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379
성명
한자 李玉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68 훈격 대통령표창
1941년 임정 의용대(臨政義勇隊)광복군(光復軍) 제1지대 간부(幹部)로써 활약중 상해(上海), 남경(南京), 중경(重慶) 등지로써 광복군 초모공작 선전공작에 활약 중 1945년 해방을 맞이함. (한국독립사(韓國獨立史) p 338, 777)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1941년 임정(臨政) 의용대(義勇隊) 및 광복군(光復軍) 제1지대 간부로써 활약 중 상해(上海), 남경(南京), 중경(重慶) 등지로 광복군 초모공작·선전공작에 활약 중 1945년 해방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8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옥진 - 평북 용천(龍川) -
본문
1923년 10월 18일 평안북도 용천군(龍川郡) 양하면(楊下面) 시남리(市南里)에서 태어났다. 1941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용대(義勇隊) 및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1지대 간부로써 중국 각지에서 초모·선전 활동 등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1940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선언문」을 발표하며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다. 한국광복군은 총사령부와 지대들을 편성하고 모병기구인 징모처(徵募處)를 조직하여 병력을 모집하였다. 창설 초기에 한국광복군의 제1지대는 1941년 초 중국 시안(西安)에서 군사특파단원들을 중심으로 편성된 지대로 초모 활동과 대적선전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2년 한국광복군은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편입 등의 요인으로 새롭게 각 지대를 통합하거나 조정하였다. 이에 편입된 조선의용대를 중심으로 한국광복군 제1지대를 새로 구성하였다. 재편된 한국광복군 제1지대는 중국 충칭(重慶)에 본부를 두었으며 하부 조직으로 3개 구대를 편성하여 신입대원 교육 훈련, 초모활동, 간부훈련, 대적선전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이 무렵인 1941년부터 임시정부 의용대 및 광복군 제1지대 간부로 활약하였다. 상하이(上海)·난징(南京)·충칭 등지에서 광복군 초모공작 및 선전공작 활동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옥진(관리번호:537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