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312
성명
한자 盧英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21년 중국(中國) 상해(上海)망명(亡命)하여 1932년 이후(年以後)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중국(中國) 각지(各地)전전(轉轉)하며 중경(重慶)에서 광복(光復)을 맞이할때까지 임정 요인(臨政要人)등의 뒷바라지에 힘쓰고 1944. 3월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가입(加入)하여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평남 용강(龍岡) 사람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장을 지낸 애국지사 김붕준(金朋濬)의 부인으로 1921년 6월 중국 상해(上海)에서 밀파된 안내원을 따라 전 가족이 인천항에서 어선을 타고 상해로 망명할 때 당시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 회장인 김마리아가 일경에 붙잡혀 심한 고문을 받고 정신이상 상태인 것을 동반하여 상해까지 수행하였다.

이후 8·15광복에 이르기 까지 25년간을 임시정부를 따라 중국 각지를 전전하며 온갖 고초를 무릅쓰고 임시정부 요인들과 독립투사들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등 정성을 다하여 뒷바라지에 힘썼다.

또한 1941년 6월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의 결성에 참여하였고 1944년 3월에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3卷 614面
  • 資料韓國獨立運動(秋憲樹) 第1輯 318面
  • 寫眞(1941. 6. 17 韓國革命女性同盟 創立紀念)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노영재 노영자(盧英子) 평남 용강(龍岡) -
본문
1895년 7월 10일 태어났고, 본적은 평안남도 용강군(龍岡郡) 오신면(吾新面) 구룡리(九龍里) 245번지로 되어 있다. 동향 출신으로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장을 역임한 김붕준(金朋濬)이 남편이다. 본래 노영자(盧英子)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개명하였다. 아들 김덕목(金德穆), 큰딸 김효숙(金孝淑)과 사위 송면수(宋冕秀), 작은딸 김정숙(金貞淑)과 사위 고시복(高時福) 등이 모두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해 헌신하였다.1921년 6월 중국 상하이(上海)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임시정부 군사국장 도인권(都寅權), 군사부 참사 김붕준의 가족들이 국내에서는 독립운동가의 가족이란 이유로 안위를 보장받을 수 없으므로 이들을 망명시키기 위해 안내원을 밀파하였다. 안내원의 주선으로 가족과 함께 인천항에서 배를 타고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 배에는 1919년 10월 대한민국애국부인회(大韓民國愛國婦人會) 회장으로 비밀결사를 이끌던 중 조직이 발각되어 붙잡혔다가 병보석으로 풀려나 입원 치료 중 비밀리에 중국으로 망명하게 된 김마리아(金瑪利亞)가 함께 타고 있었다. 이때 갖은 고문으로 고통이 심했던 김마리아를 곁에서 간호하며 상하이까지 동행하였다. 이후 임시정부와 함께 중국 각지를 옮겨 다니며 임시정부 요인들과 독립운동가들의 끼니와 생활을 챙기면서 광복이 되는 날까지 헌신하였다. 남편과 함께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당원에 이어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으로 있으며, 1940년 6월 17일 충칭(重慶)에서 딸 김효숙·김정숙과 함께 한국독립당 지휘 아래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의 결성에 참여하였다. 1944년 3월경에는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감찰위원으로 활동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노영재(관리번호:431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