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조서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991
성명
한자 閔泳煥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년도 1962 훈격 대한민국장

관련정보


2001년 1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 1896년 3월 군부대신(軍部大臣)으로 노국(露國) "니코라이" 2세의 대관식에 특파되었으며 그뒤 (英), (獨), (佛), (伊), (澳) 등 각국의 특명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를 역임, 의정부 참정대신(義政府參政大臣)으로 있을때 국운 만회(國運挽回)를 위하여 독립협회(獨立協會)를 협조한 혐의로 파면당하였음.
2. 1905년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이 체결되자 당시의 시종무장관(侍從武長官)으로 원임의정대신(原任議政大臣) 조병세(趙秉世)와 5조약의 폐기(廢棄)누차 연명상소(累次連名上疏)하였으나 5(敵)들의 탄핵(彈劾)으로 평리원(平理院)대죄(待罪)하다가 석방하게 되어 귀가 하는 길에 전일 부하(前日部下) 이든 이완식(李完植)의 집에 들어가 동포(同胞)각국공사(各國公使)들에게 영결(永訣)하는 유서를 남기고 칼로 목을 찔러 자살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권(1986년 발간)

서울 견지동(堅志洞)에서 태어났다. 1878년에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순조롭게 역임하였으며,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명성황후의 친족이었다. 부친은 민겸호(閔謙鎬)로서 임오군란 때 피살되었으나, 민영환은 온순하고 청렴하였으며 애국심이 매우 강하였다.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는 동안에 개화사상을 갖게 되어 개화정책을 지지하였다. 갑오경장 추진내각이 수립되었을 때에는 1895년에 주미전권공사(駐美全權公使)로 임명되었으나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시해되자 부임하지 못하고 사직했다. 1896년 2월의 아관파천 후, 3월에 특명전권공사가 되어 러시아의 수도 페테르부르그에 가서 제정러시아 최후의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그 해 10월에 귀국하여 의정부찬정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897년에는 다시 영국 독일 러시아 이태리 프랑스 오스트리아의 특명전권공사가 되어 재차 유럽 여러 나라들을 순방했으며, 이 때 특명전권공사를 겸하여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60년 다이아몬드 축하식에도 한국사절로 참석하였다. 두 차례에 걸친 세계 여행에서 각국의 정치 경제 군사 문화의 발전상을 견문하고 돌아와서 고종에게 우리나라도 대대적인 근대적 개혁을 단행하고 민권을 확장하여 독립국가의 기초를 튼튼히 하자고 건의했으나 시행되지 못하고 그의 건의에 따라 육군제도만을 개혁하였다. 1898년부터 서재필(徐載弼) 이상재(李商在) 등이 지도하는 독립협회(獨立協會)가 본격적인 자주민권자강운동을 전개하자, 적극적으로 이를 지지했을 뿐 아니라 독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의회(議會)를 개설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이 시기에 가장 자주적이고 진보적인 관료로서 정부 내의 적극적인 독립협회 지지자가 되었다. 독립협회가 1898년 10월초부터 수구파 7대신의 퇴진과 개혁파정부의 수립을 요구하는 철야 상소시위를 연일 감행한 결과 1898년 10월 12일 박정양(朴定陽)을 수반으로 한 개혁파 내각이 수립되었을 때에는 군부대신 겸 내무대신에 임명되어 군사권과 경찰권을 장악하고 개혁파정부의 실권자로서 독립협회 운동을 지원하였다. 박정양 민영환 정부에서는 즉각 독립협회의 의회설립제안을 받아들여 한국역사상 최초의 의회(議會)를 개설하기로 결정하고 1898년 11월 2일 중추원(中樞院)을 의회로 개편하고 의회설립법을 공포하였다. 그러나 민영환 등과 독립협회가 공화정(共和政)을 수립하려고 한다는 수구파의 모략전술로 의회설립운동도 좌절되고 그도 파면 당하였다. 1902년 이상재 이상설(李相卨) 이 준(李儁) 이동휘(李東輝) 양기탁(梁起鐸) 등과 개혁당(改革黨)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다가 이상재는 투옥되고 민영환은 견책 당하였다. 그는 황실의 친척이므로 곧 복직되어 참정대신, 탁지부대신, 원수부(元帥府) 회계국총장, 장례원경, 표훈원 총재, 헌병사령관의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하였다. 1904년 2월 일본이 러 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일본군을 한국에 상륙시키어 「한일의정서」를 강제 체결하고 침략정책을 자행하자, 그는 고급관료로서 이를 격렬하게 성토하다가 일본군의 압력과 친일적 각료들과의 대립으로 시종무관장(侍從武官長)으로 좌천되었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체결하고 국권을 빼앗자, 조병세(趙秉世)와 함께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상소하여 을사조약에 서명한 5적을 처형할 것과 을사조약의 파기를 요청하였다. 고종이 이를 듣지 아니하므로 다시 상소를 올리고 대한문(大漢門)밖에 엎드려 대답을 기다렸으나 일제는 조병세와 민영환 등을 체포하였다. 석방된 후에는 상소운동이 효과가 없음을 통감하고 죽음으로써 국민에게 고하여 국민을 분기시켜서 국권회복운동을 일으킬 결심으로 유서 2통을 남기고 1905년 11월 30일 〈자결〉하여 순국하였다. 그의 유서 중 국민에게 고하는 유서에서는

「아, 우리나라 우리민족의 치욕이 이 지경에 다다랐구나. 생존경쟁이 심한 이 세상에 우리민족의 운명이 장차 어찌 될 것인가. 살기를 원하는 사람은 반드시 죽고 죽기를 맹세하는 사람은 살아 나갈 수 있으니 이는 여러분이 잘 알 것이다. 나 영환은 죽음으로써 황은을 갚고 우리 이천만 동포에게 사죄하려 한다. 영환은 이제 죽어도 혼은 죽지 아니하여 황천에서 여러분을 돕고자 한다. 바라건대 우리 동포형제여, 천만 배나 분려(奮勵)를 더하여 지기(志氣)를 굳게 갖고 학문에 힘쓰며 마음과 마음을 합하고 힘과 힘을 아울러 우리 자유독립(自由獨立)을 회복할지어다. 나는 지하에서 기꺼이 웃겠노라. 아, 조금도 희망을 잃지 말라.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마지막으로 고한다.」

고 하여 온 국민이 죽음을 맹세하고 분발하여 국권회복운동에 나설 것을 호소하였다. 또한 그는 각국 공사관에게 보내는 유서에서 일본의 한국침략 사실을 환기시키고 자유독립을 위하여 일어선 한국 국민을 도와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의 〈자결〉과 국민에게 드리는 〈유서〉는 각 신문에 일제히 상세하게 보도되어 온 국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이 일어나게 하는데 큰 계기를 만들어 주고, 나라가 독립을 찾아야 한다는 모범을 죽음으로써 가르쳐 주었다. 정부에서는 그의 애국심과 국권회복운동에 끼친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기려수필 61· 62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3면
  • 매천야록 356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2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116~11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2권 28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민영환 자 : 문약(文若), 호 : 계정(桂庭) 서울 임오군란, 아관파천, 을사늑약
본문
1861년 8월 7일 서울 전동(지금의 종로구 견지동)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이다. 조선 후기 이른바 ‘삼방파(三房派)’의 한 사람으로 유명했던 숙종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의 아버지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은 8대조가 되고, 흥선대원군의 막내 처남 민겸호(閔謙鎬)가 친아버지였다. 따라서 고종황제와 내외종 간이었다. 큰아버지 민태호(閔泰鎬)가 후사 없이 사망한 관계로 큰집으로 입적되었고, 친아버지 민겸호의 후사는 둘째인 민영찬(閔泳讚)이 이었다. 1877년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으며, 1878년 17세의 나이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1년 20세의 나이로 일약 정3품 당상관으로 고속 승진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었고, 1882년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에 발탁되는 등 순탄한 관직생활이 이어졌다. 그러나 같은 해 임오군란(壬午軍亂)이 발생하였고, 이때 민씨 척족의 대표인물로 역할을 하던 친아버지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 민겸호가 피살되었다. 모든 관직을 사직하고 3년간 상복을 입고 예를 갖추었다. 탈상한 해인 1884년 다시 이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이후 도승지・ 전환국 총판 ・ 홍문관 부제학 ・ 이조참판 ・ 내무협판 ・ 개성유수 ・ 해방 총관 ・ 친군 연해 방어사 ・ 한성우윤 ・ 기기국 총판 ・ 친군 전영사를 역임하였다. 협판내무부사 시절인 1886년 3월 국왕의 명을 받아 미국인 외교고문 데니(D. N. Denny)와 김가진(金嘉鎭), 김학우(金鶴羽) 등 신진개화파들과 함께 러시아 공사 베베르(K. Weber)를 통해 청국을 견제하고 조선이 자주적 입장을 견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러시아와 밀약(제2차 조로(朝露)밀약) 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 사실을 민영익(閔泳翊)이 청국의 실력자 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밀고하였다. 그 결과 흠차북양대신(欽差北洋大臣) 리훙장(李鴻章)을 통한 국왕의 폐위까지도 거론되는 심각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었다. 결국 국왕의 의도는 무산되었고, 김가진과 김학우 등이 유배되면서 끝이 났으나 자신에게 직접적인 피해는 돌아가지 않았다. 1886년 6월 협판내무부사로서 한규설(韓圭卨)과 함께 각사 중에서 군무사(軍務司)를 담당하였다. 같은 해 7월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을 창설하고 미국인 군사교관을 초빙하여 근대적 해군양성에 주력하였다. 1887년 27세 때 예조판서로 승진하였고, 1888년 4월 군제개혁 시 병조판서로서 통위영(統衛營)을 겸하여 맡았고, 장위영(壯衛營)의 한규설, 총어영(摠禦營)의 이종건(李鍾健)과 3영 체제를 갖추어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1891년부터 1893년까지 판서 김명진(金明鎭)의 딸인 부인 안동김씨의 사망을 계기로 관직을 맡지 않았다. 1893년 형조판서 ・ 한성부윤, 갑오개혁 직전까지 독판 내무부사 ・ 형조판서로 활동하였다. 그러던 중 1894년 7월 23일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갑오개혁으로 김홍집(金弘集) 내각이 들어섰고 특별 입법기구인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가 설립되었다. 그가 맡았던 통위영사는 이준용(李埈鎔)으로 대치되었고, 7월 26일 별입직(別入直)에, 동학농민군의 2차 봉기 기간인 10월에는 순유사(巡諭使)에 임명되었다. 1895년 8월 주미전권대사에 임명되었다. 1896년 2월 11일 국왕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급거 도피하는 이른바 ‘아관파천(俄館播遷)’으로 친미 ・ 친러 내각이 들어서자, 그해 4월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어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Nicolai Ⅱ) 대관식에 참석하였다. 공사에 임명된 이유는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 일원으로 구미 공사관의 외교사절들과 친밀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부 내에서 영향력이 있으면서도 비교적 온건 합리적인 인물로 평가되었기 때문이었다. 대관식 참석 일행은 특명전권공사 민영환과 수석 수행원 윤치호(尹致昊), 중국어 통역관 김득련(金得鍊)과 러시아어 통역관 김도일(金道逸), 민영환의 개인비서 손희영(孫喜永), 주한 러시아공사관 서기관 스테인(E. Stein)이었다. 민영환 일행은 중국과 일본을 거쳐 태평양을 횡단한 다음 기차로 캐나다, 미국을 관통하였다. 대서양을 지나 영국을 거쳐 도버해협을 건너 유럽대륙으로 들어간 이후에는 네덜란드, 독일, 옛 폴란드를 경유하여 목적지인 러시아에 도착하였다. 이들의 주목적은 국왕의 환궁 이후 신변보호를 위한 왕실수비병의 파견과 경비 지원, 일본 국채 상환을 위한 300만 엔 차관 제공, 조선-러시아 간 전신선 가설 등이었다. 재정고문과 군사교관을 초빙하여 일본의 침략을 막아보려는 고육책을 내놓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무 교섭과정에서 타결된 것은 군사교관과 재정고문 초빙문제에 국한되었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공적 임무를 수행한 후에 45일 가량 머물면서 러시아의 문화와 예술뿐만 아니라 대표적 근대 시설물들을 시찰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통해 조선으로 돌아올 때는 육로로 지나는 곳마다 각급 지방총독들과 환담하면서 그들의 생활과 문화, 지역사정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였다. 더불어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보스토크, 제물포항으로 이어지는 귀국 과정에서 이르쿠츠크부터 조선의 국경에 이르는 동안 수 차례에 걸쳐 조선인 이주민들과 만나 환담하면서 그들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기록하여 저술한 것이 『해천추범(海天秋帆)』이었다. 1896년 10월 21일 귀국한 뒤, 의정부 찬정 ・ 육군부장 ・ 군부대신에 임명되었다. 군부대신 시절인 1897년 1월 19일 각 부대의 장관과 관원을 인솔하고 새문(新門) 밖 천연정(天然亭)에 제물을 배설하고, 축문을 지어 ‘의병진압’에 출동하여 사망한 병졸의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1897년 1월 다시 영국 ・ 독일 ・ 러시아 ・ 이탈리아 ・ 프랑스 ・ 오스트리아-헝가리 6개국 주재 특명전권공사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영국 빅토리아(Victoria) 여왕 즉위 60주년 기념 축하식(Diamond Jubilee celebration)에 참석을 위해 다시 유럽으로 떠나게 되었다. 이 시기 민영환 사행을 통해 당시 러시아는 물론 러시아와 긴밀한 협력관계에 있던 프랑스와 독일로부터도 조선 독립을 보장받고자 하였다. 일행은 6월 5일 런던에 도착하여, 22일 열린 빅토리아 여왕즉위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였다. 런던에서는 40여 일 체류하면서 영국의 국민생활과 선진 문물을 두루 견학한 뒤, 7월 17일 런던을 떠나 미국 수도 워싱턴에 도착하여 머물다가 1898년 9월 하와이를 거쳐 귀국하였고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다. 이를 기록한 것이 『사구속초(使歐續草)』였다. 1899년 2월 주미공사에 임명되었으나 2차 사행 시 무단으로 근무를 이탈했던 자신의 과오를 시인하면서 적임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양하였다. 그런데 그해 5월 중추원에서는 의관들이 상주공사 파견을 반대하였고, 주미공관에는 단지 외국인 서기생을 두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 결과 예정된 3차 사행인 주미공사 파견은 결국 불발로 끝나게 되었다. 대한제국이 출범하기 직전 『천일책(千一策)』에서 시국해결 방안을 제안한 바 있었다. 자신의 평소 생각을 이 책을 통해 기록하고 정리하여 내놓았다. 그 중 「시세4조(時勢四條)」에서는 러시아와 일본에 대한 방어책과 ‘동학란’ 평정 방법을, 「비어10책(備禦十策)」에서는 인재등용과 과거제 폐지, 육해군 창설, 산업장려, 신식무기 구입과 제조, 포대설치, 인삼전매, 지폐발행, 근대적 학교설립 등 내수(內修)와 자강(自强)의 방책을 제시하였다. 1898년부터 서재필(徐載弼) ・ 이상재(李商在) 등이 지도하는 독립협회(獨立協會) 운동을 적극 지지하였고 10월에는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황제와 보수파는 공화정을 수립하고 군주제를 폐지하려고 한다는 모략으로 보부상과 경찰, 군대를 동원해서 독립협회를 탄압하여 해산시켰다. 그 결과 의회설립운동은 좌절되고 일시 파면되었다. 독립협회 해산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내부대신이 되었고, 이어 참정대신과 탁지부대신으로 활동하였다. 1898년 11월 5일, 사립 흥화학교(興化學校)를 설립하였다. 흥화학교 설립자 또는 발기인은 그를 비롯하여 한우 ・ 김신영 ・ 임병구(林炳龜) ・ 정교(鄭喬) 등이고, 설립 당시 교장은 민영환, 교사는 임병구 ・ 정교 ・ 남순희(南舜熙)였다. 교과목은 영어, 산술, 지지, 역사, 작문, 토론, 체조 등이었다. 교육진흥을 위한 새로운 방안도 제시하였다. 그는 ‘학문을 일으켜 인재를 교육’하는 것이 나라의 급선무로, 서양의 ‘궁리격치(窮理格致)’를 배울 것을 주장하였다. 1900년 7월 13일자 『황성신문(皇城新聞)』에 당시 학생 수가 130여 명이었다는 기록을 보면, 당시로서는 상당수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흥화학교는 1902년 3월 19일 학도모집 광고 이후부터는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별한 활동기록도 많지 않다. 흥화학교는 결국 경술국치 직후인 1911년에 폐교되었다. 1899년 6월 초대 표훈원(表勳院) 총재로서 대한제국의 훈위, 훈등, 훈장, 포장, 연금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한 바 있다. 1900년 장충단(獎忠壇)을 조성할 때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02년에는 황제에게 주청하여 우리나라와 조약을 체결하고 교환한 사신들인 러시아 전권대신 베베르 ・ 일본국 특명권판리대신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를 훈1등 태극장을, 프랑스 전권대신 코고르당(F. G. Cogordan) ・ 프랑스 공사 플랑시(Collin de Plancy) ・ 독일 사신 젬부쉬(Zembsch) ・ 이탈리아 전권대신 크라비오사(Craviosa, F) ・ 벨기에 전권대신 방칼에게 훈2등 태극장을 하사하였다. 1899년 10월 조선은행(朝鮮銀行) 창립에 관여하였다. 이때 사장은 권재형(權在衡)이었고, 민영환은 평의장, 이채연(李采淵)과 김영준(金永準)은 장부조사위원 등을 맡았다. 1900년 ‘경제상 이익발달을 위해’ 농업회사인 목양사(牧養社)를 설립하고 사장이 되어 농부(農部) 관할 해관(海關)에 비치된 농기구 등의 대부를 요청한 일도 있었다. 1903년 11월 수상운송을 목적으로 각 항구에 선박영송회사(船舶迎送會社) 설치를 위해 농상공부에 인허를 청구하기도 하였다. 1905년 9월 이겸래(李謙來) ・ 홍종훤(洪鍾萱) ・ 이현상(李鉉相) ・ 김교선(金敎宣) 등이 설립한 대동상회(大東商會)의 회장이 되었고, 아울러 은행설립 계획으로 탁지부에 청원한 바 있었다. 1900년 2월 자신의 헌의책(獻議策)인 원수부(元帥府)가 설치되자 회계국 국장(3월 이후 총장)에 임명되고 헌병대 사령관을 겸임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 나갔다. 1902년 7월 1일 원수부 회계국총장 민영환의 서문을 붙인 애국가의 가사와 악보가 출간되었다. 이때 악보는 에케르트(Franz von Eckert)가 작성하였다. 한편 1902년 설치된 유민원(綏民院)은 궁내부에 소속되어 외국여행권을 관장하던 관청으로, 초대 총재는 당시 표훈원 총재였던 그가 맡았고, 통신원 총판 민상호(閔商鎬)가 부총재, 서병규(徐丙珪)가 총무국장이었다. 이 유민원은 세계를 여러 차례 유람한 바 있던 그의 지식과 경험이 반영되어 설립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민원의 사무소는 서울 종로 계동 입구에 마련하였다. 1902년 9월 순비(純妃)가 무반(武班)인 민영환과 이종건이 협력하여 경축대전 관병식(觀兵式) 당일에 황태자를 옹립하려는 음모가 있었다는 내용을 황제에게 밀고하여 격노한 황제가 그를 경질하였다. 1903년 10월 27일 기장조성소(旗章造成所) 감동당상(監董堂上)으로 상주하여 황제 폐하, 황후 폐하, 황태자 전하, 황태자비 전하, 영친왕 저하의 기장(旗章)을 조성하고 음력 9월 13일로 택일하여 거행할 것을 청하여 윤허를 받았다. 러일전쟁 기간인 1905년 4월 국민교육회(國民敎育會)에 막대한 액수의 돈과 함께 토지와 건물을 기부하였다. 국민교육회는 1904년 8월 국민교육의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계몽단체로 이준(李儁) 등이 주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공사의 압력으로 참정대신의 자리에서 면직되었고, 1905년 5월 시종무관장이라는 한직으로 좌천되었다가 그해 9월 외부대신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같은 달 11일 국가의 위기상황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직임의 버거움을 설파하면서 직책을 사양하였다. 외부대신 임명은 이 기간 참정 한규설을 수반으로 하는 내각 조직이었으나 각 대신이 취임치 않아 성립되지 못하였다. 1905년 11월 다시 시종무관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던 중, 일제는 11월 17일 이른바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함으로써 국권을 강탈하였다. 이날 전 부인인 정경부인 안동 김씨의 산소 이장문제로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水枝面) 토월리(吐月里)에 내려가 있다가 소식을 듣고 급거 상경하였다. 11월 27일 원임 의정대신 조병세(趙秉世)가 소수(疏首)가 되어 백관을 거느리고 매국오적을 처단하고 조약을 파기할 것을 상소하였다. 조병세와 함께 28일 재차 상소를 올렸다. 같은 날 두 번째 상소를 올려 나라가 망하는 지경의 약조를 폐기할 것을 거듭 주장하였다. 오히려 일제는 일본 헌병을 출동시켜 백관들을 강제로 해산시키고 그와 조병세를 구금하였다. 1905년 11월 29일 평리원 감옥에 갇혀 있다가 석방되었으나, 이미 기울어진 대한제국의 운명을 바로잡을 길이 없음을 개탄하였다. 아무리 상소해도 별다른 효과가 없으리라 깨달았다. 이제 남은 길은 스스로 목숨을 끊어 황실의 은혜에 보답하고 국민들을 깨우쳐 나라와 민족이 자유 독립을 회복하는데 초석이 되는 것뿐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11월 30일 오전 6시경, 회나무골(檜木洞) 의관(醫官) 이완식의 집에서 45세의 나이로 2천만 동포와 각국 공사, 대한제국 황제에게 보내는 유서 3통을 남기고 품고 있던 단도로 목을 찔러 자결, 순국하였다. 이를 계기로 전 좌의정 조병세, 전 대사헌 송병선, 전 이조참판 홍만식, 학부 주사 이상철, 병사 김봉학 등도 연이어 자결 순국하였다. 을사조약 강제 체결 이후 민영환 등이 순국 자결하자, 일본공사는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대장의 권유를 받아 ‘민심진정’에 착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 각지에서의 상소투쟁이 이어졌다. 상인들의 철시투쟁이 있었고, 각급 학교 학생들은 동맹 휴업을 통해 시국을 성토하고 순국열사들의 넋을 기렸다. 시호를 충정(忠正)으로 내리고 의정대신으로 추증하였다. 조의를 표하기 위해 3일간 조시(朝市)를 철폐하고 형륙(刑戮)도 피하도록 분부하였다. 그의 유해는 용인군 수지면 토월마을에 봉분없이 평장되었다가, 해방 이후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이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그의 뜻은 국외로 망명한 독립운동가나 지식인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계승되었고, 그들의 애국과 독립의지를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민영환 등을 비롯한 많은 우국인사들의 순국 자결로써 일제 침략에 대한 강력한 투쟁 방략의 하나로 의열투쟁이 자리 잡게 되었다. 나아가 그의 순국은 국권회복을 위한 항일의병운동과 구국 계몽운동이 발흥하는 기폭제가 되었고, 죽음으로서라도 조국과 민족의 독립은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남겨주었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기도 용인시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사당 충렬사(대전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장소 충정공 민영환선생 고택지(기념표석) 서울특별시 종로구
3 기타 여래사 순국선열봉안소 및 순국선열위령탑 서울특별시 성북구
4 비석 삼충단비 경기도 가평군
5 사당 대한이산 묘 전라북도 진안군
6 사적지 독립협회창립총회 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7 동상 충정공 민영환선생 동상 서울특별시 종로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민영환(관리번호:1991)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