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6월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 관리번호 | 702 | ||
|---|---|---|---|
| 성명 |
|
한자 | 金相浩 |
| 이명 | 없음 | 성별 | 남 |
| 생년월일 | 사망년월일 | ||
| 본적 | |||
| 운동계열 | 광복군 | 포상년도 | 1963 | 훈격 | 대통령표창 |
|---|
| 순번 | 성명 | 이명 | 출신지 | 관련사건 | |
|---|---|---|---|---|---|
| 1 | 김상호 | - | - | - | |
| 본문 |
출생 시기 및 출신지, 성장 과정 등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1945년 6월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국내 정진 교육훈련 중 광복”을 맞이했다고 주장하였다. ‘국내 정진 교육훈련’은 제3지대가 추진하였던 OSS와의 합작훈련을 지칭하는데, 총책임자 엄도해, 훈련대장 윤영무를 비롯하여 22명이 훈련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1944년 7월 7일 안후이성 남쪽의 리황(立煌)에 마련된 훈련지에 도착하여 훈련을 시작하였으나, 1개월가량 지나 광복을 맞이하였다. 현재 확인되는 훈련요원 명단에서 이름은 발견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