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32
성명
한자 金榮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44. 11 상순 경 일군 탈출 중국군 제 4군단 유격대에 합류, 대적활동을 하다가 1945. 4 광복군(光復軍) 제 1지대 제 3구대에 입대, 복무 중 1945. 8 상순 경 유격작전 중 전사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북 상주(尙州) 사람이다.

일본군에 강제 징집되어 1944년 11월 주중 일본군 창(槍) 부대에 배속되었다. 부대 행군 중에 호남성 장사(長沙) 부근에서 탈출하여 중국 중앙군 제4군단 유격대에 합류하여 대적활동을 하였다. 그후 중국 계동(桂東)에서 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에 입대하여 같은 해 8월초 유격활동 중 전사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이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5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영이 - 경상북도 상주(尙州) -
본문
1924년 7월 2일 경상북도 상주군(尙州郡) 함창면(咸昌面) 오동리(梧桐里, 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서 태어났다.1944년 일본군에 강제 입대하여 대구 주둔 일본군 제80연대에서 훈련을 받았다. 중국 후난성(湖南省)·장시성(江西省) 전선으로 향하던 중, 1944년 11월 일본군을 탈출하여 중국군 제9전구 소속 유격대에 합류하였다. 중국군 제4군 소속 유격대에 참가해 후난성 창사(長沙) 일대에서 일본군의 보급수송을 방해하는 유격전에 참가하는 한편, 일본군 문서 번역·포로 심문 등의 활동에 참여하였다.1945년 중국군 소속 한국인들과 장시성 이춘(宜春)에 집결해 이봉훈(李奉勳)·진병길(陳炳佶) 휘하에서 비호대(飛虎隊) 대원으로 활동하였다. 비호대가 구이동(桂東) 등지에 있던 한국인 유격대와 합류하여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로 재편됨에 따라 제3구대 대원이 되었다.백진규(白振奎)·조영오(趙榮五) 등 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 대원들과 후베이성(湖北省)·후난성 전선에 파견되어 지하연락망을 구축하고 유격전을 수행하였다. 그러던 중, 1945년 음력 6월 15일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영이(관리번호:53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