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247
성명
한자 金信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임시정부(臨時政府) 김구(金九) 주석(主席)삼남(三男)으로 1944. 6월 한국독립당원(韓國獨立黨員), 임정내무부원(臨政內務部員),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원(韓國光復軍總司令部員)이 되어 활동(活動)하였으며 일제 말기(日帝末期)에는 중국 공군군관학교(中國 空軍軍官學校)에서 조종사 훈련(操縱士訓練)을 받으며 대일 항전(對日抗戰)참여(參與)하는등 독립운동(獨立運動)에 이바지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8권(1990년 발간)

황해 벽성(碧城) 사람이다. 백범(白凡) 김 구(金九)의 아들로 1933년 조모 곽낙원(郭樂園)을 따라 중국으로 망명한 그는 1938년부터 1944년 사이에 중국 사천성(泗川省) 청목관(靑木關) 중앙대학부속 고급중학교(中央大學附屬高級中學校)와 국립서남연합대학(國立西南聯合大學)을 졸업하였다. 김 구(金九) 주석과 생사를 같이하는 많은 독립투사들의 지도를 받으며 임시정부의 비밀연락과 임정요인들 간의 주요 연락 및 정보수집 임무를 맡아서 수행하였다. 그 뒤 1944년 3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 가입하였으며 동년 6월에는 임정내무부원 및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부원(韓國光復軍總司令部部員)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그후 중국 공군군관학교(空軍軍官學校)에 입교하여 운남성(雲南省)과 인도(印度) 편잡성 라홀시에서 조종사 훈련을 받고 대일전에 참가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김구동정관련건(조선총독부경무국) 470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13권 613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828·857면
  • 한국민족운동사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54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34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신 호: 서언(瑞言), 김신강(金申江) 중국 상하이(上海) -
본문
1922년 9월 21일 중국 장쑤성(江蘇省) 상하이(上海) 프랑스 조계 내 영경방(永慶坊)에서 백범(白凡) 김구(金九)와 최준례(崔遵禮)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는 서언(瑞言)이다. 1925년 11월 할머니 곽낙원과 국내로 돌아와 김선량의 도움으로 황해도 안악에서, 안신학교(安新學校)에 다녔다. 1934년 3월 일제 감시를 피해 할머니 및 형 김인(金仁)과 함께 평양에서 출발하여, 같은 해 4월 저장성(浙江省) 자싱(嘉興)에서 아버지 김구와 만났다. 이후 난징(南京)으로 가서 관신(關信)이라는 이름으로 대중교소학(大中橋小學)에 다녔다. 1937년 안휘중학(安徽中學)에 다니던 중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안공근 일가와 함께 창사(長沙)로 이동하였다. 이후 임시정부 가족과 함께 광저우(廣州), 류저우(柳州)를 거쳐 1939년 4월 쓰촨성(四川省) 충칭(重慶)에 도착하여 손가화원(孫家花園)에 거주하였다. 김신강(金申江)이라는 이름으로 청목관(靑木關)에 있는 중국 중양대학(中央大學) 부속 고급중학 2학년에 편입하였다. 졸업을 앞두고 학교에 본명을 알리고 바로잡았다. 1943년 중학 졸업 후 쿤밍(昆明)에 있는 서남연합대학(西南聯合大學)에 진학하였으나, 병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충칭으로 돌아와 아버지 김구와 임시정부 요인 간의 연락 및 정보 수집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44년 3월에는 한국독립당 당원으로 활동하였고, 같은 해 6월 안봉순·문덕홍과 임정 내무부 민정과(民政科) 과원에 임명되었다. 광복군총사령부의 일원으로도 활동하며 임시정부의 공군 편성 계획에 참여하던 중, 중국 공군군관학교 시험에 합격하였다. 쿤밍에서 기초 군사훈련을 받은 후 1945년 인도령 라호르(Lahore, 현 파키스탄)로 이동하여 초등비행훈련을 받던 중 광복을 맞았다. 1945년 12월 라호르를 떠나 미국으로 가서, 텍사스주 랜돌프(Randolph) 공군기지에서 비행훈련을 받았다. 1947년 6월 과정을 마치고 중국으로 돌아가 중국 공군에서 제대하였다. 9월 조카 김효자(金孝子, 김인의 딸)를 데리고 귀국하여, 선우진과 김구의 비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1948년 4월 김구가 소위 ‘남북 협상’에 참여하려고 평양에 갈 때도 수행하였으며, 이후 중국에 있는 할머니 곽낙원, 어머니 최준례, 형 김인, 임정 요인 이동녕 및 차리석의 유해를 수습해 왔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신(관리번호:524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