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398
성명
한자 李順承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23년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조국광복운동에 참가하고 1939년 6월에는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을 조직하여 여성의 단결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옹호정당인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 가입하여 1945. 8월 광복시까지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경기도 양주(楊州) 사람이다.

1923년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에서 활동하던 조용원(趙鏞元 : 時元)과 결혼하여 그를 내조하면서 독립운동에 참가하였다.

1930년 국내에서 군자금모집을 위하여 활동을 전개하다가 인천(仁川)에서 일경에게 붙잡혀 20일간 구류되었다고 한다.

그후 1940년 6월 17일 중국 중경(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의 조직 결성에 참여하여 한국여성에게 민족혁명정신을 고취하였다.

동년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창립위원이 되었고 이듬해인 1941년에는 한국독립당의 중경강북구당(重慶江北區黨)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고 한다.

1943년 3월 한국애국부인회(韓國愛國婦人會)의 재건에 참여하여 이의 집행위원이 되어 전체부녀자의 각성과 단결을 도모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고 한다.

1944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옹호정당인 한국독립당원으로서 중경지구에서 활동하던 중 1945년 8월 15일 조국의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寫眞(韓國革命女性同盟 創立紀念 全體撮影)
  • 戶籍騰本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3卷 612·613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순승 - 경기 양주(楊州) -
본문
1902년 11월 12일에 태어났다. 지금까지 출신지는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남면(南面) 황방리(篁芳里)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여자가 결혼하면 남편의 본적을 따르도록 되어 있는 호적법상의 주소이다. 따라서 이 출신지는 남편 조시원(趙時元)의 주소지이다. 1920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간 남편을 쫓아 1923년 상하이로 건너갔다. 1930년 국내에 잠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인천(仁川)에서 일제 경찰에게 붙잡혀 20일간 구류되었다. 1940년 6월 17일 중국 충칭(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결성에 참여하였다. 이 단체는 1940년 5월 통합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이 창당되자, 같은 해 6월 방순희(方順熙)·정정화(鄭靖和)·김효숙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 부인들이 주축이 되어 임시정부 외곽단체로 결성되었다. 임시정부 활동을 지원하고, 여성들을 독립운동에 참여시키기 위한 활동에 주력하였다. 1940년 한국독립당 창립위원이 되었고, 1941년 한국독립당 충칭 강북구당(江北區黨)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3년 3월 한국독립당 충칭시 및 시외조직 구역이 다섯 개 구(區)로 정리되면서 유동열(柳東說)·박찬익(朴贊翊)·신환(申桓)·양우조(楊宇朝)·엄항섭(嚴恒燮)·유진동(劉振東)·나태섭(羅泰燮)·고일명(高一鳴)·김응만(金應萬)·송복덕(宋福德)·윤용희(尹龍熙)·최형록(崔亨錄)·민영주(閔泳珠) 등 총 14인과 함께 제5구 소속으로 편제되어 활동하였다. 1943년 1월 한인애국부인회(韓人愛國婦人會) 재건에 참여하여 집행위원이 되었다. 한인애국부인회는 여성 민족운동단체이자 충칭에서 결성된 임시정부 외곽단체로서, 주로 국내외 여성을 상대로 한 각성과 분발 촉구, 중국인과 한인 사병에게 위문품 전달, 중국 포로수용소에 수용 중인 한인 위문, 전쟁피해 한인에 대한 위로와 구제, 한인 자제에 대한 민족교육 실시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한인애국부인회는 1943년 3월 8일 국제부녀절 기념행사를 치렀으며, 위로금 2,000여 원을 전방 장병 위로금으로 기탁하였다. 기관지 『부녀의 앞길』을 발행하였으며, 임시정부의 재정지원 하에 아동국어학습반을 개설하여 아동들에게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순승(관리번호:339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