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338
성명
한자 金德穆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40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육군(陸軍) 제95사단(師團)에 배속 항일전에 참여(參與), 1940년 12월 중국군사위원회 첩보학교(諜報學校) 제3기로 졸업하고 일군(日軍) 정보 수집(情報蒐集) 등 첩보활동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40년 광복군총사령부에 입대, 1942년 광복군 총사령부 참모로서 중국 판공청 특검처 상위대원(中國辦公廳特檢處上尉隊員), 중국 제2청특명원(廳特命員), 중앙훈련단(中央訓練團) 29군관대대(大隊) 12중대 상위대원(中隊上尉隊員) 등 중앙첩보기관에 복무(服務) 항일전에 활약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남 용강(龍岡) 사람이다.

일찍이 부친 김붕준(金朋濬)을 따라 상해로 건너 가 인성(仁成)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흥사단(興士團)에 가입하여 한중 우호 증진 및 항일의식 고취를 위하여 활동하던 중 윤봉길의 홍구공원 의거로 독립운동자 일제 검거에 나선 일경에 의하여 1932년 4월에 체포되었다가 동년 5월 14일 혐의를 찾지 못하자 가출옥하였다. 그후 중산(中山)대학에 재학하다가 1939년 3월 중국 중앙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중국군에 배속되어 항일전에 참전하였다.

1940년 2월 중국 군사위원회 군령부 첩보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상위(上尉)로 적정 수집에 전념하는 한편 광복군 총사령부 참모로서 독립운동에 참가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314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713·72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76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덕목 - 평안남도 용강(龍岡) -
본문
1913년 5월 10일 평안남도 용강군(龍岡郡)에서 김붕준(金朋濬, 1888~1950)과 노영재(盧英哉) 사이에서 3녀 1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아버지는 김붕준은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냈고, 여동생 김효숙(金孝淑, 1915~2003)과 김정숙(金貞淑, 1916~2012)도 광복군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 아버지 김붕준이 한국독립당 광둥(廣東)지부 책임자로 임명되어 가족들과 함께 광저우(廣州)로 옮겨갔다. 광저우에서 중산대학(中山大學) 법학원 경제과에 입학하여 1937년 9월 김창화(金昌華)·안병무(安炳武) 등과 함께 졸업하였다. 중산대학에 다닐 때인 1933년 3월 이정호(李貞浩)·김창국(金昌國) 등과 함께 유학생들의 친목과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한 용진학회(勇進學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중일전쟁이 발발하였을 때 학생항일구국회·학생전시복무단을 조직하여 항일 의식 고취·대적선전·장병 위문 등의 활동을 하였다.1919년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찾아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1927년 9월 상하이에서 인성학교(仁成學校)를 제7회로 졸업하고, 강만(江灣)체육중학교와 명강대학(明强大學)을 다녔다. 1931년 안창호(安昌浩)가 주도하던 흥사단(興士團)에 입단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尹奉吉)의 홍커우공원(虹口公園) 의거 직후 박화산(朴華山)·차균찬(車均燦)·장현근(張鉉瑾)·김덕근(金德根)·박제도(朴濟道)·박제건(朴濟建)·장상국(張相國)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가 5월 14일 석방되었다. 1937년 2월 김창만(金昌滿)·김용(金鏞)·이흥관(李興官, 이명 마초군(馬超軍)) 등과 한국청년전위단(韓國靑年前衛團)을 조직하였다. 한국청년전위단은 한국국민당청년단의 안우생(安偶生)·김인(金仁)·이재현(李在賢)·한도명(韓道明) 등이 광저우에서 조직하였으며, 김구(金九)가 주도하던 한국국민당의 조직과 세력을 확대하려는 한국국민당의 전위조직이었다. 이 단체의 기관지로 『전선(前線)』을 발행하며 활동하다가 1937년 9월 한국국민당청년단에 흡수 통합되었다. 1938년 8월 한도명과 함께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제4분교 제9총대(總隊) 보병과에 입학하였고, 재학 중인 1939년 11월 중국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40년 5월 제16기로 졸업하고, 중국군사위원회 군령부(軍令部) 첩보참모 훈련반에 들어갔다. 훈련반에서 7개월 동안 첩보 교육을 받고 1940년 12월 25일 졸업하였다. 1942년 8월 15일 중국군사위원회 군령부 상위(上尉)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첩보참모로 파견한다는 발령장을 받았고, 다음 날인 8월 16일에는 중국군사위원회 판공청(辦公廳) 특검처(特檢處) 제3과 과원(科員)에 임명되었다. 특검처는 서신 검열과 일본군에 대한 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부서였다. 이후 광복 때까지 중국군으로 복무하면서 중국군사위원회와 광복군 총사령부의 연락을 담당하는 한편, 일본군에 대한 정보 수집과 후방 공작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광복 후 귀국하여 이범석(李範奭)이 결성한 조선민족청년단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1977년 7월 2일 서울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하였고, 국립 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덕목(관리번호:833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