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542
성명
한자 金世祚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국장
1932.4 위화도(威化島) 소요사건(騷擾事件)으로 징역1년형을 언도받은 공적과 1943.12 광복군(光復軍) 현지 공작원(現地工作員)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1929년 배경진(裵京鎭) 등과 위화청년단(威化靑年團)을 조직하고 애국지사의 국경왕래를 도와주었으며, 1932년 4월에는 주재소습격사건으로 체포되어 징역 1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43년 12월 북경(北京)에서 배경진(裵京鎭)을 만나 광복군 지하공작원에 임명되어 활동하였으며 그후 광복군 제3지대 공작원으로 북경·천진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동아일보(1932. 4. 30)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세조 - 평안북도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하동주재소 습격사건
본문
1911년 6월 4일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위화면(威化面) 하단리(下端里)에서 태어났다. 성장과정 등은 파악되지 않는다. 1931년 7월 신의주군 위화면에서 배경진(裵京鎭) 등과 위화청년단(威化靑年團)을 결성해 만주의 독립군을 지원하며 독립운동에 나섰다. 1931년 만보산사건으로 한·중 농민의 관계가 악화되자, 이를 이용하여 한국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던 일제 경찰의 계획을 파악하고, 일제 경찰의 주재소를 수차례 습격·방화하였다. ‘북하동 소요사건(北下洞騷擾事件)’이라고 불린 이 주재소 습격사건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었다. 1932년 4월 28일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한일연·백봉명·안동념·주광옥 등 15인과 함께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은 후 출옥하였다. 1943년 12월 중국으로 망명했던 배경진과 만나 광복군 제3지대 공작원으로 베이징(北京)·톈진(天津)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세조(관리번호:354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