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1026
성명
한자 吳健海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2017 훈격 애족장

관련정보


2018년 0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1942년부터 해방 때까지 한국독립당당원(韓國獨立黨黨員)으로 활동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40년 6월 정정화(鄭靖和)·김병인(金秉仁)·이헌경(李憲卿) 등과 함께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에 참여했다.

그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과 독립운동가 자녀들을 헌신적으로 보살폈다.

한국혁명여성동맹은 한국독립당의 여성 조직으로 1940년 6월 17일 창립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항일독립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요인들의 생계를 보살피고, 독립운동가 자녀들의 보육과 교육에 힘썼던 단체였다.

1943년 3월에는 한국독립당 중앙조직부의 조직을 정리할 당시 제2구 당원이 되어 1945년 해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였다.

정부는 201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09) 제34집 203, 231면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2011) 제44집 329면
  • 한국 임시정부의정원(臨時政府議政院) 각 당파 명부(독립기념관 소장)
  • 임시정부(臨時政府) 지원요청 공문 및 중경(重慶) 한인명부(대한민국임시정부비서처, 1944. 9. 17. 독립기념관 소장)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오건해 - 충북 -
본문
1894년 2월 29일 충청북도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조부는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오형학(吳亨翯)이다. 아버지는 오우석(吳禹錫)이고 어머니는 홍씨(洪氏)이다. 신건식(申健植)과 중매로 결혼하였다. 자녀는 외동딸 신순호(申順浩)이고 사위는 박영준(朴英俊)이다. 광복 이후 신정식(申廷植, 신건식의 큰형)의 아들 신우호(申羽浩)를 양자로 입적하였다.신건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총장(法務總長), 국무총리 대리 겸 외무총장(外務總長)으로 활동으로 활동했던 신규식(申圭植)의 동생이다. 신건식은 1939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943년 3월 임시정부 재무차장(財務次長)에 선임되었다. 신순호는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陳線靑年工作隊)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에서 활동하였다. 박영준은 임시정부 법무장(法務長)을 역임한 박찬익(朴贊翊)의 아들이다. 박영준은 광복군 제3지대 간부, 임시정부 재무부 이재과장(理財科長)으로 활동하였다.1926년 3월 신순호와 함께 중국 상하이(上海)로 이동하였다. 1937년 임시정부 주석 이동녕(李東寧)의 병간호를 하였다. 1938년 중국 창사(長沙)에서 김구(金九)가 총격을 당한 이후 회복 시기에 김구를 간호하였다.1940년 가족과 함께 중국 충칭(重慶)으로 이동하였다. 신규식의 의제(義弟) 박찬익이 만주(滿洲)에 가족을 두고 홀로 충칭으로 와서 활동할 당시 박찬익의 뒷바라지에도 힘썼다.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임시정부에 참여한 각 정당 단체들은 긴급한 통일의 필요성과 임시정부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재건 한국독립당, 미주와 하와이 각 단체를 연결해 독립운동연합체인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韓國光復運動團體聯合會)를 결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1940년 5월 임시정부 소재지인 중국 쓰촨성(泗川省) 치장현(綦江縣)에서 통합 한국독립당이 출범하였다.1940년 6월 17일 통합 한국독립당 산하 단체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이 창립되었고, 여기에 참여하였다. 한국혁명여성동맹 구성원들은 독립운동가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등의 교육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1년부터 충칭에서 통합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으로 활동하였다.광복 후 중국 난징(南京)에서 주화대표단(駐華代表團) 활동을 하는 가족들을 지원하다가 1948년 4월 귀국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오건해(관리번호:8102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