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92
성명
한자 權赫武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45. 2월 광복군(光復軍) (弟) 1지대에 입대하여 항일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1944년 8월 일본군 제44부대에 징집되었으나 다음 해 1월에 일군부대를 탈출하여 중국군 제9전구 공작대에 배속되었다. 제9전구내에 있는 한국인 전원이 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로 편성되면서 그도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52·62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권혁무 - 경상북도 예천(醴泉) -
본문
1924년 6월 15일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 용궁면(龍宮面) 향석동(鄕石洞)에서 태어났다. 1944년 8월 일본군 제44부대에 징집되어 중국 전선에 배치되었다. 이듬해 1월 일본군 부대를 탈출하여 중국 후난성(湖南省)에 있는 중국군 제9전구 공작대에 배속되었다.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은 일본군을 탈출하는 한인 사병들이 증가하자 이들을 편성하기 위해 중국군 제9전구사령부에 한인 사병의 교육 및 제9전구를 단위로 하는 광복군 조직 설치를 요청하였다. 이것이 받아들여져 1945년 중국군사위원회의 명령에 따라 제9전구 사령부에 속한 한인들은 한국광복군 제1지대 예하의 제3구대(區隊)로 편성되었다.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에 배속되었고, 가장 먼저 구이동(桂東)에서 편성된 제1분대 대원이 되어 초모 공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상북도 예천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독립운동 기념비 경상북도 예천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권혁무(관리번호:29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