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1315
성명
한자 李淑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독립운동지원 포상년도 2017 훈격 애족장
1939년 중국(中國) 기강(綦江)에서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당원(黨員), 1940년 6월 중경(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창립에 참여하고, 1944년 3월 중경(重慶)에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黨員)으로 활동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이숙진(李淑珍)은 독립운동가 조성환(曺成煥)의 부인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업무로 분주했던 남편을 대신해 1930년대 이후 가족의 생계를 도맡았다.

1940년 6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한국여성혁명동맹이 설립되자 정정화(鄭靖和)·김병인(金秉仁)·이헌경(李憲卿) 등과 함께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였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의 목적은 남성 독립운동가들의 항일운동 지원, 독립운동가 자녀 보육 및 교육에 있었다.

특히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갖은 고초를 겪으며 독립운동의 명맥을 유지시켜 나갔다. 부군인 조성환이 끝까지 독립운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그녀의 헌신과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부는 201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9) 제34권 150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9) 제35권 91, 97, 103, 119, 125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11) 제44권 32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리수전(이숙진) - 외국 중국 -
본문
1900년 9월 24일 중국에서 태어났다, 본적이 중국 베이징(北京)으로 중국인 하파(下坡) 리(李)씨 리더하이(李德海)의 딸이다. 대한독립군단 부총재·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 등으로 활동한 조성환(曺成煥)의 부인이다. 1921년 베이징에서 조성환과 결혼했으며, 슬하에 자녀는 없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조성환의 첫 번째 부인이 국내로 돌아간 이후, 중국정부 기관 등을 상대로 한 임시정부 활동을 돕고 임시정부 요인들의 통역을 맡았으며, 중국사회에 익숙하지 못한 임시정부 구성원들을 돌보아 주었다. 1940년 6월 충칭에서 ‘한국여성은 혁명여성임을 자처하며, 조국 독립 완성과 세계평화 실현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중국여성과 전 세계 피압박민족 여성들과 연계 분투’할 것을 촉구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결성에 참여하였다. 1944년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숙진(관리번호:8131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