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4
성명
한자 姜文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63 훈격 대통령표창
1945. 5.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第三支隊)입대(入隊)하고 국내정진교육훈련반(國內挺進敎育訓練班)편입(編入)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1945년 5월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第三支隊)에 입대하고 국내정진교육훈련반(國內挺進敎育訓練班)에 편입한 사실이 확인된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강문길 - 평안북도 철산(鐵山) -
본문
1919년 5월 7일 평안북도 철산군(鐵山郡) 참면(站面) 유정동(柳亭洞)에서 태어났다. 1945년 5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는 징모 제6분처가 발전하여 성립되었고, 일본군 점령 지역과 근접한 중국 안후이성(安徽省)푸양(阜陽)에 정착한 후 초모 공작을 전개하였다. 1945년 2월 김학규(金學奎) 지대장은 쿤밍(昆明)으로 가서 미 제14항공대 사령관 첸놀트(Claire L. Chennault)장군과 면담하고 한미군사합작에 대해 합의하였다. 이어 지대장 일행은 충칭(重慶)으로 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 지도부에 교섭 경과를 보고하고 재가를 받았다. 푸양에 도착한 김학규는 OSS 훈련을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하였다. 총책임자에 엄도해(嚴道海, 이명 엄홍섭(嚴弘燮)), 훈련대장에 윤영무(尹永茂) 등 22명의 대원이 선발되었고, 한국어와 한국 독립운동 진영의 내부 상황에 밝은 윔스(C. N. Weems)도 고문 자격으로 훈련에 관여하였다. 선발된 대원들은 1945년 7월 7일 안후이성 남쪽 리황(立煌) 부근의 훈련소에 도착하여 3개월 과정의 훈련을 시작하였다. 훈련이 약 1개월간 진행되어 초보적인 기술을 습득할 무렵 일제의 패망으로 중지되고 말았다. 1945년 5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국내 정진 교육 훈련반에 편입되어 활동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광복 후 귀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강문길(관리번호:4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