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423
성명
한자 吳英善
이명 吳福順, 吳永善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2016 훈격 애족장
1940년 중국(中國) 중경(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창립에 참여하고, 1944년부터 해방 때까지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黨員)으로 활동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3권(2017년 발간)

1940년 중국 중경(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창립에 참여하고, 1944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으로 활동하였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1940년 6월 16일 중국 중경에서 결성되었다. 한국독립당의 산하단체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독립운동 지원과 교육 활동에 주력했던 여성독립운동가 단체였다. 임시정부 요인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가속들의 생계 및 교육을 담당했으며 나아가 직접 여러 단체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조용제(趙鏞濟)ㆍ송정헌(宋靜軒)ㆍ정정산(鄭正山)ㆍ오건해(吳健海)ㆍ김수현(金秀賢)ㆍ노영재(盧英哉) 등이었다.

한국독립당은 1930년 1월 25일 중국 상해(上海)에서 민족주의 계열 인사들이 창립한 독립운동 단체였다. 설립 당시 이사장에 이동녕(李東寧), 당무이사에 김구(金九)ㆍ조소앙(趙素昻) 등이 선출되었다. 특히 조소앙은 한국독립당의 당의 및 당강이었던 삼균주의(三均主義)를 기초한 인물이었다.

오영선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외무부장(外務部長)이었던 조소앙의 부인이자 임시정부 내 여성동맹의 주요 구성원이었다. 아울러 한국독립당의 당원으로 활동하면서 임시정부 활동에 대한 지원은 물론 부녀자들의 각성과 단결을 촉구하며 여성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임시정부 지원요청 공문 및 중경 한인명부(독립기념관 소장)
  • 大韓民國臨時政府 職員 眷屬 僑民 名冊(독립기념관 소장)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11) 제34권 151, 216면, 제44집 329면
  • 資料 韓國獨立運動(秋憲樹, 1971) 제1권 31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오영선 오영선(吳永善), 오복순(吳福順) 경기 양주(楊州) -
본문
1887년 4월 29일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남면(南面) 황방리(篁芳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오영선(吳永善)·오복순(吳福順)이다. 조소앙(趙素昻)과 결혼하였다. 자녀는 조인제(趙仁濟)·조필제(趙弼濟)이다. 조소앙과 결혼 후 일본으로 유학하는 남편 조소앙과 함께 도쿄(東京)로 가서 하숙 생활을 하였다. 이후 남편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였다.1934년 6월 상하이에서 상해대한인거류민단(上海大韓人居留民團)에 참여하여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3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거류민단제」를 국무원령(國務院令)으로 공포하고 상해대한인거류민단을 추인하였다. 상해대한인거류민단은 임시의정원 의원을 선출하였고, 임시정부 직속 지방 자치단체이자 수도 행정기관으로서 기능을 담당하였다. 또한, 국민인 거류민단원들은 인구세와 애국금 납부를 통해 임시정부 재정을 뒷받침하였다.1937년 중일전쟁(中日戰爭)이 발발하면서 임시정부에 참여한 각 정당 단체들은 긴급한 통일의 필요성과 임시정부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재건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과 미주와 하와이 각 단체들이 연결되어 독립운동연합체인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韓國光復運動團體聯合會)를 결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1940년 5월 당시 임시정부가 자리한 중국 쓰촨성(泗川省) 치장현(綦江縣)에서 통합 한국독립당이 출범하였다.1940년 6월 17일 통합 한국독립당 산하단체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이 창립되었을 때 여기서 참여하였다. 한국혁명여성동맹 구성원들은 독립운동가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등의 교육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 3월 통합 한국독립당에 참가하여 당원으로 활동하였다.광복 이후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였다. 6·25전쟁 중 남편이 납북되는 비운을 맞이하였다. 1961년 2월 8일 오전 2시 서울대학병원에 입원 중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기도 양주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오영선(관리번호:942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