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680
성명
한자 睦然旭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 1944. 6~1944. 12 중국 북경(中國北京)에서 광복군(光復軍) 징모(徵募) 6분처(分處)공작원(工作員)들과 접선(接線)되어 활동(活動)하였음.

2. 1944. 12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에 입대(入隊)하여 광복시(光復時)까지 8월간(月間) 활동(活動)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기도 양주(楊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0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13·61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목연욱 - 경기 양주(楊州) -
본문
1916년 9월 1일 경기도 양주(楊州)에서 태어났다. 본적은 경기도 양주군 동두천(東豆川) 지답(紙沓)이다. 본관은 사천(泗川)이다.1944년 6월부터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한국광복군 징모 6분처 공작원들과 접선하여 활동하였다. 북평지구에서부터 김광언(金光彦)의 인솔을 통해 김지옥(金址玉)·김옥경(金玉卿)·김환(金煥)·박윤기(朴允基)·김성환(金成煥) 등과 함께 입대하였다. 같은 시기 한국광복군 김정옥(金貞玉)과 함께 적지구공작대 연락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이후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편입되어 광복 시까지 활동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목연욱(관리번호:868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