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84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獨孤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가족관계창설일 2022-07-27 도움말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61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독고준 - 평북 의주(義州) -
본문
평안북도 의주(義州) 출신이다. 자료의 한계로 출생일자와 성장 과정, 한국광복군 입대 이전의 행적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1945년 8월 광복까지 활동하다가 돌아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944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 대리 김학규(金學奎)가 지대장으로 활약하면서 안휘성(安徽省) 부양(阜陽)을 비롯한 회양(淮陽)·제남(濟南)·청도(靑島)·서주(徐州)·귀덕(歸德)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는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거나 학도지원병으로 입대한 후 중국 일본군 진영에서 탈출한 한인들이 각 지역에 구축된 공작 거점을 통해 모였다. 이때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약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독고준(관리번호:184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