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3606
성명
한자 申明均
이명 號:珠汕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2017 훈격 애국장
1922년 5월 이후 조선교육협회(朝鮮敎育協會) 이사로 활동하고, 1923년 5월 조선민립대학기성회(朝鮮民立大學期成會) 경성부(京城部) 집행위원에 선임되었으며, 1924년 5월 중국(中國) 흑룡강성(黑龍江省) 영고탑(寧古塔)에서 개최된 대종교(大倧敎) 교우회(敎友會)경성대종교위원(京城大倧敎委員)으로 참석하고, 동년 6월 언론집회압박탄핵회(言論集會壓迫彈劾會)에 참여하였다가 2일간 검속(檢束)됨.
1921년 12월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창립 동인으로 참여하고, 1927년 2월 한글(社) 설립 후 한글잡지 『한글』의 편집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29년 11월 조선어사전편찬회(朝鮮語辭典編纂會) 발기인으로 참여, 연구부 부원에 선출되고 1931년 동회(同會)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朝鮮語辭典編纂委員會) 간사로 활동함.
1932년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간사장에 선임되었으며, 1934년 이극로(李克魯)와 함께 한글 주간신문 『서울시보』 발행을 주도함.
1931년 『조선역사(朝鮮歷史)』, 1933년 『조선어문법(朝鮮語文法)』, 1934년 『조선어철자법(朝鮮語綴字法)』 등 한국 역사 및 한글맞춤법통일안에 관한 다수의 저술을 남겼으며, 1940년 11월 일제의 창씨개명 강요 등에 분개하여 자결(自決), 순국(殉國)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21년 12월 3일 서울 휘문의숙(徽文義塾)에서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가 조직될 때 참여하였다. 1922년 5월 9일 조선교육협회 제2차 정기총회에서 이사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1923년 3월 24일 개최된 전조선청년당대회(全朝鮮靑年黨大會)에 대종교(大倧敎) 중앙 측 준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5월 10일 조선민립대학기성회 경성부(京城部)가 설치될 때 집행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24년 5월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영고탑(寧古塔)에 있는 대종교 총본사에서 개최된 교의회(敎議會)에 경성대종교(京城大倧敎) 위원으로 참석하였다. 같은 해 6월 조선교육회관에서 개최된 제1회 및 제2회 언론집회압박탄핵회(言論集會壓迫彈劾會)에 위원으로 참여하여 일제의 언론집회 탄압에 항거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같은 해 6월 20일 일본 경찰에 검속되었다가 이틀 뒤인 6월 22일 풀려나기도 했다.

1927년 2월 조선어 발달과 일반의 지식 향상을 위해 한글사(한글社)를 설립한 후 잡지 『한글』의 편집 겸 발행인으로서 한글의 연구와 보급에 노력하였다. 1929년 3월 26일 개최된 조선소년총연맹(朝鮮少年總聯盟) 상무위원회(常務委員會)에 소년잡지 측을 대표하여 참석했다. 같은 해 11월 조선어사전편찬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연구부(硏究部)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31년 1월 이중건(李中乾)과 함께 동회(同會)의 간사를 맡아 조선어사전 편찬에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1931년에는 청년상식총서(靑年常識叢書)로 『조선역사(朝鮮歷史)』를 출판하는 등 다방면에 걸쳐 국학운동을 펼쳤다. 1930년대 초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同德女子高等普通學校)에서 ‘조선어’를 가르칠 때는 학생들의 반제투쟁인 맹휴(盟休) 투쟁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

1931년 1월 10일 조선어연구회가 조선어학회로 개칭된 후 1932년 1월 9일 간사장으로 선출되어, 다시 창간된 기관지 『한글』을 통해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 사업에 앞장섰다. 1933년 4월에는 조선어학회의 회계로 선출되어 활동했다. 1933년 『조선어문법(朝鮮語文法)』, 1934년 『조선어철자법(朝鮮語綴字法)』을 출판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철자법 개정과 관련한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관제안(官制案)에 대항하여 조선어학회안(朝鮮語學會案)의 과학성을 적극 홍보하였다. 같은 해 6월 이극로(李克魯)와 함께 순 한글 주간신문(週刊新聞)인 『서울시보』를 발간하였다.

이밖에도 출판사 중앙인서관(中央印書館)을 경영하면서 『신소년(新少年)』을 비롯한 잡지와 『시조전집(時調全集)』, 『주시경집(周時經集)』, 『가사집(歌詞集)』, 『소설집(小說集)』, 『백옥루』 등 조선문학과 관련한 다수의 전집을 편찬했다.

1937년 7월 일제가 중일전쟁을 일으킨 후 일제가 전시총동원체제를 확립하고 창씨개명(創氏改名) 등 본격적인 민족말살정책을 강화해가자, 이에 분개하여 1940년 11월 자결 순국하였다.

정부는 2017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이헌구(李軒求), 환산(桓山)과 신명균(申明均)(사상계, 1965. 1) 294~295면
  • 가람 일기(日記)(이병기, 1976) 제2권 518면
  • (장편실화소설) 민족의 얼(리원주, 2001) 307~309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신명균 항목)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8) 제14권 564면
  • 두견(杜鵑)(한설야, 1941) 4월호 인문평론, 151~153면
  • 지도자군상(指導者群像)(김오성, 1946) 제1권 168면
  • 고대신문(高大新聞)(1955. 10. 31)
  • 돌의 미학(美學)(조지훈, 1964) 42면
  • 사상문제(思想問題)에 관한 조사서류(調査書類)(6)
  • 조선문자급어학사(朝鮮文字及語學史)(김윤경, 1938) 654, 656면
  • 조선역사(朝鮮歷史)(청년상식총서 1:역사편)(신명균, 1931)
  • 조선어철자법(朝鮮語綴字法)(신명균, 1934)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제12권 189~197, 273, 294면
  • 신한민보(新韓民報)(1929. 11. 28, 1931. 2. 5)
  • 현대일보(現代日報)(1946. 4. 17)
  • 신건설(新建設)(1945. 12) 제2호 47~48면
  •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朝鮮人)의 부(部)-재만주(在滿洲)의 부(部)(9)
  • 검찰행정사무(檢察行政事務)에 관한 기록(記錄)(1)
  • 동아일보(東亞日報)(1922. 5. 11, 1923. 2. 24, 5. 19, 1924. 4. 12, 6. 22~23, 1927. 2. 21, 1928. 6. 18, 1929. 11. 2, 1930. 9. 6, 1931. 1. 9, 1932. 1. 11, 1933. 4. 10, 1934. 6. 10)
  • 매일신보(每日申報)(1923. 2. 24, 1924. 6. 22~23)
  • 시대일보(時代日報)(1924. 6. 9, 6. 22~23)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사적지 조선소년총연맹회관 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신명균(관리번호:96360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