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7
성명
한자 康珽祥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80 훈격 대통령표창
1944. 6 광복군(光復軍)현지 입대(現地入隊)하여 일군(日軍) (內)정보 탐지(情報探知)초모 활동(招募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1944년 6월 광복군(光復軍)에 현지(現地) 입대(入隊)하여 일군(日軍) 내의 정보탐지(情報探知) 및 초모활동(招募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강정상 - 평안북도 벽동(碧潼) -
본문
1928년 11월 25일 평안북도 벽동(碧潼)에서 태어났다. 1943년, 중국 산둥성(山東省) 지난(濟南)중학교 재학 중 상급생 장세국(張世國), 인근 칭다오(靑島)중학교 백운용 등과 더불어 항일 비밀결사대를 조직하였다. 5개 강령을 정하고 2개 중학교 시위운동을 모의하였다. 같은 해 4월, 신입생 입학식에서 일제의 침략상과 반일 사상을 담은 전단을 뿌리며 시위를 주도하였다. 중국인 학생 대표가 단상에 올라가 ‘일본 제국주의 타도에 전 중국인은 궐기하자’라고 연설하자 일본 헌병들이 출동하여 총격을 가했다. 이때 톈진(天津)으로 피신하였다. 1944년 6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징모처 제6분처 공작원 윤창호(尹昌浩)와 접촉해 제6분처 주임 김학규(金學奎, 광복군 제3지대장)의 지하공작원 임명장을 받고 광복군에 입대하였다. 당시 윤창호는 화중(華中)지구(허난성(河南省), 후베이성(湖北省), 후난성(湖南省), 장시성(江西省)) 특파원으로서 한국인 학도병·지원병을 탈출시키는 광복군 모집 공작을 담당하고 있었다. 입대 후 일본군의 이동 상황과 군수품 야적지, 부대 위치와 병력 배치 상황 등을 파악해 본부에 보고하는 한편, 광복군 모집 공작에도 참여하였다. 1945년 7월, 모집된 신입 대원 20여 명을 호송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 본대로부터 공작 업무를 중지하고 귀대하라는 지령을 받고 복귀하였다. 복귀 후 한 달 뒤 광복을 맞아 1946년 5월 광복군 복원령에 따라 귀국하였다. 귀국 후 국군 11사단에서 복무하고, 강원도 춘천시에서 30년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강정상(관리번호: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