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공적정보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418
성명
한자 黃萬英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1905년 성익현 의진(成益鉉義陣)에 군자금 800냥을 지원하였고 1907년 신민회원(新民會員)으로서 향리(鄕里)사동(沙銅)대흥학교(大興學校)를 설립하여 인재(人財)를 양성하였으며 1912년 만주(滿洲)로 건너가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신흥학교(新興學校)재정 지원(財政支援)을 하고 1913년 노령(露領)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에 참여하여 1919. 9 - 10월 주진수(朱鎭洙) 등과 함께 만주(滿洲)로 파견되어 순회 강연을 통한 항일의식 고취미국(美國)으로부터 군자금 3백만불 차관문제를 논의하는 등 활동하였으며 국내(國內)로 파견되어 군자금을 모집하고 1927년 신간회 울진지부장(新幹會蔚珍支部長)에 선임되는 등 활동 사실(活動事實)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 의진(義陣) : 의병의 군진. 의병 부대를 배치한 것.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3권(1996년 발간)

경북 울진(蔚珍) 사람이다.

1905년 을사조약의 강제 늑결 후 각처에서 의병이 봉기할 때, 향리에 주둔하고 있던 성익현(成益鉉) 의진(義陣)에 군자금 8백 냥을 지원하면서 의병활동을 격려하였다.

그 후 1907년 신민회(新民會)가 창건되자 회원으로 가입하여 향리인 사동(沙銅)에 대흥학교(大興學校)를 설립하고 인재 양성에 힘을 쏟았다.

1912년 만주로 망명한 그는 이시영(李始榮) 등과 함께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설립된 신흥학교(新興學校)의 재정을 담당하였으며, 1913년에는 노령(露領) 지역으로 건너가 그곳의 독립운동자들과 교류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3·1운동이 일어나자 연해주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에 참가하였던 그는 1919년 9월 주진수(朱鎭洙) 등과 함께 만주로 파견되어 순회 강연을 개최하면서 항일의식을 고취하였다.

한편 그는 1925년 정의부(正義府) 독판(督辦) 이상룡(李相龍)이 상해(上海) 임시정부의 국무령에 취임하기 위해 길림(吉林)에서 상해로 갈 때, 동행하여 임시정부에 참가하기도 했다. 1925년 8월에는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에 들어와 1927년 신간회(新幹會)가 성립되자 신간회 울진지부장에 선임되어 민족협동전선운동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울진의 얼(울진군, 1982) 46·47면
  • 울진군지(울진군지편찬위원회, 1984) 349면
  • 울진문화(울진문화원, 1986) 제2호 55∼59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3권 449면
  • 국오선생실록(1977) 1∼5면
  •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신용하) 45·46면
  • 애국지사 국오 황만영 선생(기념비건립추진위원회, 1976, 필사본)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9집 369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황만영 - 경북 울진(蔚珍) -
본문
1875년 6월 20일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 기성면(箕城面) 사동리(沙銅里)에서 황수(黃洙)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전국적으로 많은 의병들이 항일투쟁을 기치로 내걸고 봉기하였고, 경상북도 울진군 지역에서도 성익현(成益鉉) 의병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이때 800냥이라는 거금을 군자금으로 내놓아 의병활동을 지원하였다. 1907년에는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였다. 신민회는 1907년 4월 안창호(安昌浩)의 발기로 양기탁(梁起鐸)·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 등이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다. 양기탁 등은 독립협회가 활약하던 시기 주로 만민공동회를 주도했던 청년들이었다. 외교권 박탈 이후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운동의 일환으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했을 뿐만 아니라 신교육·구국운동에 가장 많은 힘을 쏟았다. 이에 영향을 받아 고향마을인 사동리에 대흥학교(大興學校)를 설립하고 인재 양성에 매진하였다. 하지만,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이 강제로 일제에 병탄되자 배일사상의 온상이라는 이유로 폐쇄되었다. 1912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이시영(李始榮) 등과 함께 류허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설립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재정을 담당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교육진흥과 독립군양성을 표방한 경학사(耕學社)와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이어 설립된 무관학교로, 1910년대 서간도지역의 독립군양성의 총본산이 될 정도로 중요한 기관이었다. 또한 1913년에는 노령(露領) 지역으로 건너가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19년 국내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연해주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에 몸담고 있다가 9월경 주진수(朱鎭洙) 등과 함께 만주로 파견되었다. 만주 일대에서 순회강연을 하며 항일의식을 고취하는데 힘썼으며, 미국으로부터 군자금을 차관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도 하였다. 1925년 정의부(正義府) 독판(督辦) 이상룡(李相龍)이 상하이(上海)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國務領)에 취임하기 위해 지린(吉林)에서 상하이로 갈 때 동행하여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1925년 8월경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로 들어와 활동하였다. 이후 1927년 독립운동의 양대 진영이 연합하여 신간회(新幹會)를 창립하자 울산지회(蔚山支會)의 회장으로 선임되었고, 울산 지역의 교육·노동·청년·여성 등 여러 부문의 운동들을 지도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상북도 울진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애국지사 국오 황만영선생 기념비 경상북도 울진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황만영(관리번호:2418)
*오류 제목
*오류 유형
*오류 내용