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750
성명
한자 金裕卿
이명 金順哲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40년 청도에서 산동문화협회원(山東文化協會員)으로서 항일선전공작에 활동하고, 1942년에는 청도지방 유격대에서 제12사단 참모로 활약하였으며, 1943년에 남경에서 광복군 초모공작에 활동. 1944년 5월에는 산동지구 유격사령부 제12사단 특무공작과 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 장군 특무공작 특파원 신임장을 받고 대적공작. 1945년에는 광복군 국내정진군 지휘부 청도연락참, 임정국내공작 위원회 제30분회 설치 청도 변사심부주임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남 안주(安州) 사람이다.

중국 중앙대학 문학원에 재학 중 항일운동을 하였으며, 제3전구로 탈출하여 중국 충의구국군 및 광복군 제2지대 요원으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28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445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85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유경 김순철(金順哲) 평안남도 안주(安州) -
본문
1923년 1월 14일 평안남도 안주군(安州郡) 안주면(安州面)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순철(金順哲)이다. 유년시절의 활동과 중국으로 건너가게 된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난징(南京)의 중앙대학(中央大學) 문학원에 재학 중 배일(排日)사상을 고취하는 문예활동을 전개하였다.1943년 중국 난징에는 충칭(重慶)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특파공작원인 김병호(金炳豪, 이명 (金仲民))가 파견되어 중앙대학에 재학 중인 송지영(宋志英)·이일범(李一凡)·조일문(趙一文)·박철원(朴哲遠) 등 한인 학생들과 연결되었다. 이때 한인학생들은 중국정부 특파원인 링즈난(凌志男) 상교(上校)와 연계하여 한족동맹(韓族同盟)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있었다.이들은 모집한 한인청년들을 충칭(重慶)과 시안(西安) 등 중국 제3전구 지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중국 제3전구는 장쑤성(江蘇省) 남부, 안후이성(安徽省) 남부, 장시성(江西省) 동부, 저장성(浙江省), 푸젠성(福建省) 등을 관할하는 전구로 사령관은 구주통(顧祝同)이었다. 이곳에는 광복군 징모처 제3분처가 파견되어 있었다.1944년 임시정부 특파공작원 김병호가 상하이 일본총영사관 한인 밀정의 밀고로 붙잡히면서 중앙대학 한인 학생들은 물론 화중지역 일원에서 검거 선풍이 일어났다. 이때 김병호를 비롯하여 송지영·김덕원(金德元)·이일범·조일문·이정선(李正善) 등 수십 명이 붙잡혔다. 이들의 대다수는 징역형을 받고 일본 나가사키(長崎)형무소로 이감되었으며, 나머지는 퇴거처분 또는 기소유예 등으로 방면되었다. 일부는 시안을 경유하여 충칭으로, 일부는 제3전구 지역으로 피신하였다. 이때 제3전구 지역으로 탈출하여 마즈차오(馬志超)가 지휘하는 유격부대인 충의구국군(忠義救國軍)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시안에 주둔한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합류하여 활동을 전개하였다. 제2지대장 이범석(李範奭)의 지휘 아래 특파공작원으로 대적(對敵) 특무공작을 수행하였다.광복 후 귀국하여 1979년 5월 13일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유경(관리번호:275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