 360일 본형 산입)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었다. 1921년 11월 4일 출옥하던 날, 소감을 묻는 기자에게 """"옥중에서 얻은 교훈은 동포끼리 서로 사랑하라는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출옥 후 천도교 종리원(宗理院)의 서무과 주임, 중앙교회 심계원장(審計院長), 감사원장, 선도사(宜道師) 등을 지내며 천도교의 중심적 역할을 계속하였다. 천도교 지도자로서 활동하면서 동시에 『조선총사(朝鮮總史)』·『이조전란사(李朝戰亂史)』·『궁중비사(宮中秘史)』 등의 역사서를 남겼다. 특히, 『조선총사』는 일제 침략에 항거한 의열사의 활약을 높이 평가하여 독립운동을 부추겼다고 출판법의 안녕 금지 조항에 의해 삭제 처분을 당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피고 등에 대한 본건을 관할위로한다(담당할수없음) 경성지방법원 1919-08-01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내란 경성지방법원을 본건의 관할재판소로 지정 고등법원 1920-03-22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소요 본건 공소를 수리하지 않음 경성지방법원 1920-08-09 국가기록원
4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소요 징역 2년(원판결 취소), 공소불수리(公訴不受理) 신청은 각하(却下)함, 미결구류일수 3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10-30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찾기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선언 기념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기타 봉황각 서울특별시 강북구
3 장소 3·1공원 충청북도 청주시
4 비석 황극단 전라북도 전주시
5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권병덕(관리번호:22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