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조서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18
성명
한자 金九
이명 金龜, 金昌洙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62 훈격 대한민국장

관련정보


2019년 08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95년 08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8(歲)동학당(東學黨)에 가입하여 해주 동학군(海州東學軍)의 선봉이 되었으니 당시 이름은 김창수(金昌洙)였음
2. 해주(海州) 죽산장(竹山場)에서 총군(銃軍) 7백명(百名)을 거느리고 해주(海州)를 습격하려다 실패함.
3. 1896년 2월에 안악 치하포여점(安岳鴟河浦旅店)에서 왜 육군중위(倭陸軍中尉) 토전양량(土田讓亮)을 참살, 동년 5월에 피체되어 인천감리영(仁川監理塋)에서 사형선고(死刑宣告)를 받은 후 집행일인 8월 26일 특명으로 사형집행이 중지됨.
4. 1898년 3월 탈옥하여 삼남 각지(三南各地)를 방랑하여 공주 마곡사(公州麻谷寺)에서 중이 되었다가 익년 귀향 하속 하였음.
5. 그 후 고향에서, 교육에 종사하다가 1909년 11월 이등저격사건(伊藤狙擊事件)의 혐의로 해주(海州)에 투옥됨.
6. 1910년 서울 양기탁가(梁起鐸家)에서 신민회 중요간부회의(新民會重要幹部會議)를 개최하여 남만(南滿)무관학교설립(武官學校設立)을 의결하고 기금을 모집하다가 안명근사건(安明根事件)으로 피검되어 17년 선고를 받고 복역하다가 1915년 7월에 출옥함.
7. 3.1 운동(運動)상해(上海)로 탈출하여 임정경무국장(臨政警務局長)취임(就任)하고 1923년 임정내무총장(臨政內務總長) 1927년에 국무령(國務領)취임(就任)함.
8. 1932년 1월 이봉창(李奉昌)을 시켜 왜황(倭皇)저격(狙擊)케하고 동년 4월 윤봉길(尹奉吉)을 시켜 상해(上海)에서 왜장(倭將) 백천의칙(白川義則) 등에 폭탄을 투척토록 함.
9. 장개석(蔣介石)과 만나 중국군관학교(中國軍官學校)한인무관양성(韓人武官養成)특설반(特設班)을 설치할 것을 약속하고 사관 백명을 양성함
10. 1940년 중경(重慶)에서 임정 주석(臨政主席)에 취임후 서안(西安)광복군(光復軍)설치(設置)하고 훈육(訓育)시켰으며 입국 항전(入國抗戰)을 계획중 1945년 11월 15일에 귀국하였음
11. 1948년 6월 26일 서울 경교장(京橋莊)에서 안두희(安斗熙)에게 피살되었음 향년 73(歲)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황해도 해주(海州) 백운방(白雲坊) 기동(基洞)에서 김순영(金淳永)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1893년 정초에 동학교도 오응선(吳膺善)을 찾아가 종지(宗旨)를 듣고 동학(東學)에 입도한 후 이름을 창수(昌洙)라 개명하였다. 같은 해 말에 황해도 도유사(都有司)의 한 사람으로 뽑혀 충북 보은(報恩)에서 최시형(崔時亨)을 만났다.

1894년 4월 초에는 팔봉 접주(八峰接主)로 임명되었으며 9월에는 동학군의 선봉장이 되어 해주성(海州城)을 공략하여 탐관오리들을 추방하려고 했으나 불행히 관군에게 패하고 말았다. 동학의 기강이 점점 무너져 규율을 잃고 백성의 원망을 사게 되자 백범은 연소한 몸으로 이를 수습하기 어려움을 깨닫고 신천군(信川郡)에 사는 안태훈(安泰勳 진사(進士)를 찾아가 몸을 의탁하였다. 당시 그의 아들인 안중근(安重根) 의사(義士)는 16세로 그의 부친을 따라 정병을 이끌고 동학군 토벌에 전념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 곳에서 당시에 명망이 높은 해서 거유(海西巨儒) 고능선(高能善)을 만나 그의 지도를 받았다.

1895년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듬해 2월에 안악군(安岳郡) 치하포에서 우연히 편의(便衣)를 입은 일본군 한 사람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 자는 토전양량(土田讓亮)이라는 일본군 중위였다. 백범은 그 자를 발견하자 격분을 참을 길이 없어 그 자리에서 그 자가 차고 있던 칼을 빼앗아 그를 찔러 죽이고, "국모(國母)의 원수를 갚으려고 이 왜놈을 죽였노라"는 포고문을 길거리 장벽(墻壁) 위에 대서특필하고 자기 성명과 주소까지 명백히 기입해 놓은 뒤 유유히 그 곳을 떠났다. 그 뒤 5월 11일 집에서 체포되어 해주옥에 구금되었으며 7월 초 인천감리영으로 이감되었다. 그리하여 1897년 7월에 사형이 확정되었고, 다음 달 광무황제(光武皇帝)의 특명으로 사형 직전에 집행정지령이 내려짐에 따라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

1898년 3월 9일에 탈옥하여 전국을 방랑하다가 늦가을에 공주 마곡사(公州 麻谷寺)에 들어가 삭발하고 중이 되었으며 법명은 원종(圓宗)이라 하였다.

1899년 늦가을에 환속하여 고향에 돌아온 뒤 이름을 김두래(金斗來)로 고치고 다시 방랑길에 올랐다. 그 뒤 무주 유인무(柳仁茂)의 집에 머무르면서 이름을 구(龜), 자를 연상(連上), 호를 연하(連下)로 고쳤다.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강제로 체결되자 이준(李儁)·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구국운동에 앞장섰다. 그 이듬해에 해서교육회(海西敎育會) 총감(總監)이 되어 학교 설립을 적극 추진하였으며 황해도 서명의숙(西明義塾)에서 교원생활을 하였다.

1908년 독립지사들의 비밀 결사 조직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맹렬한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 10월에 송화군(松禾郡)으로 강연을 나갔다가, 때마침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이등박문(伊藤博文)을 살해하고 난 직후였으므로 공모의 혐의를 받아 다시 투옥되어 몇 달 후 해주(海州) 지방법원으로 이송되었다. 그러나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 석방되었다.

1910년 국권이 침탈되자, 신민회 간부들과 함께 양기탁(梁起鐸)의 집에 모여 비밀 결사 회의를 갖고 이동녕(李東寧)·안창호(安昌浩)·이시영(李始榮)·안태국(安泰國) 등 여러 애국 영수들과 대계를 공모, 이동녕을 비롯하여 이시영 일가는 중국 남만주(南滿洲)에 가서 독립을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하기로 하고 양기탁, 백범은 기부금 모집의 책임을 맡아 동분서주하였다.

1911년 일본 경찰은 소위 보안법을 적용하여 신민회원들을 일망타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백범도 2년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 안명근(安明根)의 "사내총독(寺內總督) 암살사건"의 계획이 탄로되자 이 사건에도 관련되었다고 하여 15년형을 선고, 17년형의 징역을 선고하였다. 그 후 일제의 명치(明治) 천황 부처가 연달아 죽게 되자 두 번이나 감형되고 그 후 다시 몇 번의 경전(慶典)으로 감형되어 5년 후인 1915년에 출옥하게 되었다.

1919년 3.1 만세 시위 사건에 가담한 뒤,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이동녕을 만나 임시정부의 경무국장에 취임하였다.

1924년 4월 9일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대리로 임명되었으며 1926년 12월에는 임시정부의 원수(元首) 국무령(國務領)에 취임하였다.

1927년에는 헌법을 개정하여 임시정부를 위원제로 고치고 국무위원에 취임하여 조국 광복을 위해 동분서주하였다. 그러나 이때부터 임시정부는 일본의 극심한 탄압과 젊은 층들의 맹목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에의 심취와 자금난으로 그 기강이 차츰 흔들리기 시작하여 피치 못할 시련을 겪게 되었다.

1928년에 이동녕·이시영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조직하여 민족 진영의 단합을 꾀하였다.

1930년 국무령(國務領)에 재선되었으며, 1931년에는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을 조직하고 그 단장에 취임하였다. 한인애국단은 무력적인 행동이 없이는 한국 민족의 광복을 달성할 수 없으며 최소의 역량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는 수단과 방법이 아니고는 한국민족이 영원히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탄압에 항거하는 백성이라는 사실을 세상에 호소할 길이 없다는 불굴의 신념 하에 조직되었다. 그리하여 1932년 1월에 한국애국단에 가입한 이봉창(李奉昌)을 동경(東京)으로 파견하여 일본 왕를 저격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이봉창은 10월 10일 일제의 단두대에 피를 뿌리고 순국하였다. 그 뒤 4월 29일 윤봉길(尹奉吉)로 하여금 상해 홍구공원(虹口公園)에서 일본 왕의 생일을 경축하기 위한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지게 함으로써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윤봉길 의거 후 신변이 위험해지자 임정요인들과 함께 강소성(江蘇省) 가흥(嘉興)으로 피신하여 지냈다.

1933년 5월에는 중국의 장개석(蔣介石) 총통(總統)을 만나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를 광복군 무관양성소로 할 것을 결정한 뒤, 조국의 독립을 위한 독립지사들의 군사교육을 시켰다.

1935년 11월 가흥(嘉興)에서 임시의정원 비상회의를 열어 기구를 강화한 뒤 국무위원으로 재선하였으며 이동녕·조경한(趙擎韓)·차이석(車利錫) 등과 함께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창당하였고, 임시정부는 진강(鎭江)으로 옮기게 되었다.

1938년에는 민족주의 삼당(三黨) 통합문제를 논의하던 남목청(南木廳)에서 조선혁명당원 이운한(李雲漢)의 총격을 받아 1개월 동안 입원, 가료하였으며 중일 전쟁 발발로 임정을 진강(鎭江)에서 장사(長沙)로, 다시 광동(廣東)으로, 또다시 유주(柳州)로 옮겨 다녔다.

1939년 다시 장사(長沙)로 옮겼으나 이곳이 위험해지자 광주(廣州)로 갔다가 장개석 총통의 도움으로 중경(重慶)으로 옮긴 뒤 임시정부 주석(主席)의 자리에 취임하였다.

1940년에는 중경에서 광복군 총사령부의 성립식을 거행하였으며, 임시정부는 기강으로 옮긴 뒤, 5월 전당대회를 개최, 각 단체를 통합하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고 그 집행위원장에 취임하였다. 또한 군사특파단(軍事特派團)을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에 상주케 하여 무장부대 편성에 주력하였다. 같은 해 9월에 임시정부를 기강에서 다시 중경으로 옮긴 뒤, 임시정부의 임시약헌 개정과 더불어 국무위원회 주석으로 선출되었다.

1942년에는 임시정부와 중국정부 사이에 광복군에 대한 정식협정이 체결, 공포됨에 따라 대일항전에 진력을 다하였으며 연합군과 함께 중국 각지에서 많은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정치적 기반을 만들어 주었다.

1944년 4월에는 개정된 헌법에 따라 다시 주석(主席)으로 임명되었으며, 섬서성 서안(陝西省西安)과 안휘성(安徽省) 부양(阜陽)에 광복군 특별훈련단을 설치하고 미국의 원조로써 본토 상륙을 위한 군사기술 훈련(oss훈련)을 적극 추진, 지휘하였으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1945년 11월 23일 임시정부 국무위원 일동과 함께 환국하여 모스크바 삼상회의(三相會議)에서 결의된 신탁통치에 대한 반탁 국민운동을 적극 추진하였으며, 1946년 2월 비상국민회의가 조직되자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1947년 1월 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가 국민의회로 개편되어 부주석(副主席)에 취임하였으며 5월 제2차 미소공위(美蘇共委)가 열리자 반탁 투쟁위원회의 활동을 이승만(李承晩)과 함께 추진하였으며, 11월에는 유엔 감시 하의 남북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 결의안을 지지하였다.

1948년 4월 19일에는 남북 협상차 평양에 갔다 왔다. 1949년 6월 26일 경교장(京橋莊)에서 하수인 안두희(安斗熙)의 흉탄에 맞아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최고 명예훈장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2·44·127·138·162·219·221·223·226·231·237·239~243·245·249·254·259·261·262·269·270·272·280·285·288·289·305··313·373·386·398·538·542·572·573·597·619·621·622·624·629·630·633~636·638·639·646·648·649·650·683·684·689·705·706·726·733·750·752·754·755·757·758·759·761·767·772·784~787·794~795·798·804·818·833·839·842~848·85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213·294·338·360·36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737면
  • 조선민족운동연감 5·6·8·9·36·53·60·65·94·121·167·170·171·172·180·184·188·189·197·207·211·249·252·272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1·78·80·84·278·468·469·483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27·36·143·150·152·303·319·325·330·343·379·451·456·495·518·535·539·573·597·628·645·652·656·657·667·668·676·689·697·712·720·728·732·742·751·759·760·763·766·821·826·827·828·836·839·869·874·876·88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14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8권 270·271·336·533·556·747·785·117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1권 97·100·102·126~130·157·545~551·823~83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2권 22·32·40·50~51·55·78·82~83·96·130·137·139·152~153·166·170·190·199·211·218·233·235·240·246·248~249·254·391~393·396·401·491·494~495·497~500·502·522~523·534~535·538~540면
  • 국외용의조선인명부(총독부경무국) 9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61·100·112·162·243·300~301·405·460·474·845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5권 16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72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48·6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0권 406·653·655~656·658·664~66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2권 121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101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4권 764·80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1권 20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3권 287·293·503·519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 245면
  • 사상정세시찰보고집(기2) 442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74·210·216·229·244·303·343·347·348·349·353·354·360·361·363·366·369·370·371·373·375·376·416·425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92면
  • 고등경찰요사 88·90·91·95·105·254면
  • 조선통치사료(한국사료연구소) 451~513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7·74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14·25·34·47·94·190·191·192면
  • 기려수필 236·239·246·344면
  • 벽옹김창숙일대기 162·19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5·437·439·448·478·480·484·493·494·498~508·510·512·517·518·521·522·523·527~534·538·539·545~562·566·569·570·579·580·582~589·593~600·603·606·608·610~615·621·627~630·634~637·640~649·655~659·662·663·664·667~675·679·683·689~693·696~700·704~710·712·715·724·735·737·738~741·743·745·748·941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3권 505·692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453·644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8권 522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권 45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구 자: 연상(蓮上), 호: 연하(蓮下), 백범(白凡), 초명: 창암(昌巖), 후에 창수(昌洙), 이명: 두래(斗來), 구(龜) 황해 해주(海州) -
본문
1876년 8월 29일 황해도 해주군(海州郡) 백운방(白雲坊) 텃골(基洞)에서 아버지 김순영(金淳永)과 어머니 곽낙원(郭樂園)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연상(蓮上), 초호는 연하(蓮下), 활동기 이후의 호는 백범(白凡)이다. 아명은 창암(昌巖)이었다가 동학 입도 후에 창수(昌洙), 그 후 구(龜, 九)로 개명하였다. 불교 입교 시기 법명은 원종(圓宗)이었다가, 환속 후 유랑기에는 잠시 김두래(金斗來)라는 이름을 썼다. 어려서부터 의협심이 강하고 공부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일급 서당에 가지 못하였다. 9세부터 서당 공부를 시작하여 아버지의 열성으로 집안에 차린 서당과 이웃 동네 서당에서 항상 일등을 차지하였다. 14세에 평민 출신인 훈장 정문재(鄭文哉)의 서당에서 대고풍십팔구(大古風十八句)·한당시(漢唐詩)·대학(大學)·자치통감(資治通鑑)을 비롯하여 과거 초시시험 공부를 하였다. 17세인 1892년 해주에서 경과(慶科)의 초시(初試)가 해주에서 열리자, 정훈장의 권고로 과거시험을 보러 해주 관풍각(觀風閣)에 갔으나, 온통 부정투성이인 시험의 실상을 확인하고는 과거시험 공부를 그만두었다. 어려서부터 반상의 차별을 한탄하다가, 1893년 동학에 입도하였다. 입도 수개월 만에 그를 따르는 연비(蓮臂, 신도)가 수백 명에 이르렀다. 팔봉(八峯) 접주(接主)에 임명되었는데, 황해도·평안도 동학당 중에서 가장 어린 접주로 가장 많은 연비를 이끌었다고 하여 ‘아기 접주’라는 별명이 붙었다. 1894년 19세의 나이로 동학농민운동 제2차 봉기에 황해도 동학군 선봉장에 임명되었다. 700명의 총군(銃軍)을 거느리고 수천 명의 황해도 동학군과 함께 해주성을 공격하였다. 그가 담당한 서문 공격은 계획대로 되었으나, 본대는 남문에서 패전하였다. 그 후 동학군 토벌을 위해 기병한 진사 안태훈(安泰勳, 안중근의 부친) 과 만나 교전하지 않기로 밀약하고 구월산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다가 이동엽(李東燁) 부대의 습격을 받아 해산한 다음, 신천 청계동에 있는 안태훈의 집에 은신하였다. 안태훈의 집에서는 유학자 고능선(高能善)의 강의와 훈도를 받으며 유학을 공부하였다 1895년 (음)8월 일본 공사관의 일본군 및 일본 낭인배들이 궁궐을 야습하여 명성황후 시해 만행을 자행하자, 그해에 국모 시해의 원수를 갚고 일본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만주 삼도구(三道溝)로 건너가 김이언(金利彦) 의병부대에 참가하였다. 김이언 의병부대는 강계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였으나 화력에 눌려 패전하였다. 1896년 2월 안악으로 돌아오다가, 치하포(鴟河浦)의 객줏집에서 상인으로 변복하고 밀정 활동을 하던 일본군 특무장교 중위 쓰치다(土田讓亮)를 발견하고는 국모의 원수 갚는 일의 하나로 그를 처단하였다. 쓰치다 처단으로 투옥되어 판결을 기다리는 동안 옥중에서 『태서신사(泰西新史)』, 『세계지지(世界地誌)』 등을 읽고 차츰 개화 의식을 갖게 되었다. 1897년 7월 사형 언도를 받았으나 한 달 후 “김창수는 강도가 아니라 국모의 원수를 갚은 사람이므로 특사한다”라는 고종황제의 특명이 내렸다. 그러나 일본 공사 하야시(林權助)의 압력으로 출옥하지 못하게 되자 1898년 3월 탈옥하여 계룡산 갑사를 거쳐 공주 마곡사로 들어가 노승 하은당(荷隱堂)의 제자가 되어, 원종(圓宗)이라는 법명으로 승려 생활을 하였다. 25세인 1900년 환속하여 강화도로 들어가서 신교육 운동을 시작하였는데, 이 무렵 이름을 김구(金龜)로 고쳤다. 1903년에는 황해도 장연읍에 봉양학교(鳳陽學校)를 설립하였고, 이해 기독교에 입교하여 진남포 예수교회 에벗(Evert)청년회 총무로 일하였다. 에벗청년회 총무로 서울 상동교회에서 열린 전국대회에 참석하였다가, 1905년 11월 18일 을사늑약 체결 사실을 알았다. 그리하여 전덕기(全德基)·이준(李儁)·이동녕(李東寧)·최재학(崔在學)·조성환(曺成煥)·김병헌(金炳憲, 후에 별명 王三德) 등과 함께 을사늑약 무효화 상소 운동 및 가두 연설을 전개하였다. 1906년 해서교육총회(海西敎育總會) 총감이 되어 황해도에서 신교육 구국운동·애국계몽운동을 벌였다. 1907년 초 동지들과 함께 안악에 양산학교(陽山學校)를 설립하였다. 1907년 국권 회복을 위한 비밀결사 신민회가 창립되자 황해도 총감(總監)으로 활동하였다. 신민회는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군주제를 폐지하고 ‘민주공화제’의 민주국가 건설을 공식 목표로 설정한 국권 회복 운동 단체였다. 그는 서명의숙과 양산학교의 교원, 해서 교육총회의 총감, 재령 보강학교 교장 등으로 활동하며, 황해도 지방의 애국계몽운동과 신민회 활동을 총지도하였다. 1910년 3월 신민회는 비밀리에 열린 전국간부회의에서 독립 전쟁 전략을 채택하고, 만주에 무관학교 설립과 독립군 장교 양성을 위한 독립군 기지 건설을 결정하였다. 황해도 총감으로 이 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와서 군자금과 애국 청년 모집 그리고 만주에 독립군 기지 창건 사업을 벌이던 중, 1911년 1월의 ‘안명근 사건’으로 신민회 황해도 지회 회원 160여 명과 함께 일제에 체포되었다. 가혹한 고문을 당하고 15년 형을 선고받은데 이어, 1911년 9월 일제가 조작한 이른바 ‘데라우치 총독 암살음모사건(105인사건, 신민회사건)’으로 2년 형이 추가되었다. 감옥에서 김구의 ‘구(龜)’자를 ‘구(九)’자로 바꾸고, 호를 평민이라는 뜻으로 백정(白丁)의 ‘백’과 범부(凡夫)의 ‘범’을 따서 백범(白凡)이라고 지었다. 1914년 7월에 형기 2년을 남기고 가출옥되어 주거 제한의 요시찰을 받으면서, 친구 농장에서 농감으로 농민들을 지도 계몽 하다가 1919년 3·1운동을 맞았다. 3·1운동 후 일제의 감시망을 뚫고 상하이(上海)로 탈출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하여 경무국장에 임명되었다. 1922년 상하이에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를 창립하여 이사장을 맡았다. 한국노병회는 국내외에서 지원자를 모집하여 임금을 모아 10년 안에 1만 명의 독립군 예비병과 100만 원 군자금을 준비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1923년에는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1926년에는 내각수반인 국무령에 선임되었다. 1928년 3월부터 독립운동 전선에서 전사하기로 맹세하고, 두 아들에게 남기는 유서로 『백범일지』 집필을 시작하였다. 1929년에는 재중국 거류민단 단장을 겸임하였다. 1930년 상하이에서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 등과 상하이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립하였다. 1931년 7월 일제는 만주에서 ‘만보산사건’을 조작하여 한·중 양민족을 이간시킨 다음, 1931년 9월 18일 만주 침략을 자행하였고, 1932년 1월 28일에는 상하이 침략을 시작하였다. 정규군 30만 명을 투입한 중국 측은 1개월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패전하였다.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던 임시정부도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난국을 타개하기 위하여 임시정부의 승인과 위임하에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을 조직하였다. 1932년 1월 18일 단원 이봉창(李奉昌)을 도쿄(東京)에 파견하여 일왕에게 투탄케 하였다. 폭탄은 명중하지 않았지만, 한인 독립운동가가 일본의 심장에까지 파고들어 일왕을 공격하자 일제의 간담이 서늘해졌다. 이어서 1932년 4월 29일 한인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이 상하이 훙커우공원(虹口公園)에서 열린 천장절(天長節) 겸 상하이 점령 전승 경축식에 참석한 일본군 수뇌들에게 투탄하였다. 상하이 점령 일본군 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대장을 비롯해서 군정 수뇌 일곱 명을 섬멸하였다. 전 세계가 한국 독립운동의 완강한 투지에 놀랐다. 중국 측은 30만 명의 중국군도 해내지 못한 일을 한국인 독립운동가 한 사람이 해냈다고 환호하고 경탄하면서 지원을 본격화하였다. 장제스(蔣介石) 위원장은 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 안에 한국인 장교 양성반의 특설을 허가하여, 한국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독립군 장교 훈련이 시작되었다.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산하에도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가 설립되어 한국인 장교 양성이 시작되었다. 후일 전자는 광복군의 기간 세력, 후자는 조선의용대의 기간 세력이 되었다. 한인애국단 활동이 성공한 후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에서 확고한 지도력을 확립하였다. 60세인 1935년 임시정부의 지지 정당으로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창당하고 이사장이 되었다.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임시정부는 장쑤성(江蘇省) 전장(鎭江)에서 창사(長沙), 광저우(廣州), 류저우(柳州), 치장(綦江)을 거쳐 1939년에 충칭(重慶)으로 이동하였다. 임시정부가 충칭에 정착한 후, 1940년 4월 1일 한국국민당·조소앙(趙素昻)의 한국독립당, 지청천(池靑天)의 조선혁명당을 통합해서 임시정부 여당으로서 새로운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고 집행위원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임시정부의 주석으로서 일제 말기 독립운동을 지휘하였다. 1940년 9월 17일 임시정부의 독립군인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을 창설하고, 총사령관에 지청천, 참모장에 이범석(李範奭)을 임명하였다. 한국광복군이 창건됨으로써 임시정부는 군사력뿐 아니라 외교력이 크게 강화되었다. 1941년 12월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건국 강령(大韓民國建國綱領)」을 발표하였다. 건국 강령은 조소앙의 삼균주의(三均主義)를 채용한 것으로써, 정치와 교육의 균등은 자유민주주의에 의거하고, 경제의 균등은 사회민주주의적 요소가 가미된 것이었다. 1941년 12월 8일 일제가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하여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자, 이튿날 임시정부는 즉각 「대일 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를 공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의 확전에 대응하여, 임시정부와 광복군이 연합국의 일원으로 항일전에 적극적으로 참가해서 국제적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조처였다. 일제 패망과 조국 광복을 내다보고 적극적으로 군사 통일을 추진하여, 1942년 4월 국무회의에서는 광복군과 조선의용대의 합병안을 의결하였고, 7월에는 조선의용대를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시키고 김원봉을 광복군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에 임명하였다. 종래의 광복군 제1·2·5지대는 제2지대로 통합 개편하여, 이범석을 지대장에 임명하였다. 이어서 김학규(金學奎)를 제3지대장에 임명하여 한국인 학병 탈출자들을 대상으로 징집 활동을 강화하였다. 1942년 10월 개최한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는 조선혁명당 출신 좌파 의원들이 참여하여 독립운동 세력이 통일을 이루었다. 임시의정원은 한국독립당이 여당이 되고 조선민족혁명당 등이 야당 역할을 한 전 민족적 통일의회가 되었다. 한편, 중국 국민당 장제스 위원장을 상대로 한국 독립의 국제적 보장을 요구하는 활발한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3년 7월 26일 장제스는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을 초청하여 한국 독립의 국제적 보장을 위해 힘쓸 것을 약속하였고, 1943년 12월 1일 장제스가 참석한 연합국 수뇌의 카이로선언에서는 ‘한국의 독립’이 선언되었다. 1944년 4월 헌법을 개정하여 부주석제를 신설하고 국무위원 수를 증원하였는데, 주석에 선출되었다. 부주석은 민족혁명당 대표 김규식이 선출되었다. 한국독립당의 이시영·조성환·황학수·조완구·차리석·박찬익·조소앙·김붕준·안훈(조경한) 등 9명, 조선민족혁명당의 장건상·성주식·김원봉 등 3명, 조선민족해방동맹의 김성숙 및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의 유림을 국무위원으로 입각시켰다. 이로써 조국의 해방을 앞두고 정부의 통일도 실현되었다. 이와 함께 광복군과 연합군의 합동 작전을 추진하여 광복군을 중국 최전선 전지공작(戰地工作)에 투입하였다. 1943년 6월 광복군 사령관 지청천과 영국군 동남아사령부 대표 콜린 매켄지가 군사협정을 체결하고, 광복군 1개 대를 인도·버마 전선에 파견하여 심리전에 종사케 하였다. 또한, 1944년 5월 광복군은 주중국 미 공군 사령관 웨드마이어(Wedemeyer, A. C.)의 원조를 얻어 미국 전략정보처OSS와 합동으로 광복군의 국내 진입 작전을 위한 훈련을 시작하였다. 광복군 제2지대는 지대장 이범석과 OSS의 사전트 소령이 산시성(陝西省) 시안(西安)에서 합작하였고, 제3지대는 지대장 김학규와 OSS의 윔스가 안훼이성(安徽省) 푸양(阜陽)에서 국내 진입 작전을 위한 비밀 훈련을 하였다. 1945년 8월 시안으로 날아가 광복군의 국내 진입 훈련을 시찰하던 중 일제가 항복하였다는 보고를 받았다. 원자폭탄 투하로 일제가 무조건 항복한 것이다. 통일 임시정부를 이끌고 환국할 준비를 하였으나,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획정하여 남과 북에 주둔하였으며, 임시정부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고 개인 자격의 입국만을 허용하였다. 70세인 1945년 11월 23일 부주석 김규식·이시영 등 국무위원과 함께 개인 자격으로 조국에 돌아왔다. 환국 다음 날인 11월 24일 아침 8시에 “전국 동포가 하나가 되어 우리의 국가 독립의 시간을 최소한도로 단축시키자”라는 귀국 방송을 하였다.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임시정부 환영대회에서 전 국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환국 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통치권을 행사하는 한편, ‘한국독립당’을 기반으로 임시정부의 지도력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1945년 12월 27일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5년간의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즉각 거족적인 반탁(反託)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미 1943년 11월 27일 미국·영국·중국 등 연합국 3수뇌의 카이로회담 직후 미국 수뇌부에서 한국의 신탁통치 문제를 제기하였을 때, 미국에 강력한 항의를 전한 바 있었다. 또 광복 후에 연합국이 한국의 즉각 독립을 방해하여 ‘신탁통치’를 실시하면 ‘독립운동’을 다시 시작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었다. 당시 반탁운동은 독립운동의 연장이었다. 1946년 2월 1일 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를 결성하고, 2월 14일에는 민주의원(民主議院)을 조직한 후 총리에 취임하였다. 1947년 3월 통일된 대한민국 건국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를 개설하였다. 1947년 3월 비상국민회의가 국민의회(國民議會)로 개편되자 부주석에 취임하였으며, 11월에는 유엔총회의 유엔 감시하의 남북한 총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1948년 3월 유엔 소총회가 ‘가능한 지역에 국한한 선거 실시’를 결정하자, 이것이 단독 정부 수립에 의해 남북 분단을 고착시키며, 남과 북에 각각의 단독 정부 수립은 동족상잔의 내전(內戰)을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하며 반대하였다. 남북 협상으로 북쪽을 설득하여, 처음부터 통일 대한민국을 건설하자고 주장하였다.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泣告)함」이란 글에서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에 구차한 안일을 위하여 단독 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라고 밝혔다. 1948년 2월 조국의 분단과 내전을 막고 평화적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 남북 협상을 제의하였으며, 1948년 4월 19일 김규식·조소앙과 함께 평양으로 가서 「4김 회담」과 「남북정당사회단체협의회」에 참석하여 남북협상을 마친 뒤, 5월 5일 서울로 돌아왔다.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9일 김일성의 북한 정권이 수립되자, 정계에서 은퇴하여 경교장에서 고전을 읽으며 칩거하였다. 1949년 6월 26일, 친일파 잔당들과 일부 권력 추구배들이 고용한 안두희(安斗熙)라는 하수인에게 암살당하였다. 일제가 일찍이 방대한 일제 군경 조직을 동원하여 60만 엔의 현상금을 걸고 집요하게 추격하였지만, 위해를 가하지 못했던 독립운동의 최고지도자를 해방된 조국 땅 수도 서울에서 친일파 잔당들이 백주에 시해한 것이다. 유해는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5년 경성지방재판소 1911-07-22 국가기록원
2 판결문 강도미수, 보안법위반 징역 15년(원판결 취소) 경성공소원 1911-09-04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합동묘역 효창공원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동상 백범 김구선생 상 인천광역시 부평구
2 사당 백범 김구 은거 기념관 전라남도 보성군
3 장소 백범광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4 기념관 광주백범기념관 광주광역시 동구
5 비석 황극단 전라북도 전주시
6 동상 백범 김구선생 동상 서울특별시 중구
7 기념관 백범 김구 기념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8 비석 김구선생 은거 추모비 전라남도 보성군
9 사당 의열사 서울특별시 용산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구(관리번호:318)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