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
성명
한자 康基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63 훈격 대통령표창
1945. 6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第三支隊)입대(入隊)하고, 국내정진교육훈련반(國內挺進敎育訓練班)편입(編入)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1945년 6월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第三支隊)에 입대하고, 국내정진교육훈련반(國內挺進敎育訓練班)에 편입한 사실이 확인된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강기준 - 평안북도 창성(昌城) -
본문
1921년 3월 17일 평안북도 창성군(昌城郡) 봉천리(峯泉里)에서 태어났다. 1945년 6월,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입대 후 일본군 점령 지역에서 한국인 청년들을 모집하여 광복군 입대를 권유하고, 광복군 대원을 확충하고자 일본군 내 한국인 사병의 탈영을 도모하는 초모 공작을 전개하였다. 당시 광복군 제3지대는 지대장 김학규(金學圭)의 지휘 아래 중국 화북과 화중, 화남 지역에 첩보 조직을 구성하여 일본군의 정보를 수집하고, 연합군과 현지 중국 유격대에 연락하여 일본군에 큰 타격을 주고 있었다. 광복 후 중국 허난성(河南省) 카이펑(開封) 지구 특파단에 선발되어 활동하였다. 당시 제3지대는 교포들이 많이 거주하던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카이펑·지난(濟南)·칭다오(青島)·쉬저우(徐州) 등지에 특파단을 파견하였다. 카이펑 지구 특파단의 단장은 제3지대 제2구대장 박영준(朴英俊)이었으며, 부단장은 제3지대 제2구대 제2분대장 김재기(金在基, 뒤에 제1분대장 김문택으로 교체됨)가 맡았다. 특파단은 교민의 안전과 지역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무사히 귀국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일본군 내의 한인 사병을 인수하여 광복군에 편입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강기준(관리번호: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