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619면
| 운동계열 | 광복군 | 포상년도 | 1990 | 훈격 | 애족장 |
|---|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 순번 | 성명 | 이명 | 출신지 | 관련사건 | |
|---|---|---|---|---|---|
| 1 | 독고준 | - | 평북 의주(義州) | - | |
| 본문 |
평안북도 의주(義州) 출신이다. 자료의 한계로 출생일자와 성장 과정, 한국광복군 입대 이전의 행적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1945년 8월 광복까지 활동하다가 돌아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944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 대리 김학규(金學奎)가 지대장으로 활약하면서 안휘성(安徽省) 부양(阜陽)을 비롯한 회양(淮陽)·제남(濟南)·청도(靑島)·서주(徐州)·귀덕(歸德)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는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거나 학도지원병으로 입대한 후 중국 일본군 진영에서 탈출한 한인들이 각 지역에 구축된 공작 거점을 통해 모였다. 이때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여 활약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